1. 정의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세종어제(世宗御製) 서문(序文)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록되었다.
2. 한글의 유래 및 중요성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다. 한글은 세종대왕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만든 문자인데 지극히 과학적이고 합리적이어서 세계 문자 역사상 그 짝을 찾을 수가 없다.
한글만큼 우수한 문자가 또 없다는 것을 세계가 모두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의 창제로 말미암아 우리는 문자가 없어서 남의 글자인 한자를 빌려다가 우리말을 중국말 문법에 맞추어 쓰던 불편을 벗어버리고 자유롭게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문화, 경제, 정치 등 각 분야에 걸친 발전을 이루어 세계 유수한 나라들과 어깨를 겨루게 되었다. 한글날은 이러한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공로를 기리는 날이다.
3. 한글 주간행사
1) 올해한글주간행사: 10/4~10/10
2) 올해의 주제: '괜찮아?! 한글'
3) 행사내용: 총16개의 공연
야외 잔디마당에서는 10월 5일 타악 공연을 시작으로 코미디 공연, 서커스, 인형극, 연희 놀이극, 뮤지컬, 한글 패션쇼 등 공연 예정.
4. 세종대왕
1) 휘: 이도(李裪), 자는 원정(元正)
시호는 장헌(莊憲
2) 묘호: 세종(이도)(世宗)
3) 시호: 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
(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4) 능호: 영릉(英陵)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5) 군호: 충녕대군(忠寧大君)
6) 출생일: 1397년 5월 15일
7) 출생지: 조선 한성부 준수방
8) 사망일: 1450년 3월 30일(54세) (양력)
8) 사망지: 조선 한성부 영응대군 사저
9) 부친: 태종
10) 모친: 원경왕후 민씨
11) 배우자: 소헌왕후 심씨
12) 자녀: 18남 4녀 (19남 7녀)
13) 재위기간: 1418년 9월 9일 ~ 1450년 3월 30일 (양력)
♡ 가전충효(家傳忠孝) 세수인경(世守仁敬)
* 가정에서는 충효의 법도를 전승하고, 사회에서는 인자하고 공경하는 기풍을 지켜라.
(충과 효를 가문에 전하고, 어질고 공경하는 정신을 대대로 지켜나가라)
5. 훈민정음
1) 의미: 백승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2) 훈민정음 서문(현대어 번역)
*세종 어제[ 御製. 임금이 몸소 짓거나 만듦]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니,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할 사람이 많으니라.
내가 이를 위하여 가엾이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하여금 쉬이 익혀 날로 씀에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6. 한글(창제 당시 총 28자)
1907년부터 주시경은 '하기국어강습소'를 운영하기 시작해서 1908년에는 '국어연구학회'(한글학회의 전신)를 창립했다. 1911년에는 '국어'란 말을 쓰지 못하게 되자 학회의 이름을 '배달말글 몯음'이라고 했다가 1913년에는 다시 '한글모'로 바꾸었으며, 1927년에 기관지인 〈한글〉을 펴내기 시작하면서 이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한'은 '하나' 또는 '큰'의 뜻이니, 한국의 글자에 대해 권위를 붙여준 이름으로, '정음'이란 이름과 그 정신이 서로 통한다.
1) 자음: 14자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2) 모음: 10자
(ㅏㅑ ㅓㅕㅗ ㅛ ㅜ ㅠ ㅡ ㅣ )
3) 없어진 글자: 4 글자
[ ㅿ ] [ ㆍ ] [ ㆆ ] [ ㆁ ]
① ㅿ : 첫 글자는 반설 불청불탁음이고 ㅅ 과 비슷한 발음.
② ㆍ : 두번째 글자는 아래아, 하늘을 나타내는 글자. (모음) 발음은 ㅏ 로 하시면됩니다.
③ ㆆ : 세번째 글자는 여린 ㅎ이고
④ ㆁ : 네번째 글자는 응..받침 ㅇ 이라고 할
7. 한글의 여러 이름
한글의 이름은 경우에 따라 다르게 불려져왔다.
① 훈민정음 : 한글이 만들어졌을 때의 공식적인 이름은 '훈민정음'으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② 정음 : '훈민정음'을 줄여 '정음'이라고 일컫기도 했다.
③ 언문(諺文) : 한문에 대해서 우리 토박이 말을 적는 글자란 뜻으로 쓰였다.
④ 언서 : 언문을 '언서'라고 하기도 했으니, 이것은 한자를 '진서'라고 한 것에 대립한 말이다.
⑤ 반절 : 중국 음운학의 반절법에서 한 글자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그 소리를 성모와 운모(중성+종성)로 양분하는 방법을 쓰므로, 한글이 그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⑥ 암글(암클) : 부녀자들이나 쓰는 글이란 뜻으로 낮추어 부른 이름이다.
⑦ 국문 : 19세기말에 민족주의 정신의 대두와 더불어 쓰이던 말이다.
⑧ 이외에도 한말, 배달말, 조선글(북한)도 있습니다.
8. 한글날 노래
https://youtu.be/xdA3fKrIlzw?si=OeZHfb3LtT5E9E14
1절
강산도 빼어났다 배달의 나라
긴 역사 오랜 전통 지녀온 겨레
거룩한 세종대왕 한글 펴시니
이 세상 밝혀주는 해가 돋았네
한글은 우리자랑 문화의 터전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2절
볼수록 아름다운 스물넉자는
그 속에 모든 이치 갖추어 있고
누구나 쉬 배우며 쓰기 편하니
세계의 글자중에 으뜸이도다
한글은 우리자랑 민주의 근본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3절
한 겨레 한맘으로 한데 뭉치어
힘차게 일어나는 건설의 일꾼
바른 길 환한 길로 달려나가자
희망이 앞에 있다 한글나라에
한글은 우리 자랑 생활의 무기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