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심 불가득
니까야 또는 산스끄리뜨로 된 경을 발췌해 봅니다.
◆atitam citta nopaladhyate : atita citta napaladhyate
소납 재해석
▼atita/m 아띠따 :
(ati+ita , ati + eti /S) accaya 앗차야, 아짜야, atyaya 아뜨야야)
S,P) 과거 ,지나간
* ati 아띠, 아티, 앝띠: 을 넘어서. 극히, 매우, 너무나, 초월하는,그이상
* accaya : 아차야, 앗차야 : 중국) 결점, 실효, 과세, 死去, 경과, 사후, 초월 ,과실, 사망 등
★국어사전) 아차
1.무엇이 잘못되었거나 실수했음을 갑자기 깨달았을 때 내는 말
2.주로 ‘하다’, ‘싶다’, ‘실수하다’, ‘잘못하다’의 과거형
앞에서 부사적 용법으로 쓰여, 순간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거나 실수했음을 깨달을 때 하는 말
3.주로 ‘잘못하다, 실수하다’ 앞에서 ‘순간적으로 자칫’, ‘순간적으로 본의 아니게’의 뜻으로 하는 말
ㅡㅡ 담마 안웃싸띠에 기록한 내용중 올림니다만 , 빨리 앱 사전은 해석이 가끔씩 변화 됩니다.
◆ atita 아띠따 :
(ati + ita , ati + i + ta)
과거.과거형, 이력, 지나서, 지난, 넘어서,지나갔다,
앞으로 ,옆으로 지나갓다.
*atita : once upon a time
*{(sk, accaya & ati eti(ita) : 아차야 (아차 (하는 순간) 가다)}
passed away (세상을 떠나다,사망하다, 돌아가시다)
더 이상 존재하지 안습니다. 이전에 ,전자에 ,전에
belonging to past times (과거에 속하는)
*(ati 아띠 : ata i)
a-ta 엇 다, 으 ㅅ다, 어따 (놔), (어떤 장소에 놓다)
ati 어ㅅ디,어띠 (현대: 어디이 : 지나가다, 넘어가다,스러지다, 본질에서 떠나다.
최대, 이상, 넘어
(ati + i + ta : 본성이 떠나다, 본질에서 떠나다.)
(s,P ; I = go, 이 ,리 離)
* ati : (,너무,또한, 대단히,너무 많은,: 못마땅 하거나 무언가 부족함을 느낄 때
, 아-띠, 아-씨 하던 기억이 맴돈다.)
※ (ati, ata, atma ; 곳곳에서 나타나는 무아, 무아론 :
자성이 없거나 , 자아가 없는 것이 아닌 ,
자아를 초탈, 초월하여 최고로 승화된 것이 무아론(극아,극상)이다.
자성이 없거나 자아가 없다면 당신이 존재할 수 없으며,
세상도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할 이유가 없다.
* 모든 수행은 자성 청정 自性淸淨을 위함이다.
ㅡㅡㅡ
▼citta 치따, 쳇따, 칫따 : 몸과 본성, 體 따(하늘천 “따지”) .
▼nopaladhyate = napaladhyate
나 빨라 띠야떼 = 나 빨라 디야따
▼na 나: 나 (1 인칭) , 아니다, 지식, 장소(에서) , 내, 네 등
▼pala 빠라, 빨라, 빼라, 뺄라, 패라, 파라:
S) 육체, 살, 식용고기,인류, 인체, 인간에 성정. 무게 = 4 ,
파수꾼, 보호자, 수호자, 목동, 군주, 양부, 통치자, 왕자,
*para : 보호처, 수호처 ,보호자, 수호자
P) 특정 무게 약 4 온스, 측정, 기준, 육체,살, 인류 ,고기, 살결,
유체측정, 시간에 척도 (빨라), 수호자, 보호자,
▼adhyate 아디야떼
*S) dhyai 디야이 = dhyaya 디야야 = dhya 디야 :
숙고하다, 묵상하다, 생각하다, 성찰하다 ,
*dhyata 디야따 ; 생각하다, 반영하다
[(주; 디야, 디야따 :디야 안디야,디여 안디여, 되여 안되여 ,됐서 안됐서,
(이제) 디야따(됐다)]
*s) adhya/ta 아디야 ,아디야따: 부유한, 풍부한, (아 디야띠, 아 됐다 )
P) 없슴
삼가 도원 합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