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죽음의 도시 문답식 해설(2):모더니즘
1.20세기 전환기에 비엔나가 유럽 문화의 중심지로 주목받게 된이유는?
ㅡ예술영역에 모더니즘이 스며들었기때문이다.
2. 음악사에서 20세기 초 비엔나의 특징은?
ㅡ말러(Gustav Mahler 1860-1911)
ㅡ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
같은
후기낭만주의와
ㅡ쇤베르크(Arnold Schonberg:1874-1951)를 위시한 제2비엔나 악파의 무조음악과 12음기법으로 신음악이 모더니즘응악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두 사조가 공존하는 시대였다.
3. 이로인해 세기전환기의 비엔나는 다양한 예술적 흐름, 서로 다른 가치관, 격렬한 논쟁들이 난무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의 한 복판에 등장한 천재적인 작곡가는?
ㅡ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 (Erich Wolfgang Korngold :1897-1957)
4. 모더니즘 [modernism]이란?
ㅡ기존의 도덕, 권위, 전통 등을 부정하고, 새롭고 혁신적인 문화의 창조를 추구하는 예술상의 경향과 태도
5. 모더니즘의 특징은?
ㅡ과학에 기반한 자연주의, 객관성 중시, 인간의 경험과 이성에 대한 신뢰, 개인주의에 기반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려는 사회정치 체제, 자유주의, 시장경제, 급격한 산업화 등이 있다. 모더니즘의 정신을
따르던 이들을 모더니스트라고 한다.
6. 포스트모더니즘은?
ㅡ20세기 중후 반부터 모더니즘에 반발하여 나타난 반과학적, 주관적, 반
이성적, 집단주의적, 사회주의적 시류를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한다.
7. 모더니즘의 시작은?
ㅡ언제부터로 보느냐에는 이견이 많다. 한예로, 회화 분야 쪽에서는 인상주의를 현대미술이 시작되는
계기로 보는 경우가 많다.
# 음악 분야 쪽에서는 기능화성을 부정한 무조음악이 출현한 표현주의를 현대음악의 시작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8.대략 사회문화사적으로 보면 19세기부터(즉 1800년 이후부터) 모더니즘의 토양이 갖춰진 셈이다. 대체 이 시기에 무슨 일이 있었나?
ㅡ 학자들은 그 배경으로 크게 다섯 가지를꼽는다.
(1)종교 개혁:권력층의 변화
(2)산업 혁명:자본주의 등장
(3)시민 혁명:일반 대중의 등장
(4)세계 대전:유럽에서 미국으로 중심이동
(5)미국 대중문화의 성장과 확산
이 그것이다. 이 다섯가지 사건을
중심으로 보면 어느정도 모더니즘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9. 어떠한 분야에 있어서 매우 급진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행
동하는 자들을 아방가르드라고 하는데, 20세기 초의 모더니스트들은 대부분 아방가르드였기에, 사실상 아방가르드는 이 시대의 모더니스트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게 된다.
한국에서 미술분야의 용어인 전위예술은 아방가르드들의 모더니즘 미술을 뜻하는 말이다.
아방가르드는 프랑스 군대의 앞에 섰던 전위대(avant-garde)에서 온 말이다.
이 시대의 특징은?
ㅡ'~ism( ~주의)'들이 많이 생겼다.
10. 어떤 것들이 있나?
ㅡ
(1)인상주의
(2)원시주의(primitivism)
(3)표현주의
(4)신고전주의
11. 18세기와 19세기 고전-낭만주의를 대표했던 조성음악(tonal-music)은
19세기 말
화성과 반음계주의가
팽배해지면서 조성이 파괴된다.
이를 무어라 하는가?
ㅡ(무조음악:atonal music)
12.이로인해
근대음악의 시작되는데
그런 음악을 무어라하는가?
ㅡ인상주의 음악
※tonal 이란 말은
tonic이 있다는 말이다.
tonic = 으뜸음
으뜸음이 있다는 것은
조성(예를 들면 다장조에서는 도, 가단조에서는 라등)이 있다는 것이다.
※atonal 이란 말은
으뜸음이 없다는 뜻이다.
으뜸음이 없다는 것은
조성이 없다는 것이다.
13. 조성음악과 무조음악의 차이는?
ㅡ조성음악:평균율로 조율된
한 옥타브내 12개의 음 가운데 7개를 선택하여 음계를 구성하여
이 음계를 토대로 화성을 만들어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한 음악.
(예를 들면,
다장조의 경우 도를
으뜸음으로 하여
도미솔, 파라도, 솔시레
이렇게
세개의 화음으로
음악을 만든다.
음악의 중심에는
'도'라는 으뜸음이 중심이 된다.)
ㅡ무조음악:12개의 반음을 자유스럽게 사용하여
기능적 화성학이 의미가 없어진 음악.
(즉, 중심되는 으뜸음 개념이 없어
12개의 모든 음이
민주적으로 공평하게 사용된다.)
14. 무조음악의 시대적 배경은?
ㅡ 제1차 세계대전의 대 격변을 정점으로 20세기 초에 오랜 기간 지배해온 조성관습의 마감이다.
독일 지배에 반하여
세계 각국의 민속적색채 찾기와 14세기에 있었던
아르스 노바(Ars Nova:새로운 예술)와 같은 실험정신의 함양으로 비롯되었다.
15. 이러한 조성체계가 위태롭게 흔들리던 시대에 이와 동떨어져
조성음악의 전통을 받아들여 그 기초위에서 자신의 개성을 추구하여 자연스럽고 감성적인 음악을 작곡한 천재적인 작곡가는 누구인가?
ㅡ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
다음 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