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治虛勞補心腎諸藏精血瀉心腎諸藏火濕熟地黃生乾地黃山藥山茱萸各四兩牡丹皮白茯巔澤瀉期陽龜板各三兩牛膝枸杞子人參麥門冬天門冬各二兩知母黃栢拄鹽炒五味子肉桂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七九十丸
◈허로(虛勞)를 치료하며 심(心)과 신(腎)의 정혈을 보하며 심과 신의 화와 습을 사(瀉)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마(산약), 산수유 각각 160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쇄양, 남생이배딱지(귀판) 각각 120g, 쇠무릎(우슬), 구기자, 인삼, 맥문동, 천문동 각각 80g, 지모, 황백(다 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오미자 육계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此藥有補有瀉夫五藏藏精血者也精血一虛邪水乘之而爲濕熱補者所以補其精血瀉者所以瀉其濕熱也此方旣有知母黃栢以瀉火茯巔澤瀉以渗濕尤爲備也
◈ 이 약은 보(補)하기도 하고 사(瀉)하기도 한다. 대체로 5장은 정혈(精血)을 간직하고 있다. 정혈이 한번이라도 약해지면 사기(邪氣)와 수기(水氣)가 침범하여 습열이 생긴다. 그러므로 보한다는 것은 곧 정혈을 보하는 것이고 사한다는 것은 곧 습열을 사하는 것이다. 이 처방에 있는 지모와 황백은 화를 누르고 솔풍령과 택사는 습기를 잘 내보낸다.
◈古方如腎氣丸固本丸補陰丸俱是滋陰補血之劑然固本丸胸滿有痰者忌之補陰丸脾虛有濕者忌之惟腎氣丸專於補腎滋陰而兼理痰濕最爲切當但品味數少不足以盡其變今將三方合而爲一名曰三一腎氣丸其間補瀉兼施庶乎可也《方廣》
◈ 옛 처방에는 “신기환, 고본환, 보음환 같은 것들은 다 음을 불쿠어주고 혈을 보하는 약이다. 그러나 고본환은 가슴이 그득하고 담이 있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 보음환은 비가 허하고 습기가 있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 오직 신기환만이 신을 보하고 음을 불쿠어 줄 뿐아니라 겸해서 습담을 치료하는데 가장 적당하다. 그렇지만 약종이 적고 양이 적어서 제작용을 다 하지 못한다. 그래서 지금 3가지 처방을 합쳐서 만들었기 때문에 일명 삼일신기환이라고 한다. 삼일신기환은 보하고 사하는 작용이 다 있다”고 씌어 있다[방광].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방광(方廣)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사(卷四) 허노(虛勞)
내용 ; 허로(虛勞)를 치료하고 심신(心腎)등 모든 장기(臟器)의 정혈(精血)을 더해주고 화습(火濕)을 사(瀉)해주거나 음허(陰虛)하여 신화(腎火)가 염상(炎上)하여 폐조(肺燥)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구기자(枸杞子): 75 g.
귀판(龜板): 112.5 g.
맥문동(麥門冬): 75 g.
목단피(牧丹皮): 112.5 g.
백복령(白茯苓): 112.5 g.
산수유(山茱萸): 150 g.
산약(山藥): 150 g.
생건지황(生乾地黃): 150 g.
쇄양(鎖陽): 112.5 g.
숙지황(熟地黃): 150 g.
오미자(五味子): 37.5 g.
우슬(牛膝): 75 g.
육계(肉桂): 37.5 g.
인삼(人蔘): 75 g.
지모(知母): 37.5 g. 소금으로 볶는다.
천문동(天門冬): 75 g.
택사(澤瀉): 112.5 g.
황백(黃柏): 37.5 g. 소금으로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오동나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효능 ; 보심신제장정혈(補心肾諸藏精血)
주치병증
허로(虛癆)
허손노상(虛損勞傷)의 약칭. 정기와 기혈이 허손된 병증. 선천적 기혈부족, 외상(外傷), 주색, 칠정내상, 음식, 노권, 기욕무절(嗜欲無節)로 생김. 술은 폐를 손상시켜 습열(濕熱)이 훈증되어 폐음(肺陰)이 더워짐. 색(色)은 신(腎)을 손상시켜 정실(精室)이 비어 상화(相火)가 제어되지 않음. 사려는 심(心)을 손상시켜 혈이 모손(耗損)되어 쉽게 상염(上炎)함. 노권(勞倦)은 비(脾)를 손상시켜 열이 생겨 진음(眞陰)을 없앰. 분노는 간을 손상시켜 노울(怒鬱)하면 간화(肝火)가 치성하여 작혈(灼血)하므로 크게 노하면 토혈(吐血)함. 입맛이 없고, 우울하고, 유정(遺精)과 몽설(夢泄)이 있고, 허리, 등, 옆구리와 근육, 뼈가 아프고, 조열(潮熱)이 나고, 자한(自汗)과 도한(盜汗)이 있고, 기침하며 가래가 나옴. 폐결핵(肺結核)에 해당함.
이명 ; 노겁(勞怯)
첫댓글 좋은 환약(알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