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04년 6월 28일 바그다드에서 치러진 이라크 주권이양식에서 미 군정의 폴 브리머 최고행정관(오른쪽)이 마흐디 알 마흐무드(왼쪽) 이라크 대법원장에게 주권 이양 서류들을 건네고 있다. 이라크 임시정부의 이야드 알라위 총리(가운데). |
미국에서 이라크로의 주권 이양식이 당초 일정을 이틀 앞당긴 2004년 6월 28일 오전 10시26분(현지시각), 삼엄한 경비 속에서 바그다드 도심에 위치한 옛 과도통치위원회(IGC) 본부에서 은밀히 치러졌다. 폴 브리머 연합군 임시행정처(CPA) 최고 행정관은 이날 주권이양과 관련된 법률문서를 가지 알 야와르 임시정부 대통령에게 공식 인계하고 서명식을 가졌다.
이로써 지난해 4월 9일 수도 바그다드 함락으로 사담 후세인 전 대통령 정권이 붕괴되면서 미군 주도 연합군의 점령통치가 시작된 지 1년2개월19일 만에 이라크는 다시 주권국가가 됐다. 연합군은 이날 후세인과 측근들의 사법적 관할권도 이라크 법무부에 넘겼다고 아랍어 위성방송 알 자지라가 전했다.
미 군정 당국과 이라크 임시정부가 당초 예정일을 이틀 앞당겨 전격적으로 주권이양 행사를 가진 것에 대해 당초 예정일에 맞춰 감행될 저항세력들의 대규모 테러공격을 피하고 이라크 안정화를 조기 실현하려는 포석으로 풀이하기도 했다.
한편, 아랍어 위성방송 알 아라비야 등에서는 ‘미국이 권력이양을 서두르는 목적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폭력에 대항할 수 있는 힘을 임시정부에 실어주기 위한 조치”라는 전문가의 분석을 소개하기도 했다.
[오늘의 인물] 2009년 6월 28일 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거장 유현목 감독 타계 리얼리즘 영화의 거장, 유현목(兪賢穆) 감독이 2009년 6월 28일 낮 12시30분 고양시 동국대 일산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84세. 1925년 황해도 사리원에서 출생한 유현목 감독은 46년 월남한 후, 전쟁 중 아버지와 동생을 폭격에 잃고, 대학(동국대)에서 국문학을 전공하면서 실존주의에 깊이 빠졌다. 때문에 그의 영화는 6·25 전후 격변하는 한국 사회상을 담고 있으나, 그 표현방식은 매우 담담하고 지적이었다. 1956년 영화 ‘교차로’로 데뷔했으나, 한국의 작가주의 시대를 연 유 감독의 대표작은 주로 리얼리즘 소설이 원작이다. 이런 유의 영화가 원작에 비해 깊이가 떨어지는 반면, 감독의 영화는 원작의 잔상을 더욱 오래 남게 했다. 전후(戰後) 흔들리는 한국사회를 생생하게 그린 ‘오발탄’(1961·이범석 원작), 사회부적응자 소시민의 삶을 비교적 따스하게 묘사한 ‘잉여인간’(64·손창섭 원작), 이데올로기에 파멸되는 화가 지망생이 주인공인 ‘나도 인간이 되련다’(69·유치진 원작), 아기장수 설화를 바탕으로 민초의 생명력을 그린 ‘옛날옛적에 훠어이 훠이’(78·최인훈 원작), 빨치산 가족의 반목과 화해를 그인 ‘장마’(79·윤흥길 원작) 등이 그런 영화들이다. “조물주의 오발탄”이라는 대사로 유명한 ‘오발탄’은 미 샌프란시스코 영화제에 초청받기도 했으나,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주인공 송철호가 택시를 타고 “가자, 가자”하는 대목이 “북으로 가자는 것이냐”는 정권의 의심을 받아 상영중지됐다. 그는 또 ‘순교자’(65·김은국 원작) ‘사람의 아들’(81·이문열 원작)을 통해 신의 문제를 접하는 인간의 고민을 다뤘다. 칠순에 찍은 감독의 마지막 작품은 한 소년의 성장기인 ‘말미잘’(1995). 유현목 감독은 또 철저히 현실적 주제를 다루면서도 한 장면을 길게 찍는 롱테이크, 앞 장면이 사라지면서 다음 장면이 이어지는 식의 오버랩 등 영화형식에 대한 실험도 잊지 않았다. 1990년 동국대 예술대학장으로 퇴임했고, 이후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명예교수를 맡았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감독의 업적을 기려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키로 했고, 영화계는 고인의 장례를 대한민국 영화인장으로 치르기로 했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45건 ㆍ2010년 · ‘시계산업 구세주’ 스와치 하이예크 회장 별세 ㆍ2009년 · 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거장 유현목 감독 타계 ㆍ2009년 · 온두라스 군부 쿠데타… 셀라야 대통령 추방돼 ㆍ2003년 · 서기7세기 추정의 마애불상 발견 ㆍ2001년 · 미국 항소법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분할명령은 무효라고 판결 ㆍ2000년 · ‘요도호’ 납치범, 범행 30년 만에 일본으로 송환 ㆍ1998년 · 김정일,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선거 후보자로 선출 ㆍ1995년 · 미국 여배우 ‘라나 터너’ 사망 ㆍ1993년 · 미스코리아 선발 부정사건 ㆍ1991년 · 코메콘, 42년 만에 공식해체 ㆍ1980년 · 정부, 컬러TV 방영방식을 NTSC식(미국식)으로 결정 ㆍ1979년 · 제5회 주요선진국 정상회담 개최(일본 동경) ㆍ1979년 · 석유수출국기구(OPEC), 기준유가 59%인상 ㆍ1977년 · 외무부, 김형욱사건 청와대 도청사건과 관련 미국에 항의각서 전달 ㆍ1976년 · 세이셸이 영국의 통치로부터 독립 ㆍ1976년 · 실론 독립. 국가명을 스리랑카로 명명 ㆍ1974년 · 해경 초계정, 북한 함정에 피침 ㆍ1967년 · 지리학자 육지수 사망 ㆍ1966년 · 아르헨티나 군부 쿠데타 . 일리야 대통령 실각 ㆍ1962년 · 이준구, 미 워싱턴에 태권도장 개관 ㆍ1958년 · 제6회 스웨덴월드컵서 브라질 우승, 펠레 일약 스타로 부상 ㆍ1956년 · 폴란드 포즈난에서 반공의거, 반소(反蘇) 봉기 ㆍ1954년 · 주은래, 네루의 평화 5원칙 발표 ㆍ1952년 · 국회 김성수 부통령 신변에 낭설, 공보처에서 부정성명 ㆍ1950년 · 북한 공산군 서울 점령 ㆍ1950년 · 공산주의 운동가 이주하 처형 ㆍ1950년 · 한강 인도교 폭파 ㆍ1950년 · 독립운동가 이붕해 사망 - 일본왕 히로히토 암살을 시도 ㆍ1948년 · 코민포름, 유고 공산당 제명 ㆍ1939년 · 군용자원보호법 공포 ㆍ1921년 · 흑하사변 발발,(소련, 무장해제에 불응하는 흑룡강 자유시의 한국독립단부대 습격) ㆍ1921년 · 러시아 적군, 이만시에 집결한 한국독립군 공격(자유시사변) ㆍ1919년 · 베르사유 강화조약 조인 ㆍ1918년 · 미국 육군에 화학전부대 창설 ㆍ1918년 · 소런, 대공업의 국유화 포고 ㆍ1914년 · 오스트리아 황태자 피살 ㆍ1908년 · 터키의 청년터키당, 마베도니아 지방에서 봉기 ㆍ1902년 ·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3국동맹 제4차 갱신하여 6개년 연장 ㆍ1902년 · 미 하원, 해협운하법 가결. 미 대통령에게 파나마와 니카라과 운하부설권을 부여 ㆍ1873년 · 프랑스의 생물학자 알렉시 카렐 출생 ㆍ1867년 · 근대 희곡의 혁신자 피란델로 출생 - 1934년 노벨문학상 수상 ㆍ1836년 · 미국의 제4대 대통령 매디슨 사망 ㆍ1800년 · 조선조 22대왕 정조 승하 ㆍ1712년 · 프랑스 사상가 루소 출생 ㆍ1577년 · 화가 루벤스 출생 [출처 : 조선닷컴]유현목 감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