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陰陽五行의 普遍原理
一. 天幹(干)과 地枝(支)
李虛中과 徐子平이 命理術을 창립한 후로 命을 추산하는 방법은 완전히 天干 地支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天干 地支는 줄여서 간지(幹枝) 또는 간지(干支)라고 부른다.
幹은 나무의 줄기와 같으며 枝는 나무의 가지와 같다. 따라서 幹은 강하고 양에 속하며 枝는 약하고 음에 속한다. 이것이 幹枝라는 말의 최초의 뜻이다.
◦天干의 수는 10개이고 그것들을 순서대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地支의 수는 12개이고 순서대로 쓰면 다음과 같다.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1. 십간(十干)
갑(甲):초목이 땅을 뚫고 싹트는 것을 본떴다. 양이 안에 있고 음에 의해 싸여 있다.
을(乙):초목이 막 싹이 터 나와 잎이 아직 부드럽고 굴곡이 있다.
병(丙):빛난다는 뜻이다(炳). 마치 찬란한 태양이나 활활 타오르는 불꽃처럼 만물이 모두 빛나며 뚜렷하게 드러남이다.
정(丁):초목이 완전히 자라 알찬 것이, 마치 사람이 완전히 건장한 성인(成人)이 된 것과 같다.
무(戊):무성하다는 무(茂)와 같다. 땅위에 초목이 무성한 것을 나타낸다.
기(己):일어난다는 기(起)나 기록한다는 기(紀)의 의미이다. 억눌린 것을 제치고 일어남으로 우리들이 파악할 수 있는 형체를 갖는다. 계통을 이룬다(紀)는 뜻도 있다.
경(庚):바꾼다, 고친다는 경(更)의 의미이다. 가을이 되면 거둬들여 다음해의 봄을 기다린다.
신(辛):금미(金味)는 매우며(가을도 金味이다) 사물은 완성된 뒤에야 맛을 갖는다. 또 辛은 新과 같으며 만물이 가을이 되어 안으로 기운을 모아 들여 열매가 새롭게 익어 감이기도 하다.
임(壬):아이 밴다는 임(妊)과 같다. 양기는 땅속에 숨어 있고, 만물은 봄이 되면 태어날 새로운 생명을 잉태한다.
계(癸):법도 또는 헤아린다는 규(揆)의 의미이다. 만물이 갇혀 있으면서 땅 밑에서 잉태를 하여 법도에 맞게 움을 터 나간다.
2. 十二支
자(子):길러져 나옴이다. 一陽(종자)이 흙 속의 수분을 흡수하여 싹터 나오는 처음이다.
축(丑):초목이 땅속에서 움이 터 굽은 상태로 땅 위로 솟아 나옴이다.
인(寅):펼쳐짐(演)이고 진액(津液)이다. 차가운 땅 속에서 구부러져 있던 초목이 봄을 맞아 땅 위로 퍼져 나감이다.
묘(卯):무성함이다. 덮어쓰는 것이다. 해가 동에서 비치니 만물이 무성해진다.
진(辰):진동함이다. 만물이 떨치고 일어나 자라나니 양기가 활발함을 드러내 이미 반을 넘겼다.
사(巳):일어남이다. 음기는 소진하고 순양으로 음이 없는 것 같다.
오(午):만물이 풍만하고 장대함이다. 양기가 극
도로 왕성하고 음기가 비로소 싹튼다.
미(未):맛(味)이다. 과일이 성숙하여 맛이 있음이다.
신(申):몸(身)이다. 물체가 모두 이미 장성함이다.
유(酉):고삐이다. 수축되고 수렴함이다.
술(戌):멸(滅)이다.
해(亥):탄핵〔劾〕함이다. 음기가 만물을 탄핵하여, 죽임이 이때에 이르러 가장 극점에 다다름이다.
열 개의 天干과 열 두개의 地支의 최소공배수는 60이다. 따라서 그것들을 순서대로 조합하여 하나의 순환체계를 만들 수 있는데 이것을 흔히 六十甲子 또는 六甲이라고 한다.
일찌기 춘추전국시대에는 역법이 혼란스러워 하(夏)나라 역법인 하력(夏曆), 殷나라 역법인 은력(殷曆), 주(周)나라 역법인 주력(周曆)이 동시에 사용되었다. 이들의 차이는, 매년의 시작 달을 어디에 두느냐에 있다. 진시황이 周曆에 따라 子月(11월)을 歲首로 했다. 이후 기원전 104년 한무제(漢武帝)가 태양력으로 바꾸어 쓰면서 夏曆에 따라 寅月을 歲首로 확정했다. 그 후 2천여 년간, 왕망(王莽)과 위명제(魏明帝) 때에 한차례 殷曆으로 바꾸어 쓴 일과 당무칙천(唐武則天)과 숙종(肅宗)이 周曆으로 바꿔 쓴 일을 제외하고는 夏曆을 일년의 시작으로 삼았다.
〈 60 甲 子 〉
甲 子 | 海中金 | 乙 丑 | 해중금 | 丙 寅 | 爐中火 | 丁 卯 | 로중화 | 戊 辰 | 大林木 | 己 巳 | 대림목 | 庚 午 | 路傍土 | 辛 未 | 로방토 | 壬 申 | 劍鋒金 | 癸 酉 | 검봉금 |
甲 戌 | 山頭火 | 乙 亥 | 산두화 | 丙 子 | 澗下水 | 丁 丑 | 간하수 | 戊 寅 | 城頭土 | 己 卯 | 성두토 | 庚 辰 | 白蠟金 | 辛 巳 | 백랍금 | 壬 午 | 楊柳木 | 癸 未 | 양류목 |
甲 申 | 泉中水 | 乙 酉 | 천중수 | 丙 戌 | 屋上土 | 丁 亥 | 옥상토 | 戊 子 | 霹靂火 | 己 丑 | 벽력화 | 庚 寅 | 松栢木 | 辛 卯 | 송백목 | 壬 辰 | 長流水 | 癸 巳 | 장류수 |
甲 午 | 沙中金 | 乙 未 | 사중금 | 丙 申 | 山下火 | 丁 酉 | 산하화 | 戊 戌 | 平地木 | 己 亥 | 평지목 | 庚 子 | 壁上土 | 辛 丑 | 벽상토 | 壬 寅 | 金箔金 | 癸 卯 | 금박금 |
甲 辰 | 覆燈火 | 乙 巳 | 복등화 | 丙 午 | 天下水 | 丁 未 | 천하수 | 戊 申 | 大驛土 | 己 酉 | 대역토 | 庚 戌 | 𨥁釧金 | 辛 亥 | 차천금 | 壬 子 | 桑栢木 | 癸 丑 | 상백목 |
甲 寅 | 大溪水 | 乙 卯 | 대계수 | 丙 辰 | 沙中土 | 丁 巳 | 사중토 | 戊 午 | 天上火 | 己 未 | 천상화 | 庚 申 | 石榴木 | 辛 酉 | 석류목 | 壬 戌 | 大海水 | 癸 亥 | 대해수 |
澗:산골물간, 白蠟:백랍벌레의 집, 覆:엎어질복, 덮을 부 𨥁:비녀 차, 釧:팔지 천
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地支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史記의 曆書에 “夏나라의 정월은 (태음력의) 정월로, 殷나라의 정월은 (태음력의) 12월로, 周나라는 정월을 (태음력의) 11월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