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서는 진언이 큰비중을 차지한다.
고대는 神을 부르는 의미가 있었으며, 불교에서는 신 부림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고대 바라문교나 흰두교에서 진언은 필수 요소가 되었다고 본다.
불교에서는 수행에서의 내면적 자기 개발의 도구로 수용 되었다.
진언의 중요 요소
상징성: 불교는 진언이라는 상징을 통하여 깨달음에 경지애 도달 하는 것
진동성: 청각적으로 심리를 자극하여 내면적 변화를 가져오게함
위의 요소는 수행자가 긍정적인 마음자세가 있어야 한다.
육자 진언의 성립
육자 진언에 대한 대표적 문헌
대승장엄보왕경은 6세기 정립되기 시작하여 10세기 완성으로 보고 있다.
마니카 붐은 티베트 왕 송첸감포왕이 만든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옴마니반메홈(om-na-ni-pa-dme-hum)
다른말로 육자대명(六字大明)-진언에 대한 기원은 명확하지않다.
11세기초에 관세음 신앙이 널리 전파되어 11세기에 융성 하였다고 본다.
육자진언은 관세음보살과 깊은 관계가 있는 진언이다.
위 두 문헌이 육자진언 대한 설을 말하고 있으나 사실 보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불교의 천수경에 나오는 관세음보살의 진언이며,밀교를 비롯하여 불교에서 사용되는 주문 중 하나이며
성철스님'옴 마니 파드메 훔' 이라고 하였지만, 옴마니반메홈이 사용되고있다.
불설대승장엄보왕경'(佛説大乘莊嚴寶王經) 등에서는,
여러가지 재앙
병환, 도적 ,재난에서 관세음보살이 지켜주고, 성불을 하거나 큰 자비를 얻는다
"옴, 연꽃속에 있는 보석이여, 훔”으로서, 관세음보살을 부르는 주문이다.
육자 진언 동류 진언
1-여의다라니경(여의륜관음의 신앙을 설함
삼종진언(귀경구,진언본문, 기원구)
근본타라니는 전형적인 진언 형식을 가지고 있다.
2-불공견삭신변진언경(불공대삭관음과 관계됨)
관세음과 비로자나불의 진언의 성격이 다름
OM CINTAMANI padma (JVALA )-지혜를 뜻하고 문자적으로는 금강석
왜 육자 일까!!
관세보살이 계신 곳을 나타내는 곳으로
동, 서 ,남, 북, 하늘, 지하 (여섯 방향이라서 그렇게 6자로 했을 것으로 추정)
현교 육바라밀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CE93359D0C87211)
보름달: 보시 신발: 인욕 반달: 지계
가위: 정진 구름:선정 금강저: 반야
밀교 육자진언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육자 진언의 상징 의미
1-om 과 hum의 의미
옴과훔은 하나의 정형화된 형식으로 진언의 앞과 뒤에 위치
om-모든 존재를 머금고 있는무한한 법계의 원리를 상징
우주에 변만하여 있는 덕성 ,우주적 법칙,생명력, 창조력,지혜 등을 전체적 상징
불교계에서는 삼신불(석가모니불,비로자나불,노사나불),,그리고 비로자나불 상징
무한상, 태양,우주적생명 그자체,우주를 향하여 상승하는 것이고
마음을 활짝 열고 우주적 생명력을 감싸 안는것
우주적 생명 원리로 비로자나불 상징
진언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다 머금고 있는 것
육자진언을 구성하는 모든 내용 옴마니 반메홈 그 자체를 상징하는 것
hum-개별상이 가지고 있는 우주적 원리 상징
유한상에 있는 무한상, 현실속의 영원성, 찰라 속의 무한시간
현상속의 실상, 유상속에서 활동하는 무상등 을 상징
태양빛을 받아 들이는 땅, 개별적 존재속에 활동하는 우주적 생명력
인간의 마음을 향하여 하강하는 원리
생명력을 전신에 미치게 하는 것
개별적 존재속에 활동하는 우주적생명 원리로서 금강살타 상징
진언을 구성하는 요소가 구체적으로 활동하는 상징
육자진언의 원리 옴마니반메홈의 덕성이 개별적으로 수행자에 있어서 통합적으로 체험되는 것
2-mani와 padme
mani-(ranta동의어)
보주, 불교에서 정신적 재보의 상징
불교 신앙의 기본 대상,불법승을 세가지 재보 삼보라고 함
인간의 정신의 원형, 즉 의식활동, 그 자체의 원형을 가리켜 왔다.
후기불교에서는 지속적인 의식의 흐름, 변함없는 지혜. vajra(금강석)과 동일시 됨
마음의 본성,모든 의식의 요소들을 깨달음의 방법과 도구로 전환시키는 현자의 돌과 같은 깨달음의 의식 상징
padme-연꽃의 말함
연꽃은 진흙에서 자라나서 수면 밖으로 올라와서 꽃을 피우기에 진흙과 물에 물들지 않고 깨끗함에 비유
연꽃은 세속에 처하여 있는 순수성 상징
만개한 연꽃은 때 묻지 않은 정신적 활동을 나타낸다.
의식적으로 깨어나서 마치 연꽃잎처럼 그자신을 활짝 열고 마치 태양의 빛처럼 널리 비추는 심리적활동의 중심처
특히 이들 의식 활동의 중심처들의 원형으로서 심장에 비유
충분히 익은 연밥의 모양이 마치사람의 심장과 같기 때문.
mani-padme 연꽃속의 보주는 인간의 심장에 잠자고 있는 깨달음의 의식의 순수한 원질로 해석
연꽃은 대비태장계만다라에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태아를 앙태하여 보호하고 양육시키는 어머니의 태장을 상징
대일경의 태장만다라는 진실의 주처를 표현, 일제 존재를 나투는 원리를 나타냄
mani-padme 는 여러 종류의 개념을 가진다
불교 교리의 심장에 자리 하고 있는 수승(가장 뛰어 난)한 지혜
대승불교 안에 포함되어 있는 밀교의 심비한 지혜
중생의 마음안의 마음, 심장안의 부처, 각기 목적과 방편 등의 의미
세속의 성취한 열반을 가리키도 한다
세속속의 영원성 .....남성 원리. 여성원리
금강계만다라는 남성적 원리로서 실천적 지혜
태장 만다라는 여성원리로서 이 활동의 바탕이 되는 이성을 표현
3-육자진언의 상징의미
육자진언-(om mani-padme hum) 우주에 충만에 있는 지혜와 자비의 덕성이 지상의 모든 존재에
그대로 실현 될지라 는 뜻이 있다.
육자진언-호격의 형태를 가짐. 진언 그 자체에 지혜와 자비를 갖춘자의 본존의 의미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지혜와 자비를 갖춘자인 본존에 대한 신행적 해석에 따라서 육자 진언은 무수한 상징의 의미를 가진다.
대승장엄보왕경에서는 육자진언은 관자재보살의 미묘본심이며, 본심을 아는 자는 즉시 해탈한다고 한다.
육자진언은 대승경전의 진수이고 대승은 껍질과 같고 육자진언은 백미와 같아서 진언을 염송하면 지혜와 커다란 자비를 얻고 육바라밀다를 완성한다. 이 진언을 염송하면 찰나에 육바라밀다를 완성한다.
마니카붐에 나오는 육자 진언-관자재 보살의 본심을 강조하고, 열애의 무량이고 수승한 지혜를 담고 있다.
왜냐하면 진언은 삼세의 모든 부처님의 설법을 나타내는 진언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티벳트 역사에서는 제불사상의 핵심이며, 제법의근원이라 말한다.
4-육자 진언의 수행과 상징 의미
육자진언의 상징형식 오불, 오지와 관련된 상징
육자진언의 염송에 의해서 五智(법계체성지, 대원경지. 평등성지, 묘관찰지. 성소작지 성취를 한다고 한다)
다섯 가지를 지혜를 성취하면
오불(대자비존,비로자나불, 금강살타,보생불,아미타불,불공성취불) 의 경지를 체득한다.
*** 밀교(密敎)에서 오지(五智)를 체득한 다섯 부처. 법계체성지를 체득한 대일여래(大日如來), 대원경지를 체득한 아촉여래(阿閦如來), 평등성지를 체득한 보생여래(寶生如來), 묘관찰지를 체득한 미타여래(彌陀如來), 성소작지를 체득한 불공성취여래(不空成就如來)를 이른다.***
비로자나진언으로서의 육자진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