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꽃 & 사랑은 / 현숙 & photo by 모모수계
https://youtu.be/pByw81IwmNM
음악편집:체칠리아
[오늘의 사건]
2001년 8월 15일
북한에서 개최된 `6·15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 8·15 공동행사`에 참석한 남측 대표단,
북한 통일탑 개·폐막식 행사에 참석해 파문
김일성 생가라는 만경대에서 방명록에 `만경대 정신...`이라고 써 파문을 일으킨
동국대 강정구 교수가 김포공항에 들어오면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6·15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 8·15 공동행사` 참석차 2001년 8월 15일 평양을 방문한
남측 대표단 중 일부가 당초 정부와의 약속을 어기고 `조국통일 3대 헌장 기념탑(통일탑)` 앞에서
열린 개·폐막식 행사에 참석해 파문이 일었다.
대표단은 정부에 "기념탑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쓰고 방북했었다.
`조국통일 3대 헌장`이란 7·4 공동성명에서 천명됐던 `조국통일 3대 원칙`과
1980년 노동당 6차 대회에서 밝힌 `고려민주 연방 공화국 창립방안
1993년 제9기 최고 인민회의에서 발표된 김일성의 `민족대단결 10대 강령`을 뜻하며,
기념탑은 이를 기념, 선전하기 위한 탑이다.
또 방북단 중 강정구 동국대 교수는 만경대(김일성 생가)를 참관하면서
방명록에 "만경대 정신 이어받아 통일위업 이룩하자"
는 글을 남겨 많은 국민들에게 격심한 통분을 안겨주었다.
방북단의 상당수 인사들도 "돌출 행동이자 객기"라며 비판했지만,
정작 통일연대 측은 "연방제를 불온시해선 안되고, 통일탑 행사 참석도 문제 될 것이 없다"라고
주장하고 나서 南南(남남) 갈등을 더욱 증폭시켰다.
정부는 "대표단 4명으로부터 출발 하루 전 각서를 받았고, 이 같은 사실을 대표단 전원에게 알렸다"며
발뺌했지만, 통일문제에 대한 왜곡된 인식은 물론, 현행법마저 무시하는 인사들까지 정부가
서둘러 방북 승인을 했다는 점에서 `예고된 사고`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구나 통일부가 국가보안법상 이적단체로 규정된 한총련과 범민련 남측본부
간부들의 방북을 불허해야 한다는 검찰 등 공안당국의 반대의견을 묵살하고
방북 하루전 당초의 `불허`에서 `승인`으로 번복한 것으로 알려져
우리 정부의 안이한 대북인식이 위험 수준에 이르렀음을 확인시켜주었다.
이들이 귀환하자 경찰과 국정원은 16명을 공항에서 긴급체포, 조사한 후
이들 중 姜 교수를 포함 7명을 구속했다. 姜 교수는 연행 前 김포공항에서
"만경대 정신이라는 개념을 언론이 확인도 없이 멋대로
왜곡·과장해 문제 삼은 것"이라고 밝히며 책임을 언론에 돌렸다.
[오늘의 사건]
2003년 8월 15일
조오련, 한강 600여 리(250km) 열흘 만에 종단 성공
‘아시아의 물개’ 조오련.
‘아시아의 물개’ 조오련(53)씨가 한강수계 600여 리(250km)를 역영해
15일 오후 골인지점인 서울 여의나루 선착장에 도달했다.
조 씨는 5일 오전 북한강 최북단인 강원도 화천군 민통선 북방 10km 지점에서
물에 뛰어들어 2시간 9분을 헤엄친 끝에 12km 떨어진 평화의 댐에 도착, 첫날 일정을 마쳤다.
6일부터는 화천댐·춘천댐·의암댐·청평댐·팔당댐을 거친 뒤
광복절인 15일 여의도 선착장에 도착해 대장정을 마쳤다.
하루 평균 7시간씩 수영하는 강행군이었다.
조 씨는 1970년, 1974년 아시안게임 남자 자유형 400m와 1500m를 각각
2 연패했으며, 은퇴 후 대한해협과 영국 도버해협을 수영으로 건넜다.
동계 바다수영 부문서 기네스 기록 두 개를 갖고 있는 중국 출신의
왕강이(王剛義·47)가 2001년 12월 22일 ‘2002 월드컵 성공 개최’를 기원하며
뚝섬에서 한강을 헤엄쳐 건너는 것을 지켜본 뒤 한강 주파를 결심했다.
조 씨는 7월 말부터 강원도 파로호 선착장 인근에 캠프를 차리고
죽마고우인 지봉규 수영감독 등과 함께 훈련해왔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56건
ㆍ2010년 · 광화문 1865년 원형으로 복원, 개문식(開門式)
ㆍ2005년 · 남북 이산가족 첫 화상상봉
ㆍ2003년 · 조오련, 한강 600여 리(250km) 열흘 만에 종단 성공
ㆍ2001년 · `6·15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 8·15 공동행사`에 참석한
일부 남측 대표단, 북한의 조국통일 3대 헌장 기념탑에 참배해 물의
ㆍ2001년 · 북한에서 개최된 `6·15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 8·15 공동행사`에
참석한 남측 대표단, 북한 통일탑 개·폐막식 행사에 참석해 파문
ㆍ2000년 · 북한 민항기 50년 만에 한국에 첫 취항
ㆍ2000년 · 남북 이산가족 200명 서울-평양에서 50년 만에 혈육 상봉(-18일)
ㆍ1998년 · 이란 성지순례단, 18년 만에 처음으로 양국 국경선을 통해 이라크를 방문
ㆍ1998년 · 정부, 건국 50주년 맞아 총 7천7명 특별사면·복권·가석방
ㆍ1998년 · 북아일랜드 폭탄테러로 30년 만에 최대 유혈참극 발생
ㆍ1997년 · 뮤지컬 `명성황후` 국내 공연 사상 최초로 뉴욕 공연
ㆍ1996년 · 일본 행동파 지성 마루야마 마사오 사망
ㆍ1995년 · 구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시작, 중앙돔 상부 첨탑 철거
ㆍ1989년 · 이내창 군 의문사
ㆍ1989년 · 임수경 양과 문규현 신부, 전대협 대표로 평양축전에 참가한 후 판문점 통해 귀환
ㆍ1987년 · 독립기념관 개관
ㆍ1983년 · 독립기념관 천안에서 기공
ㆍ1979년 · 캄보디아 헹 삼린 정권, 폴 포트 정권 4년 동안 300만 명이 학살되고 사원 2800개소가 파괴됐다고 발표
ㆍ1975년 · 방글라데시 군부 쿠데타
ㆍ1974년 ·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ㆍ1974년 · 새마을호 운행 개시
ㆍ1974년 · 육영수 여사 피격 사망
ㆍ1971년 · 바레인, 영국으로부터 독립
ㆍ1970년 · 김용섭, ‘조선 후기 농업사 연구’ 출간
ㆍ1970년 · 남산 1호 터널 개통
ㆍ1970년 · 병무청 발족
ㆍ1970년 · 박정희 대통령, 남북통일. 8·15 선언 발표
ㆍ1969년 · 우드스톡 축제
ㆍ1968년 · 정치활동 정화법 시효 만료
ㆍ1966년 · 냐짱에 주월(駐越) 야전사령부 신설
ㆍ1966년 · 새돈 500원권 유통
ㆍ1961년 · 농업협동조합 발족
ㆍ1961년 · 동독 군인 콘라트 슈만, 서독으로 탈출
ㆍ1960년 · 콩고, 프랑스로부터 독립
ㆍ1954년 · 전국 댄스홀 폐쇄령
ㆍ1953년 · `Korea Republic(現-코리아 헤럴드)` 창간
ㆍ1953년 · 정부, 서울 환도를 선포
ㆍ1952년 · 네덜란드 인도네시아서 이리 안 조약 조인
ㆍ1949년 · 헝가리 인민공화국 선언
ㆍ1948년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식
ㆍ1948년 · 하지 중장 군정 폐지 발표
ㆍ1948년 · 한글 맞춤법 통일안 발표
ㆍ1947년 · 인도 공화국 수립(초대 수상 네루)
ㆍ1946년 · 서울 특별 자유시 헌장 제정
ㆍ1945년 · 대한민국, 일제에서 해방
ㆍ1945년 · 프랑스 페탕원수에 사형 결정
ㆍ1945년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결성
ㆍ1926년 · 시인 박인환 출생
ㆍ1923년 · 독일 바이마르에서 바우하우스전 개최
ㆍ1917년 · 레닌 `국가와 혁명` 완성
ㆍ1914년 · 파나마 운하 개통
ㆍ1888년 · `아라비아 로렌스`로 알려진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 출생
ㆍ1771년 · 영국 계관시인 월터 스코트 출생
ㆍ1769년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출생
ㆍ0423년 · 서로마 제국의 황제(393-423) 호노리우스 사망
ㆍ0032년 · 신라, 한가위의 가배(嘉排) 놀이 시작
[출처 : 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