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죽음의 도시' 문답식 해설(3):작곡가 코른골트
1. 작곡가는?
ㅡ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1897~195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현재 체코의 브르노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2. 그의 형의 이름은 로베르토이다.
이름을 어떻게 지어졌나?
ㅡ음악 평론가인 그의 아버지는 자신이 존경하는 로베르토 슈만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짜르트의 이름을 두 아들에게 붙여줬다.
형에게는 로베르토 동생에겐 볼프강으로 이름을 만들어 주었다.
3. 그의 음악적 천재성을 보여주는 일화는?
ㅡ세 살때 박자를 세기 시작해서 다섯 살 때 아버지와 피아노 연탄을 했고 한번 들은 멜로디를 완벽하게 재연했고 7세 때부터 작곡을 시작했다.
4. 그의 음악적 천재성을 많은 유명 작곡가들이 알게 되었는데 특히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1860-1911)는 9살 된 코른골트에게 어떻게 했는가?
ㅡ그를 음악적 천재라고 단언했고 음악학교에 들어가서 음악을 배우는 것은 의미 없다고 작곡가 알렉산더$ 폰 젬린스키를 스승으로 추천한다.
젬린스키의 제장중에는 아놀드 쇤베르크등 유명제자가 많다.
5. 11세 때 발레를 위한 음악 <눈사람>을 작곡하여 큰 성공을 이룬다. 아버지 작품이라고 소문이 날 정도로 곡의 완성도가 높았다.
이 곡에 대한 슈트라우스의 반응은?
ㅡ'조숙한 천재가 정상적인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어야한다'고 했다.
6. 그의 음악적 행로는 순탄했나?
ㅡ처음엔 순탄했으나 시대적 상황이 그를 불행하게 만들었다.
7. 그가 명실공히 최고의 오페라 작곡가로 등극하게 된 동기는?
ㅡ제 1차 세계대전중인 1916년 군에 입대하여 음악으로 군의 사기를 양양시켰는데 이때부터 오페라 <죽음의 도시>를 쓰기 시작하여 전쟁이 끝난 1920년에 완성시켰다.
이 오페라는 라이트모티프 기법을 비롯한 후기낭만주의의 오케스트라 음악, 다채로운 화성을 통한 극적음악등으로 최고의 오페라 작곡가로 등극하였다.
8. 코른골트의 작곡기법에 여향을 준 작곡가는?
ㅡ스승인 젬린스키 영향과
바그너의 반음계와 라이트모티프 기법.
R. 슈트라우스의 오케스트라 기법, 드뷔시의 색채기법,
푸치니의 베리즈모적 기법등
9. 코른골트가 추구한 음악은?
ㅡ조성에 근거한 자유로운 화성진행 그리고 무엇보다 형식과 주제작업을 중요시 했다.
10. 이러한 코른골트의 음악은 당시 시대적으로 새로운 음악을 추구하고자 했던 모더니즘 작곡가들에게는 진부하기 짝이 없는 음악으로 치부되어 후기낭만주의 경향이 있는 절충주의(Eklektizimus)로 평가받으며 코른골트만의 음악은 없다고 평가받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의 평가는?
ㅡ'절충주의는 독창성의 포기가 아니라 대상의 다양한 도전들을 받아들일 수있는 자유'라고도 했다.
11. 1921년 쇤베르크는 12음 기법을 본격적으로 세상에 소개한다. 그를 지지하던 신음악협회는 코른골트에게 신음악협회에 합류하기를 권유했다.
코른골트의 태도는?
ㅡ이를 단호히 거절하고 조성음악 전통의 수호에 나섰고 코른골트는 음악적 이방인처럼 되었고 고난이 시작되었다.
12. 결혼후 경제적 자립을 위해
작곡보다는 편곡등 공연분야에 힘을 쏟다가 1934년 워너 브라더스의 초청으로 <한 여름밤의 꿈>영화음악을 작곡하게 되어 미국으로 간다.
이후 다시 빈으로 돌아와 오페라등 클래식음악을 작곡하다가 다시 미국으로 간 이유는?
ㅡ나치의 유대인 학살문제로 나치가 오스트리아 합병하기 전에 미국으로 떠난다.
13. 미국에서의 활동은?
ㅡ최고의 대우를 받으며 영화음악을 작곡하며 1938년 워너 브라더스의 영화 <로빈 훗의 모험>의 음악으로 두번째 아카데미상을 수상한다.
14. 영화음악을 시작한후 콘서트 음악은 거의 쓰지 않다가 1949년 빈으로 돌아와 다시 콘서트 음악을 작곡하였으나 옛 명성을 되찾지 못한 이유는?
ㅡ빈은 이미 조성음악과 낭만주의 전통이 사라진 죽음의 도시였다.
그는 시대착오적인 구식 작곡가로 취급되었고
나치에 의해 타락한 음악가라고 낙인이 찍혔는데 클래식이 아닌 영화음악을 작곡했다는 이유로 버림받았다.
15. 비엔나의 모더니즘의 음악이나 기타 아방가르드 음악이 그의 음악세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고 그도 그 흐름에 꺽이지 않고
자신의 길을 걸어 당대엔 명성을 떨치지 못했지만 그가 작곡한 오페라
죽음의 도시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ㅡ세기 전환기 모더니즘 시대가 열렸어도 후기낭만주의의 오페라가
여전히 건재했고 전통과 어떤 관계를 가져야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함에 있어서 비주류의 행보를 엿볼수 있다.
계속됩니다
제공:세실내과 홍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