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이어 오피스텔도 공시가 크게 상승 신혼부부, 청약에 유리한 오피스텔 선호하는데 임대 수익 노리던 다주택자들도 부담 커져 “아파트 뿐 아니라 전국 주택 조세 반발 커질 듯”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청재그린빌은 올해 공시가격이 44%가 뛰었다. 지난해 2억 1300만원에서 3억 800만원으로 오른 것이다.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 평균 상승률인 19.91%보다 2배가 넘는다. 성북구 상승률인 28.01%와 비교해도 15%포인트 이상 높은 상승률이다.
아파트뿐 아니라 오피스텔도 공시가가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오피스텔 매수세가 크게 늘면서 가격이 뛴 영향이다. 공시가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 비율)까지 높이면서 오피스텔도 ‘보유세 인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작년 오피스텔도 ‘패닉바잉’…오피스텔도 보유세 100만원 쑥
17일 부동산공시가알리미에 따르면 송파구 문정동 파크하비오 오피스텔(전용 84㎡)의 공시가격은 9억원을 돌파해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이 됐다. 올해 공시가는 10억 300만원으로 전년도 8억 6000만원에 비해 약 1억 5000만원이 뛰었다. 상승률로만 보면 약 17%다.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코업스테이션 오피스텔도 올해 공시가격이 전년에 비해 15.9% 올랐다. 전용 151㎡의 올해 공시가는 7억 4700만원으로 전년 6억 4400만원보다 약 1억원 오른 것이다.
오피스텔 공시가격이 크게 오른 데는 지난해 ‘패닉바잉’ 열풍으로 비아파트까지 가격이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또 공시가 현실화율을 높이면서 오피스텔 공시가도 시세에 맞춰 상승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다양한 요인을 반영하지만 공시가에 시세를 반영할 수밖에 없다”며 “오피스텔 공시가 인상 또한 이와 무관치 않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건수는 1만 5203건으로 전년도 1만1128보다 약 36% 증가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이후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1월을 제외하고 모두 7개월 동안 상승했다.
결과적으로 공시가격이 상승하면서 오피스텔 소유주들도 보유세 부담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파크하비오의 경우 공시가가 9억원이 넘으면서 종부세까지 가산, 올해 보유세는 339만원에 달한다. 전년도 보유세인 243만원보다 100만원가량 높은 보유세다. 코업스테이션도 공시가가 상승하면서 보유세가 약 50만원 늘었다. 올해 보유세는 202만원으로 전년도 163만원에 비해 약 23% 늘어난다.
오피스텔 소유주 사이에서도 공시가 인상이 예상보다 높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청약 등을 노리며 오피스텔을 소유해오던 신혼부부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오피스텔은 청약 시 주택수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신혼부부들의 선호도가 높다.
한 신혼부부는 부동산관련 온라인커뮤니티에 “오피스텔이 아파트에 비해 공시가가 낮다는 이야기들이 있어, 절세에 유리한 줄 알았다”며 “공시가를 확인해보니 대략 30%올라, 남편과 당황스러워 하고 있는 중이다”라고 밝혔다.
또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각각 1채씩 가지고 있는 다주택자들의 부담도 적지 않다. 통상 임대 수익을 노리고 오피스텔을 보유 중인 다주택자가 적지 않은데, 오피스텔의 공시가격이 크게 늘면서 종부세 부담까지 안게 됐다. 다주택자의 경우 공시가격 합이 6억원을 넘으면 종부세를 내야 한다. 대전의 한 다주택자는 “이번 오피스텔 공시가격까지 덩달아 높아지면서 종부세 내게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오피스텔도 놀란 공시가 인상에…지자체도 나서
오피스텔까지 번진 ‘공시가 폭탄’에 지자체들의 공개적인 반발 조짐도 보이고 있다. 서울 서초구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정부에 공시가 정부에 주택공시가격 동결을 건의하고, 합동 조사를 실시 할 예정이다. 서초구 관계자는 “이번 주택공시가격 상승에 따른 국민들의 고통과 불안이 서울 뿐 아니라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경기 불황 등을 감안해 주택 공시가격을 동결하고, 제주도가 설치한 공시가격 검증센터를 전국으로 확대해 불공정한 주택공시가격에 대하여 전면 재조사 할 것을 정부에 건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아파트에 이어 오피스텔, 빌라까지 공시가격 인상이 커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커질 수 밖에 없다”며 “정부가 공시가 6억 이하 주택에 대해 재산세 감면 등을 당근으로 내놨지만, 그 외 주택에 대한 반발까지 잠재울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