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 100-97편
사회사업 글쓰기, 좋은 사례들
김세진
지금까지 읽어온 실천 사례.
그 의미를 하나씩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95편에서 사회사업 글쓰기 개념과 목적, 당사자와 기록 공유를 정리했습니다.
96편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사회사업가는 무엇을 쓸 것인가'를 정리했습니다.
이번 97편에서는 이런 개념과 목적에 들어 맞게 작성한 사례를 살펴봅니다.
선생님들께서 이미 읽은 이야기도 있도, 우리 원고에서 소개하지 않았던 원고도 있습니다.
지난 원고를 정리하는 마음으로 읽어주세요.
더하여 제가 붙인 각 글의 사회사업적 의미도 살펴주십시오.
선생님들과 나눕니다.
< 사회사업 글쓰기, 좋은 사례들>을 읽은 뒤
댓글로 '읽었습니다' 하고 남겨주세요.
첫댓글 다읽었습니다. 좋은 사례들, 주제별로 소개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다 읽었습니다. '기록'에 담겨있는 많은 힘과 의미에 대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기록 방법의 변화를 통해 우리가 해왔던 것들의 더 큰 의미를 담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사회복지사가 생각한 대로 적었던 모든 행정 기록들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당사자의 경험에서, 당사자의 강점에서 기록을 해보려고 노력하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도 큰 용기를 내어 기록의 관점과 방식의 변화를 주고자 합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것들이 옳을 지는 모르겠지만 변화를 주고자 하는 이유와 변화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노력하고자 합니다.
여러가지 고민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하는 방향을 확고히 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내가 처한 현실에서 어떻게 풀어나갈 수 있는지 계속 고민해보겠습니다. 사례관리 100편 읽기를 통해 깨달은 가치와 실천방향 등을 꼭 내 현실 속에서 녹아낼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의 갈래별로 사례와 의미를 배우고 나니까, 명확하게 목적을 생각하며 글을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글 읽으며 따로 정리해서 메모해두었어요. 고맙습니다
글쓰기 특강을 들으며 '사례관리 100편 읽기'를 시작하며 메모하고 정리하며 읽었으면 어땠을까.. 그럼 통찰하고 적용하는 것에 더 도움이 되었을텐데....'라고 생각 했었습니다.
오늘 공유해주신 좋은 사례들을 한데 모아 정리해주시니 아쉬움은 덜고 어떻게 정리하면 되겠다 '감'을 좀 잡아 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다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