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녀 추(娵)자는 글자의 구성 요소 글자는 같지마는 만들어진 글자의 뜻은 서로 다릅니다. 글자를 상하(上下)로 붙였느냐? 좌우(左右)로 붙였느냐? 에 따라 아주 다른 글자가 되었습니다. 장가들 취(娶)자는 상하(上下)로 구성한 것이고 미녀 추(娵)자는 좌우(左右)로 구성한 글자입니다. 꾀할 추(諏), 청련하지 못할 추(㖩), 땔나무 추(棷)자는 취할 취(取)자가 들어 있어서 ‘추’로 읽습니다.
娵
장가들 취(娶)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취할 취(取)자를 했습니다. 남자(男子)가 여자(女子)를 취(取)하는 것이 장가드는 것입니다.
娶
일 서로 부탁할 수(娷)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드리울 수(垂)자를 했습니다. 드리울 수(垂)자는 이쪽과 저쪽이 균형이 잡힌 모양입니다. 소식을 전해서 이쪽과 저쪽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우편입니다. 드리울 수(垂)자는 저울 추(錘)처럼 위에서 아래로 드리운 것을 나타냈습니다. 천평칭 또는 천칭이라고 하는 저울은 가운데에 줏대를 세우고 가로장을 걸치는데, 양쪽 끝에 똑같은 저울판을 달고, 한쪽에 달 물건을, 다른 쪽에 추를 놓아 평평하게 하여 물건의 무게를 답니다. 드리울 수(垂)자는 천평칭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娷
더럽게 여길 기(娸)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그 기(其)자를 했습니다. 그 기(其)자는 생활(生活) 도구(道具)인 키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娸
지킬 현(娹)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시위 현(弦)자를 했습니다. 시위 현(弦)자는 의부(義符)로 활 궁(弓)자에 성부(聲符)로 검을 현(玄)자를 했습니다. 검을 현(玄)자는 곤충이 땅 속에 낳아 놓은 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땅 속은 어둡지요 어두워서 검다는 말이 된 것입니다. 활시위는 반달처럼 생겼습니다. 그래서 반달을 현(弦)이라고 합니다. 매달 음력 7~8일경에 나타나는 달의 모양을 상현(上弦) 하현(下弦)은 매달 음력 22~23일경에 나타나는 달의 모양을 말합니다. 상현과 하현, 그리고 초승과 그믐과 보름달이 있습니다.
娹
빠르고 용맹스러울 촬(娺)자는 여자 녀(女)자에 연할 철(叕)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연할 철(叕)자는 여자의 일손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여자의 손놀림이 빠르고 용맹스러움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연할 철(叕)자는 손을 뜻하는 또 우(又)자를 네 개 이어놓은 글자입니다. 전서(篆書)를 보면 두 명의 사람이 손을 잡고 있는 모양을 그린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연할 철(叕)자는 또 우(又)자 네 개가 모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娺
나라이름 동(娻)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동녘 동(東)자를 했습니다. 동녘 동(东dōng,東)자는 날 일(日)자에 나무 목(木)자를 해서 해가 나무에 걸려 있는 해가 뜨는 동쪽을 나타낸 글자이고, 어두울 묘(杳)자는 나무 아래로 해인 날 일(日)자가 들어가서 어두움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밝을 고(杲)자는 날 일(日)자가 나무 끝에 있어서 해가 사방을 비추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실과 과(果)자는 날 일(日)자에 나무 목(木)자를 해서, 나무와 해가 만나서 실과를 만드는 자연 현상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이고, 동녘 동(东dōng)자는 동녘 동(東)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娻
몸 파는 여자 창(娼)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창성할 창(昌)자를 했습니다. 창성할 창(昌)자는 날 일(日)자를 두 개 상하로 배열했습니다. 해가 두 개씩 빛나니 엄청 힘이 나고 밝은 세상입니다. 태양의 영향 아래 살아가는 사람의 생활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娼
즐거울 애(娾)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애(厓)자를 했습니다. 언덕 애(厓)자는 기슭 엄(厂)자 아래에 흙 토(土)자를 상하(上下)로 두 개 해서 흙을 쌓아 올린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기슭도 흙을 쌓아 올려 언덕을 만들면 생기는 언덕의 다른 표현입니다.
+
= 娾
아리따울 아(婀,娿)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아(阿)자를 했습니다. 아리따울 아(婀,娿)자의 경우는 상하(上下)로 구성하든, 좌우(左右)로 구성하든 모두 같은 글자입니다. 언덕 아(阿)자는 언덕을 표시하는 의부(義符)로는 언덕 부(阜,阝)자 변에 성부(聲符)로 가할 가(可)자를 했습니다. 병 아(疴), 작은 도끼 아(鈳)자는 가(可)자가 들어 있어서 ‘아’로 읽습니다.
+
= 婀
+
= 娿
별이름 루(婁)자는 여자가 머리를 매만지는 표시입니다. 하늘의 별이 여자의 머리털처럼 얼키어 반짝인다는 말인지요? 사랑하는 사람의 머리가 별처럼 보인다는 말인지요? 여자가 머리를 매만지려면 하늘은 보게 마련이고, 하늘을 보면 별도 보게 되겠지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婁
여자이름 면(婂)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비단 백(帛)자를 했습니다. 비단 백(帛)자는 의부(義符)로 수건 건(巾)자에 성부(聲符)로 흰 백(白)자를 했습니다. 목화 면(棉), 여자 이름 면(婂), 햇솜 면(緜)자들은 비단 백(帛)자가 들어 있어서 ‘백’으로 읽습니다.
+
= 婂
여자이름 종(婃)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마루 종(宗)자를 했습니다. 마루 종(宗)자는 집을 뜻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제사를 차려놓은 보일 시(示)자를 했습니다. 마루 종(宗)자는 제사를 지내는 것을 표시한 사당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婃
살찔 부(婄)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침 부(咅)자를 했습니다. 침 부(咅)자는 입에서 나오는 표시를 해서 침을 나타냈습니다. 설 립(立)자는 선다는 듯이 아니라, 소리가 나팔 같이 나온다는 표시입니다. 입 구(口)자는 입을 표시했지요. 침 부(咅)자는 입에서 나오는 것, 곧 침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婄
여자이름 국(婅)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움켜 뜰 국(匊)자를 했습니다. 움켜 뜰 국(匊)자는 쌀 포(勹)자 안에 쌀 미(米)자를 했습니다. 움켜 뜰 국(匊)자는 손을 오그려서 국자 모양을 만들어 그릇에 담긴 쌀을 떠내는 것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婅
할미 파(婆)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물결 파(波)자를 했습니다. 물결 파(波)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가죽 피(皮)자를 했습니다. 깨뜨릴 파(破), 고개 파(坡), 자못 파(頗)자들은 피(皮)자가 들어 있어서 ‘파’로 읽습니다.
+
= 婆
여자이름 채(婇)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캘 채(采)자를 했습니다. 캘 채(采)자는 손을 표시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해서 나무를 손으로 뽑아 캐어내는 모습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婇
여자이름 릉(婈)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언덕 릉(夌)자는 흙 토(土)자를 하고 글자의 아래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언덕은 흙을 쌓아 올린 곳이며, 걸어 올라가기에 힘이 든다는 표시를 한 것입니다.
+
= 婈
순할 완(婉)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굽을 완(宛)자를 했습니다. 굽을 완(宛)자는 의부(義符)로 집 면(宀)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누워서 뒹굴 원(夗)자를 했습니다. 순할 완(婉)자나, 굽을 완(宛)자는 모두 형성(形聲) 글자들입니다.
婉
화랑이 표(婊)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겉 표(表)자를 했습니다. 겉 표(表)자는 옷 의(衣)자를 위와 아래로 벌리고 흙 토(土)자를 넣은 글자입니다. 흙이 묻었으니 겉이지요. 속마음 충(衷)자는 옷 의(衣)자를 위 아래로 벌리고 가운데 중(中)자를 넣었습니다. 마음 한 가운데를 그린 글자입니다. 속 리(裏)자도 속마음 충(衷)자처럼 옷 의(衣)자를 벌리고 마을 리(里)자를 넣었습니다. 마을 안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슬플 애(哀)자는 옷 의(衣)자를 벌리고 입 구(口)를 넣어서 옷으로 가리고 입을 막으며 우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
= 婊
여자의 마음 씀이 재치 있을 효(婋)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범 호(虎)자를 했습니다. 범 호(虎)자는 호랑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범이 울부짖을 효(猇), 울부짖을 효(虓), 범이 울 효(唬), 부르짖을 효(諕)자들은 범 호(虎)자가 들어 있어서 ‘효’로 읽습니다.
+
= 婋
궁녀 벼슬이름 숙(婌)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아재비 숙(叔)자를 했습니다. 아재비 숙(叔)자는 성부(聲符)로 콩 숙(尗)자에 의부(義符)로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밭에서 터져 흩어진 콩알(尗)을 줍는(又) 글자입니다. 콩 숙(叔)자가 아재비 숙(叔)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
= 婌
고울 기(婍)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기이할 기(奇)자를 했습니다. 기이할 기(奇)자는 사람을 표시하는 큰 대(大)자 아래에 옳을 가(可)자를 해서, 사람의 개성을 존중하는 글자입니다. 사람마다 다른 기이한 것이 바로 개성이며, 그것은 옳은 것이라는 글자입니다.
+
= 婍
추할 휴(婎)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끌 휴(携), 이지러질 휴(虧), 추 휴(倠), 부릅떠볼 휴(睢)자들은 새 추(隹)자가 들어 있어서 ‘휴’로 읽습니다. 새 추(隹)자는 꼬리가 짧거나 꼬리가 없는 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婎
빠를 반(婏)자는 여자 녀(女)자에 토끼 토(兎,兔)자를 했습니다. 토끼는 빨리 달리는 짐승입니다. 여자의 빠른 솜씨를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빠를 반(婏)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婏
정숙할 와(婐)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실과 과(果)자를 했습니다. 높을 고(杲), 실과 과(果), 동녘 동(東), 어두울 묘(杳)자는 나무(木)와 해(日)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들입니다. 열매를 딸 와(捰)자는 실과 과(果)자가 들어 있어서 ‘와’로 읽습니다.
婐
아리따울 유(婑)자는 여자 녀(女)자에 맡길 위(委)자를 했습니다. 아리따움이란 여자에게 맡겨진 일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맡길 위(委)자는 벼 화(禾)자 아래에 여자 여(女)자를 했습니다. 밥을 짓는 등의 집안일을 여자에게 맡긴다는 뜻입니다. 양식 곧 먹는 것을 여자에게 맡긴다는 뜻이지요. 생활의 바탕은 먹는 일입니다. 예로부터 여자는 생활의 기본적인 모든 일을 도맡아 행사했던 것입니다. 정숙할 와(婑)자도 맡길 위(委)자가 들어 있어서 ‘와’로 읽습니다.
+
= 婑
여자이름 담(婒)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불탈 염(炎)자를 했습니다. 불탈 염(炎)자는 불 화(火)자를 상하(上下)로 배열해서 불이 활활 타오르는 모습을 상형(象形)한 글자를 합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묽을 담(淡), 가래 담(痰), 먹을 담(啖), 창 담(錟), 권할 담(餤), 고요할 담(倓), 평평한 땅 담(埮), 탈 담(惔), 담요 담(毯), 질소 담(氮), 옷 채색 선명할 담(緂), 불꽃 담(舕), 물 억새 담(菼), 낯 길 담(顃), 얼굴이 길 담(顃), 나라이름 담(郯), 싱거울 담(醈), 창 담(錟)자들은 불탈 염(炎)자가 들어 있어서 ‘담’으로 읽습니다.
+
= 婒
계집종 비(婓)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아닐 비(非)자를 했습니다. 계집종은 여자(女子)가 아니(非)라는 말인가요? 여자가 아니기도 할 것입니다.
婓
+
= 婓
방황하는 모양 비(婔)자와 계집종 비(婓)자는 글자의 구성 요소는 같습니다. 상하(上下)로 구성했느냐? 좌우(左右)로 구성했느냐? 그 구성이 다르지마는 글자는 같은 글자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다른 글자가 되기도 합니다.
+
= 婔
궁녀 첩(婕)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베틀디딜판 섭(疌)자를 했습니다. 베틀 디딜판 섭(疌)자는 베틀에 올라 베를 짤 때 베틀의 동력(動力)으로는 베를 짜는 사람이 베틀에 달린 신을 신고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가운데 씨줄과 날줄을 엇바뀌게 하고 그 사이에 북 실을 넣어 베를 짭니다. 이 과정에서 베틀신을 신은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이길 첩(捷), 속눈썹 첩(睫), 빠를 첩(倢), 산 높을 첩(崨), 꿰맬 첩(緁), 발 잴 첩(踕)자는 베틀 디딜판 섭(疌)자가 들어 있어서 ‘첩’으로 읽습니다.
婕
부끄러워할 첨(婖)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더럽힐 첨(忝)자를 했습니다. 더럽힐 첨(忝)자는 어릴 요(夭)자 아래에 마음 심(心,㣺,忄)자를 했습니다. 어린이 마음이 어찌 더럽다는 말인지요? 근대에 서양의 기독교 사상이 들어오면서 어린이를 존중하고 어린이를 때 묻지 않은 순수한 존재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차라리 본받아야할 존재로 숭배하게까지 되었습니다. 그러나 동양적인 사고방식으로 보면 어린이는 미숙하고 말도 듣지 않고 말썽만 부리는 존재로 교육에 의하여 교정해야 하는 골치 아픈 존재입니다. 동양적 사고방식으로 보면 여릴 요(夭)자에 마음 심(心,㣺,忄)자를 하여 어린이의 마음이 더럽다는 것을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
= 婖
갓난 아이 예(婗)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아이 아(兒)자를 했습니다. 아이 아(兒)자는 아이의 머리가 신체 비율에 비추어 보면 유난히 큰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무지개 예(霓), 사자 예(猊)자는 아이 아(兒)자가 들어 있어서 ‘예’로 읽습니다.
+
= 婗
살붙이 권(婘)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쇠뇌 권(卷)자를 했습니다. 쇠뇌라는 활은 화살에 줄을 달아서 회수하기 쉽게 만든 활의 일종입니다. 사냥할 때 사용하는 활입니다. 쇠뇌 권(卷)자는 활을 쏘는 자세를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또 쇠뇌 권(卷)자는 책 권(卷)자로 전주(轉注)해서 사용합니다.
+
= 婘
날씬할 정(婙)자는 의부(義符) 여자 여(女)자에, 성부 다툴 쟁(爭)자를 했습니다. 여자들이 다투는 것은 날씬한 몸매가 아닐까요? 예전에도 여자의 허리를 바람에 하늘거리는 능수 버드나무 가지에다 비유하였습니다. 다툴 쟁(爭)자는 서로 몽둥이를 빼앗는 그림을 그려서 다투고 싸우는 것을 표시했습니다.
+
= 婙
날씬할 정(婧)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푸를 청(靑)자를 했습니다. 푸르다는 것은 젊음을 상징하지요. 젊은 여자가 늙은 여자보다 더 날씬합니다. 푸를 청(靑)자는 풀의 싹을 그린 글자입니다. 풀은 푸르러서 푸르다는 말이 생겼고, 불은 붉어서 붉다는 말이 생겼습니다.
婧
혼인할 혼(婚)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어두울 혼(昏)자를 했습니다. 어두울 혼(昏)자는 각시 씨(氏)자에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어두울 혼(昏)자는 날이 저무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저녁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각시 씨(氏)자는 후손을 둔다는 뜻이 있는 글자입니다. 성씨(姓氏)가 생겨나는 것이지요.
婚
여자이름 경(婛)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서울 경(京)자를 했습니다. 서울 경(京)자는 높을 고(高)자나 정자 정(亭)자처럼 높은 집을 그린 글자입니다. 서울에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살기 때문에 땅이 비좁아서 높은 집을 짓습니다.
+
= 婛
화려할 간(婜)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굳을 간(臤)자를 했습니다. 굳을 간(臤)자는 눈(臣)과 손(又)을 합해 놓은 글자입니다. 눈으로 보고 손으로 일하는 것을 굳게 해야 한다는 뜻이겠지요. 여자는 꾸미고 차리는 것이 천재적입니다. 눈과 손이 발달해서 그리된 것이겠지요.
婜
여자이름 전(婝)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정할 정(定)자를 했습니다. 정할 정(定)자는 의부(義符)로 집 면(宀)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바를 정(正)자를 했습니다. 집이 정(定)한 자리라는 뜻이지요. 둑 제(䧑)자에서 성부(聲符)인 정할 정(定)자는 이 시(是)자의 모사(模寫)입니다. 청대 전(靛), 얕은 물 전(淀)자는 정할 정(定)자가 들어 있어서 ‘전’으로 읽습니다.
+
= 婝
강직할 행(婞)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다행 행(幸)자를 했습니다. 다행 행(幸)자는 죄인을 잡아 차꼬를 채워 잡아놓은 모양입니다. 죄인을 잡아 가두게 되었으니 다행한 일입니다.
+
= 婞
연모할 고(婟)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굳을 고(固)자를 했습니다. 굳을 고(固)자는 옛 고(古)자를 큰 입 구(囗)자로 에워 싸서 시간이 지내도 변하지 않는 굳은 마음을 표시했습니다. 여자가 한번 마음 먹으면 굳게 지킨다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婟
품성 좋을 완(婠)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벼슬 관(官)자를 했습니다. 벼슬 관(官)자는 집 면(宀)자 아래에 갓 밑에 받쳐 쓰는 탕건을 그린 써 이(㠯)자를 했습니다. 옛날에는 남자들은 모자를 가지고 그 신분을 구별했습니다. 양반이라면 써야하는 모자가 갓이고 그 아래 받쳐 쓰는 모자가 탕건입니다.
婠
예쁠 래(婡)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올 래(來)자를 했습니다. 올 래(來)자는 나무 목(木)자에 사람 인(人)자를 좌우(左右)로 하나씩 한 글입니다. 나무에 올라가 오기를 기다리는 글자입니다.
+
= 婡
여자 종 비(婢)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낮을 비(卑)자를 했습니다. 낮을 비(卑)자는 어떤 기준(宀,冖자 같은 것들) 아래에서 일한다(手,又)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婢
혼인 인(婣)자는 여자 녀(女)자에 혼인 인(婣)자에서 오른쪽에 있는 글자를 했습니다. 혼인 인(婣)자에서 오른쪽에 있는 글자는 물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못 연(淵), 엄숙할 숙(肅)자들은 모두 물을 나타내는 글자들입니다.
婣
얼굴 얌전할 주(婤)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두루 주(周)자를 했습니다. 여자가 얼굴이 얌전하면 두루 환영을 받아 걱정이 없겠지요. 두루 주(周)자는 밭을 표시해서 들판 어디에나, ‘두루’ ‘모두 다’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婤
예쁠 작(婥)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탁(卓)자를 했습니다. 높을 탁(卓)자는 해를 표시하는 날 일(日)자를 열 십(十)자로 높이 받들었고, 그 맨 위에 사람이 있습니다. 너그러울 작(綽), 밝을 작(焯)자는 높을 탁(卓)자가 들어 있어서 ‘작’으로 읽습니다.
婥
며느리 부(婦)자는 여자 여(女)자에, 비 추(帚)자를 했습니다. 며느리의 직책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자의 역할도 해야 하고, 빗자루도 들어야하는 것이 며느리의 직책입니다. 며느리는 부인이 되니까, 부인 부(婦)자로 전주(轉注)가 되었습니다. 여자 여(女)자는 아이를 낳는 일이고, 비 추(帚)자는 집안을 이끌어 나가는 일입니다. 아내를 집 사람이라고 하는 뜻이 여기에 있습니다. 며느리 부(婦)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婦
여자이름 론(婨)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둥글 륜(侖)자를 했습니다. 둥글 륜(侖)자는 합할 집(亼)자 아래에 나무 막대기를 여러 개 엮어서 둥글게 만든 새장처럼 묶어 놓은 책 책(冊)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둥글다고 하는 것은 새 조롱이나 닭장처럼 평면적인 표현이 둥글 뿐만이 아니라, 위에서 내려다볼 때 둥글다는 말입니다. 말할 론(論), 생각할 론(惀), 배 끌 론(溣), 참죽나무 론(菕), 돌 떨어질 론(碖)자들은 둥글 윤(侖)자가 들어 있어서 ‘론’으로 읽습니다.
+
= 婨
고울 안(婩)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안(岸)자를 했습니다. 언덕 안(岸)자는 의부(義符)로 산 산(山)자 변에, 성부(聲符)로 굴 바위 엄(厈)자를 했습니다. 굴 바위 엄(厈)자는 기슭 엄(厂)자에 막을 간(干)자를 했습니다. 들개 안(犴), 돌이 깨끗한 안(矸)자는 막을 간(干)자가 들어 있어서 ‘안’으로 읽습니다.
+
= 婩
탐할 람(婪)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수풀 림(林)자를 했습니다. 투미할 람(㑣), 술 순배 람(啉), 예쁠 람(㛦), 탐할 람(惏)자들은 수풀 림(林)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婪
여자이름 혼(婫)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형 곤(昆)자를 했습니다. 형 곤(昆)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견줄 비(比)자를 해서 날짜를 견주에 형을 삼았다는 뜻입니다. 먼저 태어나서 세상에서 산 날자가 많은 사람이 형입니다. 섞을 혼(混), 꾀할 혼(䛰), 섞을 혼(掍), 빛날 혼(焜), 떡 혼(餛)자들은 형 곤(昆)자가 들어 있어서 ‘혼’으로 읽습니다.
+
= 婫
음탕할 음(婬)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다가, 성부(聲符)로 가까이할 음(㸒)자를 했습니다. 가까이할 음(㸒)자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짊어질 임(壬)자를 했습니다. 가까이 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지를 가까이 하는 것이 음탕(淫蕩)한 것이겠지요.
婬
동서 아(婭)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버금 아(亞)자를 했습니다. 버금 아(亞)자는 무덤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사는 것이 첫째고 죽는 것이 둘째, 곧 버금이라는 말이겠지요. 동서는 두 사람 이상의 남자 사이에 있어서나 여자 사이에 있어서, 그 아내나 그 남편들이 자매간이거나 형제간일 때에 맺어지는 관계를 이르거나, 또는 그러한 관계에 있는 사람을 일컫는 친족 용어입니다.
+
= 婭
여자이름 거(婮)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있을 거(居)자를 했습니다. 있을 거(居)자는 주검 시(尸) 아래에 옛 고(古)자를 했습니다. 대대로 그 자리에 이어 살고 있다는 말이겠지요. 전서(篆書)를 보면 사람이 자리를 정하고 거기에 눌러 앉아 있는 그림입니다. 글자가 간략하게 변하면서 지금의 모양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 婮
고울 려(婯)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고울 려(丽lì,麗)자를 했습니다. 고울 려(丽lì,麗)자는 사슴의 뿔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고울 려(丽lì)자는 고울 려(麗)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麗
+
= 婯
여자이름 전(婰)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법 전(典)자를 했습니다. 법 전(典)자는 굽을 곡(曲)자 아래에 여덟 팔(八)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굽을 곡(曲)자는 책 책(冊)자의 변형입니다. 여덟 팔(八)자는 받쳐 놓은 모양입니다. 법 전(典)자는 책을 그린 상형(象形)글자에 여덟 팔(八)자로 받쳐놓은 표시를 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왜 법은 받들어 책으로 기록해 두어야 할까요? 법은 그 시대뿐 아니라, 시대를 초월하여 만대에 변함이 없어야 한다는 관념에서 생긴 글자입니다. 그러나 실은 법처럼 시대를 따라서 잘 변하고 또 변해야 하는 것도 드뭅니다.
+
= 婰
수절할 현(婱)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시위 현(弦)자를 했습니다. 시위 현(弦)자는 의부(義符)로 활 궁(弓)자에 성부(聲符)로 검을 현(玄)자를 했습니다. 검을 현(玄)자는 곤충이 땅 속에 낳아 놓은 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땅 속은 어둡지요 어두워서 검다는 말이 된 것입니다. 활시위는 반달처럼 생겼습니다. 그래서 반달을 현(弦)이라고 합니다. 매달 음력 7~8일경에 나타나는 달의 모양을 상현(上弦) 하현(下弦)은 매달 음력 22~23일경에 나타나는 달의 모양을 말합니다. 상현과 하현, 그리고 초승과 그믐과 보름달이 있습니다. 또 여자는 늘 활시위처럼 팽팽하게 긴장해서 살아야 수절할 수 있다는 교훈이기도 합니다.
+
= 婱
예쁠 화(婲)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꽃 화(花)자를 했습니다. 꽃 화(花,芲)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될 화(化)자를 했습니다. 될 화(化)자는 사람 인(人,亻)자에 비수 비(匕)자를 해서 사람이 칼에 찔려서 죽은 것을 뜻합니다. 주검으로 변한 것이야말로 큰 변화지요.
+
+
= 婲
고요할 획(婳huà)자는 정숙할 획(嫿)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정숙할 획(嫿)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그림 화(畵)자를 했습니다. 그림 화(畫)자는 붓 율(聿)자 아래에 밭 전(田)자를 하고 한 일(一)자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밭 전(田)자는 그림을 그리는 화폭을 뜻합니다. 도화지나 천을 뜻하지요. 맨 아래 한 일(一)자는 한 것은 그림은 회사후소(繪事後素)라고 하여 하얀 천이 있어야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좋은 바탕에 좋은 그림이 나온다는 말이지요. 사람의 본바탕을 뜻하는 말로 많이 사용 됩니다. 그을 획(劃), 깨지는 소리 획(繣)자는 그림 화(畵)자가 들어 있어서 ‘획’으로 읽습니다.
嫿
갓난아이 영(婴yīng)자는 갓난아이 잉(嬰)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갓난아이 잉(嬰)자는 여자 녀(女)자에 자개를 이어 꿴 목걸이 영(賏)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조개 목걸이 영(賏)자는 강보로 싸놓은 아기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며, 갓난아이 잉(嬰)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조개 목걸이 영(賏)자는 글자 모양대로 조개를 끈에 꿰어 목걸이를 만들어 목에 거는 조개로 만든 목걸이를 말합니다. 또 조개 목걸이 영(賏)자는 갓난아이가 강보에 싸여 있는 모양이기도 합니다.
嬰
고울 선(婵chán)자는 고울 선(嬋)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고울 선(嬋)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홑 단(單)자를 했습니다. 홑 단(單)자는 한 사람이 끌고 있는 작은 수레 한 개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홑 단(单dān)자는 홑 단(單)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하늘에 제사 지낼 선(禪), 매미 선(蟬), 제터 선(墠), 백리목 선(樿)자들은 홑 단(單)자가 들어 있어서 ‘선’으로 읽습니다.
嬋
숙모 심(婶)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살필 심(审)자를 했습니다. 살필 심(审)자는 집을 뜻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거듭 신(申)자를 했습니다. 펼 신(申)자는 등뼈를 두 손으로 주물러서 곧게 펴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납 신(申)자는 12지에서 원숭이를 뜻하고 거듭 신(申)자는 반복한다는 말입니다. 거듭 신(申)자의 뜻이 있는 것은 등뼈가 여러 뼈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서 가져온 뜻입니다. 숙모(叔母)는 작은 아버지, 또는 큰 아버지의 부인입니다. 내가 부모가 없을 때 부모를 대신해서 나를 잘 살피는 분입니다.
+
+
= 婶
엎드릴 탑(㛥)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유창할 답(沓)자를 했습니다. 유창할 답(沓)자는 물이 끓어 넘칠 답(沓)자로도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물이 끓어 넘칠 답(沓)자는 물 수(水)자 아래에 날 일(日)자를 해서 물을 햇볕으로 따뜻하게 데우는 모양을 했습니다. 또는 물 흐르듯이 말을 유창하게 한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가죽신 탑(鞜), 휘감아 쌀 탑(錔)자도 유창할 답(沓)자가 들어 있어서 ‘탑’으로 읽습니다.
㛥
예쁠 람(㛦)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수풀 림(林)자를 했습니다. 수풀은 나무가 많은 곳입니다. 나무 목(木)자를 두 개 나란히 해서 나무가 많음을 나타냈습니다. 투미할 람(㑣), 탐할 람(婪), 술 순배 람(啉)자들은 수풀 림(林)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
= 㛦
시골이름 맘(㛧)자는 여자 녀(女)자에 바위 암(岩)자를 했습니다. 바위 같은 여자라는 뜻이 있는 글자입니다. 바위 암(岩)자는 산 산(山)자에 돌 석(石)자를 했습니다. 산에 있는 돌이 바위입니다. 산에 있는 돌이 크지요. 바위 암(岩)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 㛧
문란한 모양 강(㛨)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종족이름 강(羌)자를 했습니다. 종족 이름 강(羗)자는 종족 이름 강(羌)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종족 이름 강(羌)자는 양 양(羊)자 아래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하고, 종족 이름 강(羗)자는 양 양(羊)자 변 아래에 어진 사람 인(儿)자는 하고 사사 사(厶)자를 더 했습니다. 여기서 사사 사(厶)자는 짐승을 잡아매어 두는 고리를 그린 글자입니다.
+
= 㛨
동서 축(㛩)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기를 육(育)자를 했습니다. 기를 육(育)자는 이를 운(云)자 아래에 고기 육(月,肉)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이를 운(云)자는 말한다는 뜻이 아니라, 태어나는 아기의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아기 태어날 때에는 머리부터 세상에 나옵니다. 이를 운(云)자처럼.....이를 운(云)자는 아기가 탄생할 때 머리부터 나오는 것을 그린 글자입니다. 태어난 아기는 길러야 합니다. 기를 육(育)자는 아기의 탄생부터 책임지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인류의 번성의 기본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어머니는 아기를 낳아서 자식의 몸을 기르고, 아버지는 아기를 받아서 교육을 책임지는 것이 가정에서 역할(役割) 분담(分擔)입니다. 그런데 요즘 사회는 어머니가 낳고 훈육도 도맡아 합니다.
+
= 㛩
모함할 엄(㛪)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가릴 엄(奄)자를 했습니다. 가릴 엄(奄)자는 큰 대(大)자 아래에 번개 전(电)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번개 전(电)자는 번개의 뜻이 아니라, 두 손으로 공교할 교(丂)자를 가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두 손으로 가리는 자리는 바로 큰 대(大)자의 사타구니입니다. 부끄러운 부분을 가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㛪
여자이름 석(㛫)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바꿀 역(易)자를 했습니다. 바꿀 역(易)자는 환경 변화에 다라 몸 색깔이 잘 변하여 보호색을 띠는 카멜레온 같은 동물을 그린 상형(象形) 문자입니다. 또는 달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로 성명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말 물(勿)자는 달빛을 그린 글자로 봅니다. 고운 베 석(緆), 웃통 벗을 석(裼), 주석 석(錫)자들은 바꿀 역(易)자가 들어 있어서 ‘석’으로 읽습니다.
+
= 㛫
여자이름 륙(㛬)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륙(坴)자를 했습니다. 언덕 륙(坴)자는 흙 토(土)자를 두 개하고 그 사리에 여덟 팔(八)자를 해서 흙을 쌓아놓은 모양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㛬
여자이름 석(㛭)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예 석(昔)자를 했습니다. 예 석(昔,㫺)자는 날짜를 뜻하는 날 일(日)자 위에 물결 모양을 그려서 세월이 흘러갔음을 나타냈습니다.
+
= 㛭
예쁠 정(婷)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정자 정(亭)자를 했습니다. 정자 정(亭)자는 높은 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높을 고(高), 높을 교(喬)자들도 모두 높은 집ㅇ르 표시한 글자들이래서 옛 글자들이 비슷합니다. 정자에서는 여자가 더 예뻐 보일까요?
+
= 婷
婷
음탕할 탕(婸)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볕 양(昜)자를 했습니다. 끓일 탕(湯), 쓸어버릴 탕(蕩), 거미 탕(蝪)자는 볕 양(昜)자가 들어 있어서 ‘탕’으로 읽습니다.
+
= 婸
가냘플 요(婹)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구할 요(要)자를 했습니다. 구할 요(要)자는 중요할 요(要)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중요할 요(要)자는 덮을 아(襾)자 아래에 여자 여(女)자를 했습니다. 덮을 아(襾)자는 서녘 서(西)자 같은 글자입니다. 서녘 서(西)자는 해가 저무는 걸 의미합니다. 여자와 밤의 관계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婹
+
= 婹
별이름 무(婺)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힘쓸 무(敄)자를 했습니다. 힘쓸 무(敄)자는 창 모(矛)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힘써서 창을 사용한다는 글자입니다. 전쟁할 때 무기를 힘써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전쟁할 때 무기를 힘써 사용하는 것이 하나의 일입니다. 힘쓸 무(敄)자에 힘 력(力)자를 더 해서 일 무(務)자가 되었습니다.
婺
몸 퉁퉁할 남(婻)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남녘 남(南)자를 했습니다. 남녘 남(南)자는 사람이 향하는 쪽, 따뜻하여 싹이 나서 자라는 방위(方位)이고, 동녘 동(東)자는 나무(木)에 걸려 있는 해(日)를 그려서 해가 떠오르는 쪽임을 나타내고, 서녘 서(西)자는 해가 지평선 또는 수평선 아래로 지는 쪽이며, 북녘 북(北)자는 사람이 등을 댄 쪽입니다.
+
= 婻
거스를 야(婼)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같을 약(若)자를 했습니다. 같을 약(若)자는 풀 초(艸,艹,䒑)자 아래에 오른쪽 우(右)자를 했습니다. 풀을 오른쪽 손으로 풀을 잡은 표시입니다. 풀을 뽑는 자세지요. 풀은 모두 같다거나, 뽑는 자세조차도 모두 같다는 뜻입니다.
婼
고울 가(婽)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빌 가(叚)자를 했습니다. 빌 가(叚)자는 손을 여러 개 그려서 빌리려면 손이 여러 개 필요함을 나타냈습니다. 손이 여러 개 필요하다는 말은 그만큼 힘이 든다는 말입니다.
+
= 婽
박대할 유(婾)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점점 유(兪)자를 했습니다. 점 점 유(兪)자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달 월(月)자를 하고, 큰 도랑 괴(巜)자를 했습니다. 물(巜) 위에 배(月)를 띄워서 점점 흘러 내려간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婾
사위 서(婿)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서로 서(胥)자를 했습니다. 서로 서(胥)자는 발 소(疋)자 아래에 육 달 월(月,肉)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육 달 월(月,肉)자는 개체를 뜻합니다. 개체가 서로 왕래한다는 뜻으로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
= 婿
투기할 우(媀)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긴 꼬리 원숭이 우(禺)자를 했습니다. 긴 꼬리 원숭이 우(禺)자는 꼬리가 긴 원숭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媀
탐스러울 위(媁)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가죽 위(韋)자를 했습니다. 가죽 위(韋)자는 짐승 가죽(口)의 위와 아래서 발()로 짓밟아서 사용할 수 있게 가죽을 부드럽게 하였습니다. 뻣뻣한 짐승 가죽이 아니라, 옷도 만들고 지갑도 만들 수 있게 부드럽게 만든 가죽 위(韋)자입니다.
媁
여자이름 제(媂)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임금 제(帝)자를 했습니다. 임금 제(帝)자는 임금의 상징물인 휘장(로고)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임금을 표시하는 휘장의 표시는 아래 뜻을 하늘에 전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임금은 하늘과 통하는 사람이며 하늘의 자식이라는 의미입니다.
+
= 媂
예쁜 체할 유(媃)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부드러울 유(柔)자를 했습니다. 부드러울 유(柔)자는 창 모(矛)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창 모(矛)자는 창을 나타낸 글자가 아니라, 나무의 맨 수내기에 바람에 이리저리 휘청거리는 가늘고 부드러운 나무줄기를 나타냈습니다. 나무에서 제일 수내기 끝에 바람에 이리 휘청 저리 휘청하면서 꺾이지는 않는 가느다란 나무줄기를 뜻합니다.
+
= 媃
빛 고울 미(媄)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아름다울 미(美)자를 했습니다. 아름다울 미(美)자는 양처럼 희생 제물이 된 사람을 뜻합니다.
媄
즐거울 담(媅)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심할 심(甚)자를 했습니다. 즐길 담(湛), 가지런히 나갈 담(偡), 넉넉할 담(啿)자들은 심할 심(甚)자가 들어 있어서 ‘담’으로 읽습니다. 심할 심(甚)자는 곡식의 돌을 고르고, 잘 여문 알갱이를 고르는 키를 그린 그 기(其)자와는 관계가 없고, 달 감(甘)자와 관계가 있는 글자입니다. 단 것을 받쳐 놓고, 귀하게 두어서 맛이 좋기가 심하다는 뜻의 글자입니다.
媅
예쁜 모양 연(媆)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가냘플 연(耎)자를 했습니다. 가냘플 연(耎)자는 수염을 그려서 털이 가냘픔을 나타냈습니다.
+
= 媆
어버이 친(媇)자는 어버이 친(親)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어버이 친(媇)자는 여자 녀(女)자에 설 립(立)자를 하고, 설 립(立)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이 글자는 친할 친(亲)자입니다. 친하면 기다리게 됩니다. 어버이 친(親)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하고 볼 견(見)자를 했습니다. 설 립(立)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하고 볼 견(見)자를 한 어버이 친(親)자는 밖에 나간 어버이가 집에 돌아오기를 나무에 올라가서 기다리는 글자입니다. 어버이 친(媇)자는 여자 여(女)자를 해서 어머니를 아버지보다 더 기다린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媇
媇
여자이름 휘(媈)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군사 군(軍)자를 했습니다. 군사 군(軍)자는 덮을 멱(冖)자 아래에 수레 거(車)자를 했습니다. 군사 군(軍)자는 장갑차를 그린 글자입니다. 제사 휘(禈), 휘두를 휘(揮), 빛날 휘(輝), 빛 휘(暉), 옷걸이 휘(楎), 훨훨 날 휘(翬)자는 군사 군(軍)자가 들어 있어서 ‘휘’로 읽습니다.
+
= 媈
예쁠 옥(媉)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집 옥(屋)자를 했습니다. 집 옥(屋)자는 집을 나타내는 주검 시(尸)자 아래에 이를 지(至)자를 해서 집으로 돌아오는 표시를 했습니다. 집은 돌아와 쉬는 곳입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집으로 간다는 말을 “거가(去qù家jiā)”라고는 하지 않고 “회가(回家huí//jiā)”라고 말합니다.
+
= 媉
별이름 전(媊)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앞 전(前)자를 했습니다. 앞 전(前)자는 달 월(月)자도 있고, 칼 도(刀,刂)자도 있지만 여기서는 배를 그린 글자입니다. 여기서는 달 월(月)자가 배를 그린 글자이고, 칼 도(刀,刂)자는 물이 흐르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앞 전(前)자는 배가 앞서 나아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媊
여자이름 춘(媋)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봄 춘(春)자를 했습니다. 봄 춘(春)자는 날 일(日)자 위에 식물의 자라는 싹을 그린 글자입니다. 봄에 해 볕을 쬐어 식물이 자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봄 춘(春)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媋
눈매고울 묘(媌)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싹 묘(苗)자를 했습니다. 싹 묘(苗)자는 밭(田)에 나서 자라는 곡식(艸,艹)의 싹(苗)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媌
며느리 부(媍)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짐질 부(負)자를 했습니다. 짐질 부(負)자는 돈을 뜻하는 조개 패(貝)자 위에 사람 인(人)자를 해서, 돈을 짐 지고 있는 사람을 표시했습니다. 부담을 잔뜩 떠안고 있는 사람이네요. 돈을 짐 지고 있으니, 도둑을 만날까, 혹시 잃어버릴까, 얼마나 마음의 짐이 크겠습니까? 며느리도 짐을 짊어진 여자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
= 媍
어머니 저(媎)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늙을 로(老)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한 것 같지만, 실은 쌀 미(米)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해서, 쌀을 먹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媎
여자이름 단(媏)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시초 단(耑)자를 했습니다. 시초 단(耑)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말 이을 이(而)자를 했지만 한자의 원시적인 글자인 갑골문자를 보면 물방울을 그린 점 새 개에 갔다는 뜻으로 발 지(止)자를 하고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가서 나무에 물을 준다는 뜻입니다. 싹을 틔워 나무를 키운다는 뜻이지요. 회초리 타(椯)자도 시초 단(耑)자가 들어 있어서 ‘타’로 읽습니다.
+
= 媏
여자이름 중(媑)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무거울 중(重)자를 했습니다. 무거울 중(重)자는 저울 추(錘)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媑
중매할 매(媒)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아무 모(某)자를 했습니다. 그을음 매(煤), 매화나무 매(楳), 천자가 아들을 얻으려고 지내는 제사 매(禖), 아이 밸 매(腜)자들은 아무 모(某)자가 들어 있어서 ‘매’로 읽습니다. 아무 모(某)자는 달 감(甘)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해서, 맛이 좋은 달콤한 나무를 표시했습니다. 사탕수수나 그렇게 맛이 좋은 나무일까요? 하여튼 맛이 좋은 나무면 아무 것이나 좋다는 뜻입니다.
媒
어머니 황(媓)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임금 황(皇)자를 했습니다. 어머니는 자식들에게는 임금과 같으신 분입니다. 임금 황(皇)자는 흰 백(白)자 아래에 임금 왕(王)자를 했습니다. 밝을 황(晃)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빛 광(光)자를 해서, 날 일(日)자를 의부(義符), 빛 광(光)자를 성부(聲符)로 구성 했습니다. 임금 황(皇)자는 임금 왕(王)의 뜻도 있으면서, 흰 백(白)자는 불빛, 광채를 그린 글자입니다. 더 빛나는 임금, 더 광채가 나는 임금을 황(皇)이라고 표시했습니다.
+
= 媓
눈매 예쁠 면(媔)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얼굴 면(面)자를 했습니다. 얼굴 면(面)자는 처음에는 눈을 그려서 얼굴을 표시하다가, 눈을 중심으로 얼굴을 단순하게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
= 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