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드름의 모든 것
여드름은 근본원인인 유전으로 인한 각질간 조직판 미립자인 doland body의 부족으로 모공내 각질 비후 현상에 의해 피지가 나오다 막혀 발생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발생시기와 발생부위, 화농상태에 따라서 분류가 이뤄진다.
화농되는 기전에 의해 여드름을 살펴보면, 모공내 약 1.5-2mm에 위치한 부위에 피지, 박테리아, 불완전성 헤어, 케라틴으로 여드름 씨를 형성하는 것을 micro comedo라고 부르는데, comedo란 살찐 구더기가란 뜻으로 예전에는 여드름에 기름 덩이리를 먹는 구더기가 존재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약 90일 정도가 되면 성숙된 여드름 즉 mature comedo가 된다.
성숙된 여드름이 있는 돌출된 부위에 잘못된 세안 습관으로 인한 마찰과 잦은 손댐으로 인한 압력 등으로 인한 박테리아의 염증 반응이 유전적으로 난포벽 파열 유무가 결정되어져 비화농 여드름과 화농 여드름으로 구분 되어 진다.
* 여드름의 형태별 분류와 관리
1. 비화농성 여드름 (non-inflamed acne)
1) 화이트 헤드
여드름 씨가 커지면서 하얗게 둥근 원형을 유지하고 부위의 각질이 두꺼워져 모공의 입구가 실제는 미세하게 열려 있으나 알맹이가 커서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마치 닫힌 것처럼 보여서 닫혀진 여들금 closed comedo라고 하며 각질제거로 comedo추출이 용이하다
2) 블랙 헤드
화이트 헤드가 시간이 지나 알맹이가 좀더 커져 내부 압력에 의해 피부 표면이 열리면서 알맹이의 공기가 접촉된 부분에 멜라닌 색소가 전달되어지고, 피지가 산화되어 검게 보이게 된다. 모공이 열려 있다고 해서 열려진 여드름 open comedo라고 한다. 관리측면에서 보면 밖으로 알맹이가 배출되어지면 그 여드름은 더이상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에 가장 순한 여드름의 형태이다.
2. 화농성 여드름 (inflamed acne)
1) 구진 여드름 (papule)
pimple이라고도 하는데 여드름이 있는 모공내 박테리아에 대한 백혈구의 강력한 식균 작용에 의한 초기 염증 반응으로 난포벽이 파손되고 혈액이 몰려 붉고 팽팽한 느낌이 들며 심한 통증, 소양증, 작열감이 동반되며 입구가 보일질 않는다. 구진이란 습진이나 발진 현상을 가진 일종의 피부염을 뜻한다.
p.s : 모든 자극 인자를 피하고 혈액이 몰리지 않게 차갑게 진정 관리를 하게 되면 일단 염증 반응은 가라앉게 되어서 백혈구의 식균 작용은 완화되고 더 많은 복구 작용이 일어나서 고름이 모공 부위로 올라오게 된다. 만약 자극이 증가되어 염증 반응이 장기화 된다면 경화된 조직이 눈에 띄게 된다.
2) 농포 여드름 pustule
3일 이내의 초기 염증 반응이 진정된 상태로 고름이 피부 표면위로 올라와 끝이 노르스름하며 주변에 혈액이 몰려 선홍색을 띠는데 구진성 여드름에 비해 통증이 완화되며 여드름을 짜게 되면 피고름과 함께 비교적 원형이 보존된 알맹이가 약간의 점액질에서 묻어 나온다.
3) 소결절 여드름 nodule
구진 여드름이 악화인자에 의해 화농 반응이 발전되면 난포벽이 더 깊게 밑으로 파열되어 겉 통증은 없으나 살짝 건드려보면 욱씬거리는 속 통증이 생기며 검붉은 색의 주변 조직의 경화로 딱딱한 느낌을 주며 입구가 보여 c.e(여드름 짜내기)를 해보면 검붉은 피고름과 함께 큰 알맹이 1개와 작은 알맹이 1-2개를 볼 수 있는데 난포벽 파열이 스스로 치유되거나 휴지기가 될 때까지 화농은 반복 재발되고 적절히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평생 지울 수 없는 여드름 흉터를 가지게 된다.
4) 낭포 여드름 cyst
강력한 백혈구의 식균 작용에 의해 난포벽이 다 터져 버려 고름으로 가득차서 크고 말랑말랑하며 통증이 없고 검푸른 빛을 띠며 입구가 안보이고, c.e후 티슈에는 작은 알맹이 3-4개가 끈적끈적한 피고름과 함께 묻어 나온다. 몇 개의 난포가 포도송이처럼 연결되어 크기가 조금 큰종기성 여드름이며 흉터를 남길수 있다.
화농되어지는 기전에 따른 여드름의 형태를 분류했는데 화농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유전적으로 난포벽이 약하거나 혹은 난포벽을 치유하는 복구 능력이 떨어지며 후천적으로는 피지를 상대적으로 공급하여 민감한 반응을 일으키고 난포벽 파열을 촉진하거나 복구 능력을 저하시킬 때 일어난다. 자각 증상으로는 가려움 붉음 부종 통증이 생기며 형태가 불룩 솟아 올라서 속 통증을 가지며 염증 반응에 의해 납작해지며 부드러움이 순서대로 나타난다.
* 여드름 등급
1등급 : black head, white head (화장으로 감춤)
2등급 : white head, black head (가장 늦게 관리됨)
3등급 : papule, pustule, shite head, back head (관리실 방문이 많음)
4등급 : nodule, cyst, papule, pustule (가장 빨리 관리됨)
p.s : 1, 2등급은 비화농성 여드름으로서 화장으로 늘 커버가 가능하며, comedogenic성분을 사용하는 악순환을 일으키는데 이는 관리 효과가 가장 늦게 나타나게 된다. 각질 제거제 사용으로 관리 가능하나 10대 전반에 흑두 여드름이 발생했다면 심한 화농성 여드름을 예고하며 흉터 발생 소지가 있으나 10대 후반에 흑두 여드름이 발생되었다면 가벼운 형태의 여드름으로 1등급으로 끝나는 여드름이다.
3,4등급은 화농성 여드름으로 빠른 진정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는 흉터 발생이 되며 관리실 방문이 많은 등급이며 4등급은 자포자기한 상태이지만 충분한 대화를 통해 빨리 관리될수 있음을 알려 준다.
3. 괴사성 여드름 necrotic acne
발생 부위에 따라서 턱, 목, 가슴, 등 부위에 나는 여드름을 칭하며 초기 염증반응이 심하며 또한 반복으로 인한 경화된 조직이 발생하고 끝이 곪아 있으며 모공내 여드름 알맹이는 화농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피부 깊숙이 발생하여 c.e의 어려움이 있다.
p.s : 유전적인 경향이 있어서 우선 자극이 될 수 있는 인자는 피하며 턱에 있는 여드름은 얼굴보다 피부가 얇아 예민하기에 손대지 말며 숙면을 취하고 aloe ice요법, 비타민 삐콤씨를 복용하며 진정관리를 하고 가슴과 등 부위는 얼굴보다는 피지선 발달 및 피부가 상대적으로 두껍기에 스크럽이 들어 있는 클린싱 제품을 사용한 후 sulfur 또는 a.h.a가 함유된 제품으로 관리를 하는데 도포 부위가 붉어지면 각질 제거제 사용을 중단하고, 피부색이 어두워지기 시작할 때 각질 제거제 사용을 재 도입하여 도포하는 방법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4. 신생아 여드름 neonatal acne
발생된 시점이 신생아시기에 여드름 모양의 발진이 이마 볼턱 순으로 발생되어 생후 3개월 경에 치료할 필요 없이 저절로 사라지는데 이는 모체내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이 남아서 신생아의 피지선이 자극을 받았기 때문이다.
* 흉터의 발생과 의료적, 에스테틱적 관리
1. 흉터의 발생
여드름을 겪은 사람의 약 25%가 평생 지워지지 않는 기억인 흉터가 남게 되는데 그 원인은 유전적인 경향과 후천적으로 특정 자극으로 인해 염증이 반복 재발되면서 여드름 알맹이를 백혈구가 공격하는 과정 즉 식균 과정 중에 유해 산소가 발생되며, 유해산소의 급증으로 박테리아 멸균과 함께 백혈구 파괴가 이뤄져 정상적인 주변 조적 (콜라겐, 엘라스틴)을 파괴하는데 이때 두가지 형태의 흉터를 발생시킨다. 여드름에서는 주로 염증이 깊이 박혀 있거나 적절하지 못한 방법으로 구진과 농포를 짜면 흉터가 남을수 있다. 흉터는 피부의 손상된 부위에 육아 조직이 생길 때 형성된다. 또한 흉터는 넓은 부위의 부상이나 염증에 의해서도 생길수 있다. 파괴된 세포들은 특별한 결합조직 종류인 육아 조직에 의해서 대체된다.
ㅇ 비후성 켈로이드 반흔
죽은 세포를 대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보다 많은 조직이 형성되면 피부 표면 위로 돌출 되는 두드러진 흉터가 생기게 된다. 이런 불룩한 흉터가 원래의 상처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을 비후성 반흔(hypertrophic scar)이라고 한다 (턱선으로 부터 데콜테 부위까지의 부위에 생기기 쉽다) 반면 반흔 조직이 주변의 피부 부위에 까지 퍼지는 것은 겔로이드 반흔(keloid scar)이라고 한다. 켈로이드는 특정 체질의 경우에만 형성된다. 그래서 유럽인보다 아프리카인, 그리고 성인보다는 아이들이 켈로이드를 형성하기 쉽다. 또한 상처의 종류도 켈로이드 형성을 좌우한다. 즉, 깨끗하게 베었을때 보다 염증성 상처를 입었을 때 조직이 과잉 켈로이드를 형성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ㅇ 위축성 반흔
진피의 주변 조직이 파괴되었을 때 복구하다 중단된 상태로서 움푹 파여진 모양을 이루며 얼굴에 주로 발생되는 여드름 흉터의 대표적인 모양이다.
또한 상처로 죽은 세포가 반흔 조직에 의해 완전히 대체되면 소위 곰보라고 하는 패인 흉터가 피부표면보다 아래에 생긴다. 이러한 반흔들을 위축성 반흔 (atrophic scar)라고 한다 (주로 피부층이 얇은 이마나볼 부위에 생기기 쉽다)
이러한 켈로이드 반흔과 패인 흉터는 모두 여드름 발진의 결과로 생기는 것이다. 이런 흉터는 피부의 모습과 전체적인 인상을 상당히 침해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심한 심리적 부담을 주게 된다.
2. 흉터의 치유와 관리
반흔 조직은 다양한 방법으로 치유할 수 있으며 반흔의 종류에 따라 수술 (켈로이드 제외), 박피술 (켈로이드 제외), 크리스탈 필링, 과일산 필링, 콜라겐 주입, 박피 요법과 레이저 수술 등을 할수 있다.
켈로이드 반흔은 원칙적으로 수술로 제거할 수 없다. 즉, 조직을 잘라내거나 피부를 이식 할 수 없으며 반흔 가장자리를 갈아 낼수도 없다. 왜냐하면 수술을 하게 되면 새로운 상처가 무조건 생겨서 대부분의 경우 수술하기 전보다도 심해지기 때문이다.
반면, 켈로이드 반흔이 아니며 원래 상처에 국한되어 형성되는 비후성 반흔의 경우에는 기계적이거나 화학적인 모든 종류의 박피 관리를 시행할 수 있다.
화학적 필링과 기계에 의한 박피술은 최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술하고 관리하는 사람의 경험과 감각이 중요하다.
3. 에스테틱 관리
피부 관리측면에서 우선 여드름 흉터가 발생되지 않도록 혼자서 c.e하는 것을 포함한 자극인자를 피하며 가능한 염증 반응을 빨리 억제 할수 있는 진정 관리를 하며 c.e를 할 경우 알맹이가 남지 않도록 깨끗이 제거하여 반복된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복구를 위해 잦은 손댐을 하지 말아야 한다.
흉터가 발생하면 파인 흉터는 요철이 심하고 음영이 두드러져 빛의 반사율이 저하 되는데 흉터 관리란 흉터를 없애는 작업과 콜라겐 벨벳 마스크, 쿨링 마스크등 보습 성분을 이용한 꾸준한 진정관리를 통하여 경화된 조직을 분해시키는 분해효소의 작용을 돕고 저농도의 각질 제거제를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빛의 반사율을 높여서 피부 톤을 고르게 보이게 하는 것이다
* * * 밖에서 안으로 영향을 주는 인자
1) 스트레스
ㄱ) 원인 : 약하거나 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testosterone증가로 피지 증가와 난포벽 복구 능력 저하
ㄴ) 형태 : 갑자기 턱 부위 심하게 발생
현존 여드름 악화
ㄷ) 관리 : 진정 후에 sulfur관리를 한다
진정 관리, c.e는 금지
숙면, 아로마, 알로에젤을 바른후 얼음으로 진정
비타민 섭취, 림프 드레나쥐
2) 썬번
ㄱ) 원인 : 모공내 각질 비후를 촉진
평상시 노출하지 않던 부위가 갑작스런 uv노출로 인하여 burn발생후 여드름 생성
ㄴ) 형태 : 돔형의 pustule이 다발
봄철 v존 바강스후 몸에 여드름 발생 주로 light oily skin
ㄷ) 관리 : sun screen을 이용한 햇빛 차단후 진정,예민 여드름 관리
3) 계절
ㄱ) 원인 : 4계절이 뚜렷한 경우에는 연중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이 최고 수준일때 피지 분비 증가
ㄴ) 형태 : grade 3
ㄷ) 관리 : 늦여름 부터 예방 관리 (1달 전)
알로에젤 15분 팩
4) 환경
ㄱ) 원인 : 열, 습기 (해안가, 섬)
ㄴ) 형태 : 예민을 동반한 화농 여드름
ㄷ) 관리 : 진정관리, 보습, 각질 제거
5) 습관
ㄱ) 원인 : 강한 잠습관, 베게, 헤어밴드, 모자, 안경다리, 혁대, 전기면도 기타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
ㄴ) 형태 : 특정부위 반복 발생
ㄷ) 예방 : 자극인자를 없앤다
6) 여드름 짜기
ㄱ) 원인 : 혼자 c.e하기
ㄴ) 형태 : 까뭇까뭇한 손톱 자국 흉터
ㄷ) 예방 : 절대 혼자 c.e하지 않는다
7) 직업
ㄱ) 원인 : 자동차정비공장, 아스팔트유, 튀김집, 섬유업, 은행업
ㄴ) 형태 : 심각한 형태, 흉터 가능성 높음, 관리 어려움
ㄷ) 관리 : 자극인자를 피한다
마스크, 화장으로
강력한 관리로 흉터 예방
* * * 안에서 밖으로 영향을 주는 인자
8) 다이어트
ㄱ) 원인 : 과식, 공복시 먹는 음식, 다시마, 방부제, 아스파라거스, 미역, 양파
ㄴ) 형태 : 예민성 동반한 밀집성 화농 여드름 (다발성 돌발적인, 여드름 체질이 아닌 경우에도)
ㄷ) 관리 : 음식물을 주의시킴
9) 약품
ㄱ) 원인 : 스테로이드, 감기약 (예민성을 동반한 발진성 여드름 복용 시는 수일내 발생 (전신), 도포는 수 주후에 발생한다.)
피부트러블에 사용하는 연고는 일반적으로 steroid h제재의 연고로 구체적으로 gluco corticoids이다. hydrocotisone이 병원 처방으로 많이 이용된다.
단기간 사용시는 항염증작용, 혈관수축, 피부 함수율 증가로 피부 염증완화 및 재생에 도움이 되나, 부신호르몬제재인 steroid연고는 장기간 사용시 내성의 증가로 부작용인 피부가 얇아져 예민해지고, 혈관 확장, 각질 비후 현상의 촉진으로 인한 steroid성 여드름이 발생한다.
ㄴ) 형태 : 연고 중독 발진성 여드름
초기 중독 - 국소적으로 홍반, 발진성 papule, 약한 소양감
말기 중독 - 부종, 경화된 느낌, 얼룩진 홍반, 소양감, 입주위 깊이 밖힌 white head
ㄷ) 관리 : 감기 약 복용 시는 sulfur를 쉰다
규칙적으로 장기 복용하는 약을 체크해 본다
aloe zone관리는 가려움이 없어 진다.
진정, 림프마사지
10) 생리증후군
ㄱ) 원인 : 생리 7-10일전 악화
ㄴ) 형태 : 심한 papule, pastule, 가끔 nodule (주로 입주위에 발생)
ㄷ) 관리 : 약화 10일전 sulfur관리
10일동안 자주
올라오는 부분만 6개월간 집중관리
11) 호르몬제
ㄱ) 원인 : 피임약 - 여성호르몬 : 심장 박동 불규칙, 불입, 편두통, 멜라닌 합성 자극
남성호르몬 : 비교적 부작용이 없다 (여드름 악화)
ㄴ) 형태 : 비교적 심한 여드름이 입, 턱주위에 발생 (피지선 발달 부위)가끔 가슴, 등에 발생 (신체 전반적으로 지루해짐)
ㄷ) 관리 : 피임약 중단 후 여드름 자체만 관리
결혼전 여드름 악화시
2달전 : sulfur 제 1달간 사용 요 (진정)
2달 이내 : 오직 진정관리
p.s : 강한 세안은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지분비를 촉진시키고, 강한 pressurre는 난포벽 파열을 심화시켜 비화농 여드름을 화농성 여드름으로, 화농성 여드름을 더 심한 화농성 여드름화 시킨다.
혼자서 여드름 짜기를 하면 안된다. 혼자서 너무 세게 누름으로 인해 더많은 문제점을 만든다
- 문스성형뷰티 원장 정영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