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향기로운 세상 원문보기 글쓴이: 松巖
● 표안에 있는 제목을 마우스로 누르면 상세한 내용이 나옵니다. ● |
47, 독감(유행성 인플루엔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2, | |||
233, | |||
234, | |||
235, | |||
236, | |||
237, | |||
238, | |||
239, | |||
240, | |||
241, | |||
242, | |||
243, | |||
244, | |||
245, | |||
246, | |||
247, | |||
248, | |||
249, | |||
250, | |||
251, | |||
252, | |||
253, | |||
254, | |||
255, | |||
256, | |||
257, | |||
258, | |||
259, | |||
260, | |||
261, | |||
262, | |||
263, | |||
264, | |||
265, | |||
266, | |||
267, | |||
268, | |||
269, | |||
270, | |||
271, | |||
272, | |||
273, | |||
274, | |||
275, | |||
276, | |||
277, | |||
278, | |||
279, | |||
28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건강은 인간이 이땅에 살면서 가장 중요한 귀중한 재산입니다. 건강하면 오래살 수 있습니다. 인간은 영원히 살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는 것이 생물학자들의 견해입니다. 그러나 현 세상은 수많은 질병으로 인해 현대의 의술이 질병을 따라잡지 못하는 참혹한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옛부터 전해내려오는 민간요법은 현대 의학의 아버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학이 발달한 미국이나 선진국에서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민간요법은 경험의학으로 누구나 손쉽게 돈을 얼마 드리지 않고도 병을 고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약재는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것들입니 다. |
47, 독감(유행성 인플루엔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삭조(말오줌나무)
풍으로 가려운 것과 은진이 돋아서 몸이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말오줌나무를 진하게 달인 물로 목욕하면 곧 낫는다[본초].
양제근(羊蹄根, 소루쟁이뿌리)
역양풍을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철판 위에 놓고 좋은 식초를 치면서 갈아낸 즙을 바른다. 유황가루를 조금 넣으면 더욱 좋다[본초].
능소화
온몸이 풍으로 가렵거나 은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능소화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으면 낫는다[단심].
유목중충설(柳木中虫屑, 버드나무의 좀똥)
풍으로 가렵거나 은진이 돋은 데 쓴다. 물에 달여 목욕하면 낫는다[본초].
화피(樺皮, 봇나무껍질)
폐의 풍독(風毒)으로 몸이 가려운 데 쓴다. 봇나무껍질을 달여 먹는다[본초].
노봉방(露蜂房, 말벌집)
풍으로 계속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말벌집(구운 것)과 매미허물(선태)을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서 하루 두세번 먹는다[본초].
제조(굼벵이)
적유진(赤遊疹)과 백유진(白遊疹)을 치료한다. 생베로 헌데를 문질러 껍질이 약간 벗겨지게 한 다음 굼벵이의 즙을 바른다[본초].
만려어(뱀장어)
풍으로 가려운 것과 백철, 역양풍을 치료한다. 뱀장어를 구워 늘 먹는다. 또는 불에 구워 기름을 내어 바르기도 한다[본초].
사태(뱀허물)
백전풍, 백철, 역양풍을 치료한다. 뱀허물을 구워 가루를 낸 다음 식초로 개어 바른다. 뱀허물을 달인 물로 바르기도 한다[본초].
강랑(말똥구리)
역양풍(?瘍風)에 주로 쓴다. 길가에서 죽은 말똥구리를 짓찧어 뜨겁게 하여 붙인다[본초].
백화사(白花蛇)
갑자기 풍으로 가려운 것과 몸에 백전풍, 역양풍, 얼룩점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백화사의 살을 발라 가루를 낸 다음 4-8g씩 술에 타 먹는다. 검은 뱀이 더욱 좋다[본초].
단웅계관혈(丹雄鶏冠血, 붉은 수탉볏의 피)
백전풍과 역양풍을 치료한다. 그 피를 바른다[본초].
발합(집비둘기)
풍으로 가려운 것, 백전풍, 역양풍을 치료한다. 집비둘기 고기를 구워 먹는다[본초].
우락(牛酪, 졸인 젖)
붉은 은진을 치료한다. 졸인 젖(酪)에 소금을 조금 넣어 끓인 다음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계란(鶏卵, 달걀)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한다. 달걀(생것) 1개를 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바늘로 찔러서 흰자위를 뺀 다음 비상과 녹두가루를 조금씩 넣어 고루 섞어서 돌로 전풍을 문질러 껍질이 벗겨진 다음 쪽물 들인 천에 약을 묻혀 문지르면 낫는다[득효].
(출처:동의보감)
◎ 석창포
○ 석창포의 매우면서도 헤치고 통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 1치와 파두살 1알을 함께 짓찧어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솜에 싸서 귓구멍을 막는데 하루 한번씩 갈아 준다.
○ 귀가 아플 때에는 석창포즙을 귀 안에 넣는데 잘 낫는다[본초].
○ 석창포는 몸의 찬 기운 즉 냉증을 치료한다.
○ 36가지 풍증을 다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썰어서 술에 담갔다가 먹거나 술을 빚어서 먹는데 그 방법은 잡방(雑方)에 있다[본초].
○ 열독창(熱毒瘡)
온몸에 열독으로 헌데가 생긴 것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아프기만 하고 가렵지는 않다. 그리고 헌 데에 옷이나 이불이 들어붙기 때문에 잠을 잘 잘 수가 없다. 이런 데는 석창포를 쓰는데 가루내 어 자리 위에 두텁게 펴고 거기에 마음대로 누워서 5-7일 동안 있으면 헌데가 씻은듯이 없어지 고 신기하게 낫는다[본초].
자초고나 규화산을 쓰는 것도 좋다[제방].
○ 벼룩과 이를 없애는 방법
석창포는 벌레를 없애고 이와 벼룩을 죽이는 기운이 세다. 그러므로 이와 벼룩을 없앨 수 있다.
○ 석창포(石菖蒲)
몸이 가뿐해지고 오래 살며 늙지 않는다. 석창포뿌리를 캐서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 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내어 찹쌀죽과 함께 졸인 꿀[煉蜜]에 섞어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 약을 술이나 미음으로 먹되 아침에 30알, 저녁에 20알을 먹는다[본초].
○ 석창포술을 만드는 방법은 석창포뿌리를 짓찧어 낸 즙 5말과 찹쌀 5말로 지은 밥과 보드랍게 가 루내어 만든 약누룩 3kg을 함께 고루 섞어서 반죽한 다음 보통 술을 빚는 것처럼 담근다. 술이 익은 다음 청주를 떠서 오랫동안 마시면 정신이 좋아지고 더 오래 산다[입문].
○ 가슴두근거림 심혈이 허해서 놀라는 것을 치료한다.
○ 총명탕(聡明湯)
잊어버리기를 잘하는 것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하루에 천마디의 말을 외울 수 있다.
백복신, 원지(감초를 달인 물로 축여 심을 버린 다음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석창포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하루 세번 먹는다[종행].
○ 간질병을 치료한다.
○ 석창포는 마음과 정신을 편안하게 한다.
○ 석창포(石菖蒲)
심규를 열어 주고 잘 잊어버리는 것을 치료하며 정신을 좋게 한다. 석창포와 원지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이나 미음에 타서 하루 세번 먹는다. 귀와 눈이 밝아진다[천금].
○전간을 치료하는데 석창포(가루를 낸 것) 8g을 돼지염통을 달인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정전].
○ 석창포(石菖蒲)
심규(心竅)를 열어 주고 심을 보호하며 정신이 좋아지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본초].
○ 석창포(石菖蒲)
뱃속에 있는 여러 가지 기생충을 다 죽인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석창포(石菖蒲)
연가시[飛糸]가 눈에 들어가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를 두드려서 연가시가 왼쪽 눈에 들어갔으면 오른쪽 콧구멍을 막고 오른쪽 눈에 들어갔으면 왼쪽 콧구멍을 막으면 곧 낫는다[득효].
○ 창포산(菖蒲散)
코가 메서 숨쉬기 곤란한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 주염열매(조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짓찧어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솜에 싸서 코를 막은 다음 잠시 동안 반듯하게 누워 있으면 낫는다[강목].
○ 석창포는 가래 즉 담(痰)을 없앤다.
○ 기억력을 좋게하며, 머리를 총명하게 한다.
○ 뇌의 피로를 풀어주어 뇌를 튼튼하게 한다.
○ 몸의 아픈 것 즉 통증을 멎게 한다.
○ 석창포는 그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가슴 위쪽으로 생간 온갖 질병을 치료하고 막힌 것을 뚫으며 열을 내리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담을 삭이고 체한 것을 내리며 마음을 굳세게 하고 귀먹은 것, 귀울림, 종기, 악창을 치료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하고 목소리를 좋게한다. 손발이 차고 저리며 아랫배, 등, 허리, 무릎이 시리고 아픈 냉증을 치료하고, 혈액순환을 좋게하고, 머릿결과 피부를 곱게 할뿐만 아니라 은은한 향기가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 각종 암 치료제로 사용하며 암세포를 100퍼센트 죽인다. 곰팡이균도 90퍼센트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석창포는 함암효과가 상당히 세어 민간에서는 갖가지 암 치료약으로 쓴다.
○ 건망증, 기억력을 좋게 한다.
○ 온갖 독을 푸는 데 좋다.
○ 중풍(뇌졸증)에 효과가 있다.
○ 피부 가려움증 습진이나 피부병으로 가려울 때는 석창포 달인 물로 아픈 부위를 씻고 나서 석창포 가루를 하루 2-3번씩 바른다.
○ 감기, 소화불량, 밥맛이 없을때도 석창포 5그램와 삽주 20그램을 가루내어 작은 티스푼으로 한숟갈씩 하루 세 번 먹으면 효과가 있다.
○ 여성의 냉증에 효과가 있다.
○ 석창포를 외용약으로 사용할때는 푸른잎을 즙을내어 바르거나 떨구며, 뿌리나 줄기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 내어 뿌린다.
○ 수험생, 치매환자, 정신집중, 스트레스에 효과가 좋다.
○ 석창포를 오래 끓이는 것이 아니라 살짝 끓여 마셔야 향기가 있는 정유 성분이 안날라가서 효과가 있다. 석창포를 욕탕에 넣어 목욕하거나 반신욕을 하여도 좋다.
○ 석창포는 부작용이 없고 체질에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아무런 독이 없는 약초중에 최고의 상품 약으로 고의서에 소개되어 있다.
○ 석창포의 약효와 성분은 ‘칼라베놀’, ‘아사론’, ‘팔미틴’, ‘사프롤’, ‘정유’ 등이 뿌리와 줄기에 함유되어 있다.
○ 석창포는 복용하면 두통이 사라진다.
○ 기분이 상쾌하며 머리가 맑아지고 기상 후 몸이 가뿐해진다.
○ 불면증이 없어지고 그와 반대로 잠이 많은 사람은 일찍 일어나는 이점이 있다.
○ 답답한 가슴을 확 열어 마음이 편안해진다.
○ 용기를 솟게하여 대장부의 기개를 살려준다.
○ 신경성 계통의 여러 질환을 다스린다.
○ 석창포 뿌리나 잎을 베게를 만들어 베고 자도 동일한 치료효과가 있다.
○ 석창포 잎은 차를 끓여서 먹고 뿌리는 가루를 내서 복용하고 잎은 새끼를 꼬아 베게를 만들어 베고 또는 방석이나 깔고 자는 이부자리를 만들며, 석창포를 바위에 붙혀 집안에서 관상용으로 기르거나 말린 뿌리를 머리의 비녀로 사용하고, 말린 뿌리를 모양을 내어 목걸이 장식으로, 잎으로 모자를 만들어서 여름에 사용하고, 밧줄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말린뿌리를 삼베 베게속에 넣고 잠을자거나 석창포를 가까이 할 수 있는 온갖 다양한 용도를 찾아내어 사용한다면 더없이 좋을 것이다.(j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