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바로 그 때 여우가 나타났다. “안녕.” 여우가 인사했다. “안녕,” 어린왕자는 울음을 그치고 상냥하게 대답하여 몸을 돌려 소리 나는 쪽을 보았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여기야, 난 사과나무 밑에 있어.” 조금 전의 그 목소리가 말했다. “넌 누구지? 넌 참 예쁘구나!” 어린 왕자가 물었다. “난 여우야.” 여우가 대답했다. “이리 와서 나하고 놀자. 난 지금 아주 슬프단다.” 어린 왕자가 말했다. “난 너하고 놀 수 없어. 나는 길들여져 있지 않거든.” 여우가 말했다. “아! 미안해.” 어린왕자가 말했다. 그러나 잠깐 생각해 본 뒤에 어린 왕자가 물었다. "‘길들인다’ 는 게 무슨 뜻이지?” (나) “부탁이야. 나를 길들여 줘!” 여우가 말했다. “그래, 나도 그러고 싶어. 하지만 내겐 시간이 많지 않아. 친구들을 찾아야 하고 알아야 할 일도 너무 많거든.” 어린 왕자는 대답했다. “우린 우리가 길들이는 것만을 알 수 있는 거란다.” 여우가 말했다. “사람들은 이제 아무 것도 알 시간이 없어졌어. 그들은 가게에서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을 사거든. 그런데 친구들 파는 가게는 없어. 그러니까 사람들은 이제 친구가 없는 거 나 마찬가지지. 친구들 가지고 싶다면 나를 길들이렴.” “어떻게 해야 하는 거지?” 어린왕자가 물었다. “참을성이 있어야 해.” 여우가 대답했다. “먼저 내게서 좀 떨어져서 이렇게 풀숲에 앉아 있는 거야. 한 너를 힐끔힐끔 곁눈질로 쳐다볼 거야. 넌 아무 말도 하지 말아. 말은 오해의 근원이 될 수가 있으니까. 하루하루 날짜가 지나감에 따라, 너는 조금씩 나와 가까운 곳에 다가앉을 수 있게 될거야.” (다) “너희들은 아름답지만, 단지 피어 있을 뿐이야. 누가 너희들을 위해서 죽을 수는 없 을 테니까. 물론 나의 꽃은 지나가는 사람들에겐 너희들과 똑같이 생긴 것으로 보이겠 지. 하지만 그 꽃 한 송이가 내게는 그 어떤 장미꽃보다 더 중요해. 내가 물을 주었던 꽃이거든. 유리덮개도 씌워 주었지. 바람을 막아 주기 위해 바람막이도 해주었다고. 애 벌레 두세 마리는 나비가 되도록 죽이지 않고 놔두었지만, 나는 그 꽃의 불평도 들어주 었고, 자기 자랑만 늘어놓는 것도 들어주었지. 때로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있으면 걱정 이 되어서 왜 그러느냐고 근심스럽게 묻기도 했지. 그건 내 장미꽃이기 때문이야.” (라) “아까 말해 주겠다던 비밀은 이런 거야. 뭐 별것은 아니야. 어떠한 것을 볼 때 마음으로 보지 않으면 잘 보이지 않는다는 거야. 가장 중요한 건 눈에 보이지 않는단다.”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단다......,” 어린 왕자는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여우를 따라 했다. 그러자 여우가 다시 한 마디 했다. “네 장미꽃을 그토록 소중하게 만드는 건 그 꽃을 위해 네가 써 버린 그 시간이란다. 사람들은 이런 진리를 잊어버렸어. 하지만 넌 그것을 잊어선 안 돼. 네가 길들인 것에 언제까지나 책임이 있어. 넌 네 장미에 대해 책임이 있어.” “내가 장미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어린 왕자는 여우가 한 말을 되뇌었다.
|
● 토론 논술(양비론, 흑백론 피할 것)
1. 여우가 어린 왕자를 처음 만났을 때 나무 뒤에 숨은 이유를 ‘길들여지지 않아서’라고 말한다. 길들여진다는 것의 의미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어린왕자가 장미꽃에 물을 주고, 바람을 막아 주고, 벌레도 잡아 주었기 때문에 그의 장미가 되었다는 의미가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인류의 역사 중에서 사례를 찾아 논술하라.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본보기글 첨삭하기- 본보기글을 감상하고 첨삭하여 봅시다.
-잘 된 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아쉬운 점: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게 살기를 원하며,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 속에서 행복을 찾지 못하고 고통이나 고독을 느끼기도 한다. 정신적인 행복보다는 물질적인 풍요로움만을 원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이익만을 챙기며 다른 사람들의 고통을 거들떠보지도 않는, 이런 이기적인 삶을 살고 있는 그들에게 진정한 행복이 주어지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길들인다는 것은 자신의 인내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즉 자신을 희생시켜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길들여지는 대상은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것이라고 여기는 존재가 아닐까? 그러나 진정한 행복을 모르며, 이기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에 눈이 멀어 ‘가게에서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들을 사는 것’처럼 삶에서 중요시하는 것을 자신의 노력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아무런 힘도 들이지 않고 얻으려고만 한다. 어린왕자는 자신의 장미꽃이 다른 장미꽃과 모양은 같지만 그 어떤 장미꽃보다 더 소중한 꽃이라고 했다. 자신이 물을 주고, 유리덮개도 씌워주고 바람막이도 해준, 즉 자신에게 길들여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꽃의 불평도 들어주고, 자기 자랑을 늘어놓는 것도 들어주고, 걱정도 해 주었다고 그는 말했다. 길들여진다는 것은 자신까지도 버릴 수 있을 만큼 그것을 아끼고 소중히 여기는 것. 그리고 그것에 대해 책임의식을 가지는 것이다. 또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길의 하나인 것이다. 문명이 발달한 현재,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물질만을 좇고 있다.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단다.’라는 여우의 말처럼 정말 소중한 것은 눈으로는 볼 수 없다. 무엇이든지 마음으로 볼 수 있다면, 그리고 여러 사람들과 모든 것을 함께 하며 그들을 길들일 수 있다면, 자신이 원하던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
●실전 논술
인간의 삶에서 진정으로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해야 인간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지 제시문 생텍쥐베리의 ‘어린왕자’에 기초하여 논술문을 작성하여 봅시다.
1. 논의의 방향제시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문제제기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Ⅱ. 본론( 연역 논술/ ‘어린왕자’를 기점으로 )
1. 주장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근거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설명(인용, 속담, 사실논거, 소견논거)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Ⅲ. 결론
1. 본론 재강조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미래 전망 제시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