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 발 : 야탑역 1번 출구 오전8시.
귀여리 괴내~남서릉~정암산~앵자지맥~북릉~정상
〈약 7km·3시간30분~4시간 소요〉
{월월산산 시산제 장소 답사 산행이고요 점심은 하산후 30가지 반찬의 전주밥상(031-767-2702)에서 쌀밥정식으로 하겠습니다.^^ 많이 참석 하세요~ㅇㅇ!}
속리산 천황봉에서 백두대간을 벗어난 한남금북정맥은 칠장산(492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나뉜다.
한남정맥은 김포 문수산(376m)까지 이어지는데, 용인 못 미처 문수봉(403m)에 이르면 북동으로 가지 하나를 분가시킨다.
이 가지가 ‘앵자지맥’(박성태 저 <신산경표> 참조)이다.
앵자지맥은 독조봉(432m)에 이르면 두 갈래로 나뉜다.
동으로 ‘독조지맥(상동)’을 흘리고, 앵자지맥은 계속 북동으로 향해 천덕봉(635m)에 이르면 북서향으로 틀면서 광주시와 여주군 경계를 이루며 나아가다가 남이고개를 지나 앵자봉(鶯子峰·670.2m)을 빚는다.
앵자봉에서 북동으로 가지 친 능선은 양자산(楊子山· 709.2m)~백병봉(423.6m)에 이르러 남한강으로 스며든다. 앵자봉에서 북서로 계속 이어지는 앵자지맥은 해협산(海峽山·531.3m)~정암산(正巖山·403.3m)을 지나 여맥들을 두물머리 앞 한강으로 가라앉힌다.
옛날 해협산의 이름은 ‘바답산’이었다. 광주의 고문헌이나 〈광주군지〉 어디에도 해협산이라는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이 산 서쪽 귀여리·분원리·금사리 토박이 주민들 중 나이 드신 분들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수되는 두물머리 강 모습이 바다처럼 넓게 보인다 해서 ‘바다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고 한다.
정암산 정상에는 남동쪽으로 절벽을 이룬 큰 바위가 있다. 이 바위를 중심으로 북쪽은 검천리, 남쪽은 귀여리 경계를 이룬다. 정상에서 서쪽과 북쪽 팔당호 건너로 펼쳐지는 조망이 일품이다. 삼각점(양수 461)이 있는 정암산 정상에서 서쪽으로는 검단산, 북서로는 예봉산과 적갑산이 보인다. 그 오른쪽으로는 운길산과 수종사가 마주 보인다. 운길산 아래로는 두물머리, 양수대교, 북한강철교, 양수리 번화가가 아름답게 펼쳐진다. 운길산 오른쪽으로는 고래산과 문안산이 천마산과 함께 하늘금을 이룬다.

귀여리 교회-(약 200m)→전진주 삼거리(←정암산, 해협산→ 푯말이 전신주와 붙어 있음)-(비닐하우스 사잇길로 약 50m 후 묘역 아래로 난 길로 약 100m)→푯말(정암산 2.4km→)-(오른쪽 지계곡 길로 7~8분)→남서릉(↓하산로, 정암산→ 푯말)-(6분)→무명봉 휴식장소(벤치 2개, ↓귀여리 0.7km, 정암산 1.7km↑ 푯말)-(15분)→송림 속 무명봉-(20분)→341m봉-(4~5분)→푯말(↑정암산 정상 0.8km, 귀여리 1.6km↓)-(10분)→정암산 정상( ↑검천리·알미 2.3km, 귀여리 푯말)-(북릉으로 50m)-북봉 삼거리(↑검천리·알미 2.25km 푯말)-(오른쪽 앵자지맥 15분)→사거리 안부(옛고개, 북쪽은 종여울 방면 여울골)-(15분)→344m봉-(15분)→408m봉(휴식장소, ↓정암산, 해협산→ 푯말)-(남쪽으로 18분)→∧자로 꺾이는 곳(←해협산, 정암산↓ 푯말)-(5분)→옛고개(돌무더기, 성황당)-(7~8분)→사거리 안부(←청탄 0.7km, ↓정암산 2.6km, 해협산 1.8km 푯말, 서쪽 길은 다람내골)-(20분)→삼거리(북쪽 길은 다람내골). 이후 북릉으로 약 20분 오르면 정상이다

▲ 1. 염티고개에서 10분 거리 첫 번째 송전탑에서 북으로 본 정상(가운데).
오른쪽은 남동릉, 가운데는 남릉.
2. 염티고개 주차장 옆 약수터.
3. 정상에서 내려다본 쇠뫼기골과 남서릉. 오른쪽 끝은 국사봉과 퇴촌
첫댓글 영원,엘리스 참석합니다
함백산,푸른소나무 참석합니다.
마페선배님, 혜운참석합니다
룰루네 참석합니다
산소리와 동반자 참석합니다.
두방이님은 개인 사정상 불참하고 저 혼자 참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