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거리
옛날 장나라 장설룡과 송나라 송설룡 부부가 되어 천하거부로 살았으나 50살이 되어도 슬하에 자식이 없었다. 부처님에게 원불수륙을 드려 딸을 얻었다. 딸이 일곱 살 나던 해에 아버지는 천하공사, 어머님은 지하공사를 살러 가며 딸을 살창에 가두어 두고 하녀에게 부탁하고 떠났다. 살창을 빠져 나온 아기씨는 길을 잃고 두 이레 열나흘을 울며 사경을 헤맨다. 하녀는 서신을 띄워 아기씨가 집을 나갔음을 부모에게 알린다. 대사 중이 아기씨를 거두어 장나라에 들어오고 돌아 온 부모는 사방으로 아기씨를 찾는다. 대사 중은 아기씨를 장설룡 대감집 문의 말팡돌에 파묻어두고 대감에게 알리고 달아난다. 아기씨를 찾고 보니 아기씨는 이미 중의 아이를 임신하고 있었다. 화가 난 부모는 아기씨를 무쇠석함에 넣고 동해 바다로 띄워 버린다. 석함은 바다에 떠서 함덕 서모봉 <썩은개>로 올랐다. 이 때 함덕리에는 13가호 일곱잠수가 살았는데 이들이 석함을 발견하고 서로 자기가 주웠다고 다툰다. 어부 송첨지 중재로 석함 속의 것을 나누기로 하고 열어보니 청구렁이, 흑구렁이, 알룽달룽한 아기뱀들이 들어 있었다. 이 뱀들을 동서로 던져버리니 일곱 잠수와 송첨지는 눈에 눈병, 가슴에 윗병이 들어 사경을 헤맨다. 무녀에게 점을 치니 타국에서 온 신령을 박대한 죄를 지었으니 <전새남굿>을 하라고 한다. <칠성새남굿>을 하였더니 이들 잠수와 어부는 모두 천하거부가 되었고 이들은 서모오름에 칠성당을 세웠고 집집마다 위하게 되니 함덕리는 부촌이 되었다. 이 칠성사신들은 도성안에 들어와 가락천 물길을 따라 칠성골 송대정 집 문앞에 누웠더니 그 부인이 "나에게 내린 조상이면 우리집으로 오십시요" 하며 치마로 싸서 고팡에 모셨더니 천하거부가 되었다. 하루는 칠성신이 <배부른동산>에 누워있는데 관원이 지나다 이 뱀들을 보고 더럽다며 침을 뱉었는데 그날부터 구감증에 걸려 답답 민망하여 신녀를 불러 점을 치니 타국에서 온 신령을 박대한 죄이므로 <전새남굿>을 하라 하니 <칠성새남>굿을 하였고 칠성신을 대접을 받아 죄를 풀어 주었다. 그 후 이곳은 신이 대접을 받아 배가 불렀으므로 <배부른동산>이라 했다. 이 칠성신들은 모두 헤어져 여러 곳을 관장하는 신들이 되었다.
여기에 나타난 사신은 집안 조상신으로 모시는 칠성신이다. 이 사신신앙은 토산당 사신과 함께 제주도 민간신앙의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칠성은 곡물신으로 관념되는 농경신인데 이 사신숭배는 뱀 자체를 숭배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뱀의 정령, 실체 아닌 비실재의 사신숭배라 함이 타당할 것이다. 신화상 칠성신은 타국에서 온 신령, 즉 외래신이며 사신이며 수신이다. 또 잘모시면 천하거부로 만들어주고 대접이 소홀하면 소위 칠성에 걸린 병을 주어 사경을 헤매게하는 질명신, 재앙신이다.
이 본풀이에는 칠성신이 등장하는데 아마 매우 중요한 신이었던 것 같다. 신령을 박대한 죄로 사경을 헤매고 모셨더니 천하거부가 되기도 하니 말이다. 좋은 신이기도 하고 재앙신이 되기도 하는 것을 보면 여기서 보여주고자 했던 신도 매우 다능한, 전지전능한 신이었겠지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이 이야기를 보고 나니 다른 것들의 내용도 궁금해 진다. 많이 접해보지 못했던 부분인 것도 이유이지만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는 당김이 있는 것 같아서다. 쉽게 말하자면 흥미를, 재미를 유발해서 책에 있는 다른 본풀이도 읽어보고싶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