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특성 |
|
식물명 : 왕골 |
학 명 : Cyperus iwasaki MAKINO | |
|
분포 및 형태 |
형태 |
방동사니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서 온대지방에서는 1년생이고 줄기는 1.2∼1.5m 정도 곧게 자라는데 각이 둔한 삼각형이며 표피는 매끄럽고 광택이 있으며 성숙하면 황갈색을 띠고 표피 안쪽에 엽록소를 포함하고 있는 후막조직이 있고 안쪽 속(髓部) 부분에 무색의 세포인 유조직이 있으며 줄기 하위 각절에서 긴 잎이 6∼8개 생긴다.
줄기 선단에서 총상(總狀)의 꽃차례가 형성되며 포엽(苞葉)이 3∼4장 있고 10여개의 긴 이삭줄기(穗梗)가 나와 다시 가지를 쳐서 산형(傘形)의 큰 이삭을 형성하며 각지경에서는 10-15개의 영화(穎花)가 붙어 있는 편평한 방추형의 작은 이삭을 이루고 종실은 아주 작아 길이 0.9㎜, 나비 0.5㎜ 내외로 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하며 소수경(小穗梗에 면한 쪽이 넓적하다. |
|
분포 |
우리나라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일본, 만주, 인도, 서부 아프리카, 멕시코, 브라질 등 세계 각지에 자생하고 있습니다.
많이 재배되는 곳 : 전남 함평, 나산, 해보, 월야, 경기 강화, 전북 옥구, 경남 합천, 경북 김천 |
|
성분품질 이용 |
성분 및 용도 |
줄기의 피층부분(皮膚)과 속(髓部)을 분리하면 피층부분이 쪼개지면서 표피가 표면으로 둥글게 말려 건조하면 돗자리(인피석 : 탈색한 것, 관석 : 탈색안한 것, 다단석 : 운반 및 보관용이게 접는 것, 용문석 : 무늬를 수놓은 것) 등을 만들고 표피는 납(wax) 성분을 분비하며 큐티클 (cuticle) 층이 있어 수분이동을 억제하고 광택이 있어 속부분(완심)도 건조하여 덧신, 바구니, 여름가방, 문발제작용으로 만들며 줄기를 속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3∼4쪽으로 찢어 건조시킨 후 화문석을 만들면 우아한 장식용 카펫으로 사용하고 잎(완엽)은 건조시켜 성글게 직조하여 종이에 붙여 고급벽지로 만든다. |
|
상품 |
표피는 광택이 있어 황갈색이고 경장이 120cm 이상이며 경태가 굵으면서 삼오병 발생이 없어야 한다. |
|
경종기술 |
|
재배환경 |
기후 |
- 온난한 기후를 좋아하지만 비교적 추운 지방에서도 재배할수 있으며 생육기간에 고온, 다습하고 성숙기에는 건조한 상태로 경과하는 곳이 좋음.
- 생육기간이 짧아 남부지방에서는 벼 앞그루로 재배하기도 함.
|
|
토양 |
- 비옥하고 토심이 깊으며 어느정도 습기가 유지되는 물빠짐이 좋은 사양토나 사토에서 재배됨.
- 물빠짐이 나쁘고 유기물함량이 너무 많아 벼 재배에 알맞지 않은 습한 논, 고래논에서도 재배됨.
|
|
식물분류 품종 |
품종 |
품종명 : 시험연구기관에서 육성보급한 품종이 없으며 자생 및 농가에서 재배해온 지방수집종이 주종 이룸
주요 특성
- 조생종 (강화종, 옥구종, 함평조생종)
경태가 굵고 단경종, 유효분얼수가 적으며 도복성이 강하여 다수성으로 저온기 생육이 양호한 조기 재배에 알맞음.
- 만생종 (함평종, 김천종, 금능종, 합천종)
장경종 경태가 가늘고 유효분얼수가 많아 수량성이 높아 품질도 양호하여 보통재배 및 2기작 재배에 적합함
- 재배면적은 수확후 탈골 (줄기를 피층과 속부분으로 찢어 구부하는 작업), 건조 등 가공과정을 충분히 고려하여 규모를 결정하고 원료공급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일반재배와 조기재배를 겸할수 있어야 함.
- 생육초기에 질소성분이 많아 생육이 너무 좋으면 도복피해와 삼오병 발생으로 품질이 저하되고 후기에 추비중점 시비로 재배하거나 비닐하우스 안전재배로 품질향상에도 유리함.
|
|
종자번식 및 채종 |
- 번식 : 종자 및 포기나누기(分枝)
- 채종방법
생육이 좋은 우량한 식물체를 베지 않고 남겨 두었다가 꽃이 갈색으로 되고 종자가 떨어지기 시작할 무렵에 이삭을 잘라 그늘진 곳에서 완전히 건조한 뒤 종자를 털고 정선하여 보관함. |
|
재배법 |
재배양식 |
이식기에 따라 일반재배, 조기재배로 구분함. |
|
노지 재배 |
조기재배(3월상,중순 파종, 4월하순∼5월상순 이식, 6월상,중순 수확), |
일반(보통)재배 |
월중순∼5월상순 파종, 6월상,중순 이삭, 8월중순∼9월상순 수확 |
하우스 2기작재배 |
1기작재배(2월중,하순 파종, 4월중,하순 이식, 7월상,중순 수확) 2기작재배(5월중,하순 파종, 7월중,하순 이식, 9월중,하순 수확) | |
|
파종 및 육묘 (묘기르기) |
|
묘판적지 |
육묘 방법 |
일반재배(보통육묘법), 조기재배(비닐보온육묘법), 하우스2기작재배 |
온상가온 육묘법 |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좋은 동남향으로 관리하기 편한 논이나 밭을 선택 비옥도가 중정도인 양토, 사양토로 물빠짐이 좋고 보수력이 좋은곳 |
묘판면적 (10a당) |
보통육묘법 |
13∼15㎡(4.0∼4.5평) |
비닐보온 육묘법 |
15∼20㎡(4.5∼6.0평) |
온상가온 육묘법 |
7∼10㎡(2.0∼3.0평) |
파종시기 |
비닐보온육묘(3월상,중순), 보통육묘(4월중순∼5월상순) |
하우스 2기작재배 |
1기작-가온육묘(강화종, 2월중하순), 2기작-무가온 육묘(함평종, 김천종, 5월중,하순) |
파종량(10a당) |
보통육묘 : 26∼30g, 비닐보온육묘 40∼60g, 온상가온육묘법(14∼20g) ※ 산파시 2g/㎡ 기준(0.08∼0.1g/1,000립) |
육묘상 설치 및 자재준비 (종자, 상자,상토 등) |
종자는 재배유형에 따라 품종을 선택하고 10∼15℃에서 2∼3일간 처리후 발아되기 전에 파종. 보통, 비닐 보온육묘상은 양지바르고 배수가 양호한 논에 묘판을 벼못자리 보다 약간 높게 하여 판자로 편평하게 잘고른 다음 모판에 물을 충분히 대어준다.
비닐하우스 가온육묘상은 전열선을 깔아 묘상바닥은 균일하게 골라서 묘상을 설치하고 10a당 이식에 20∼25상자가 소요되며 상토는 논흙이나 밭흙을 5m체로 치거나 복토용은 3㎜체로 쳐서 만들고 시판상토 중인 부농상토 등을 구입하며 소요량은 60∼75ℓ로 여유있게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토에 비료를 혼합할때에는 세사(細砂와 상토흙을 가지고 비료와 골고루 혼합한 후 다시 비료를 혼합한 흙으로 전체상토와 골고루 혼합한다.
상자에 상토를 담기전에 비닐로 바닥을 깔고 상토를 담고 진압, 균평작업을 하여야 한다. 비닐하우스는 파종전 5∼7일전에 설치하던지 이미 하우스가 있으면 사용가능한지 검토한 후 찢어진 곳이 많으면 비닐을 새것으로 씌워 놓아야 한다. |
파종방법 |
보통육묘 |
120cm 묘판에 산파후 복토하지 않고 표면에 반그늘이 되도록 볏짚을 덮어 발아하면 바로 제거한다. |
비닐 보온 육묘 |
120cm 묘판에 산파후 가는 모래를 얇게 복토한 다음 비닐을 씌워보온한다. |
비닐하우스 온상 가온 육묘 |
상토를 상자담고 충분히 물을 주고 상자당 0.3g 파종량으로 종자와 가는 모래를 50:1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하게 씨뿌린 후 복토를 엷게 한다음 비닐하우스 바닥에 마대 등을 물에 적셔 깔고 상자를 층층으로 쌓고 그위에 물에 적신 마대로 덮어 비닐 부직포을 씌워 간이출아 방법을 이용한다. 출아를 끝낸 백색 초엽의 길이가 8∼10㎜ 신장하였을 때 녹화시키는 것이 좋고 비닐하우스내에서 평면 치상육묘을 실시한다. |
묘판관리 |
시비 |
3.3㎡(1평)당 요소24g(유안50g), 용과린 37∼40g, 염화가리(황산가리) 12∼14g, 또는N-P-K=3.2-2.2-2.1g/㎡ 소석회 62g 정도를 밑거름으로 주고 비닐제거후 7∼10일경에 요소 0.2%액이나 유안으로 웃거름을 주며 및 비옥한 논에서 못자리와 시중에서 구입한 육묘용상토는 비료를 주지 않는다. 추비는 생육상태를 보아가면서 시용하여야 함. |
수분 |
보통, 비닐보온 육묘는 파종하기전에 묘판에 충분히 관수하고 파종후에는 묘판둘레의 골에만 물을 대어준다. |
병해충방제 |
모잘록병, 뜸묘, 진딧물 등 |
비닐하우스 가온육묘는 녹화가 끝난후 비닐하우스내에 평면치상에 복토표면이 말라 있거나 들뜨기게 되면 관수를 하는데 찬물로 갑자기 주지말고 수온이 25∼30℃정도 되는 물을 주어야 한다.
발아후 이식할 때까지 모가 어느정도 자라고 외부온도가 높아져 터널안이 너무 고온이 되면 비닐을 찢어 온도를 조절하여 튼튼한 묘를 기른다.
적정 육묘일수는 조기재배(비닐하우스 1기작)에서 40∼45일 보통재배 또는 만기재배(비닐하우스 2기작)에서는 35∼40일로 엽수 7∼7.5매, 초장 15∼20cm 정도가 적당하다. | |
|
옮겨심기(移植) |
|
모내기 준비작업 |
심경은 피하고 일정한 깊이로 경운해야 하고 정밀하게 논고르기 작업하며 이앙 2∼3일전에 써레질해야 이앙할 때 알맞는 굳히기가 된다. |
이식시기 |
조기재배 4월하순∼5월상순, 일반(보통)재배 6월상,중순, 하우스 2기작재배 1기작(4월중,하순), 2기작(7월중,하순) |
재식거리 |
보통재배 |
밀식(조간 21cm, 주간 21cm), 소식(조간 27∼30cm, 주간 27∼30cm) |
조기재배 |
밀식(조간 15cm, 주간 15cm), 소식(조간 18cm, 주간 18cm) |
하우스 2기작 재배 |
조간 30cm, 주간 30cm |
품종별 |
조생종(밀식재배), 만생종(소식재배) |
이식방법 |
묘가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고 흐린날을 택하여 이식한다. 길이가 15∼20cm 내외로 되는 충실한 묘로 주당1본씩 얕게 몇단계로 나누어 옮겨심는다. |
기계이식 재배 |
벼 산파 이앙기를 활용한 이식상태는 30×15cm 식재에서 입모율 56%, 결주율 32%, 뜬모율 8%, 매몰모 4%이였고 1주2본 이식 22%, 1주3본 이상 이식 9%를 보였으며 손이식구에 비하여 이식시간의 단축되고 ㎡당 유효경수도 증가되었으나 건피수량은 감수되어 이앙기 활용에서 주당 2본이상 이식과 결주율이 높아 이용하는데 현실적이 못하지만 개선 보완하여야 할것이다. | |
|
거름주기 |
|
왕골은 줄기를 이용한 작물이므로 3요소중 질소질 비료를 충분히 주어야 한다. 유기질 비료는 10a당 완숙퇴비 1,200∼1,500kg를 시용하고 규산질비료는 씨뿌리기 15일전에 200∼250kg를 땅전면에 뿌리고 갈아 엎는다. |
|
화학비료 시용 10a당
보통, 조기재배 |
기비-요소 30∼44kg, 용과린 60∼70kg, 염화가리 13∼23kg 이식후 10∼15일, 이식후 25∼30일에 요소 5∼10kg씩 2회 분시함. |
하우스 2기작 재배 |
1기작 |
기비-요소 46kg, 용과린 85kg, 염화가리 28kg, 추비-이앙후 15일, 이앙후 30일에 유안 20kg씩 2회 분시함 |
2기작 |
기비-요소 37kg, 용과린 70kg, 염화가리 23kg, 추비-이앙후 15일 에 유안 25kg를 분시함 | |
|
제초 |
- 왕골이 60cm 가량 자라기까지 2∼3회에 걸쳐 김매기와 함께 결주된 곳에 옮겨 심는다.
- 옮겨심은 후의 초기 생육이 저조하므로 초기에 잡초 방제를 하지 못하면 방제하기가 어렵다.
- 잡초에 적용되는 고시된 제초제는 없으므로 인력제초로 하는 실정이다.
|
|
주요 관리 |
물관리는 이앙후 활착기까지는 얕게 관개해주고 활착후 분얼기에는 3cm 내외로 관수하며 수확 10일전에는 완전 물때기를 실시한다. |
|
병해충 방제 |
병해충 방제 |
- 생육기에 3∼4회 정도 살충제와 살균제를 살포하여 준다.
- 삼오병은 질소질 과다시용, 도복피해, 수확기 지연으로 고온 다습조건에서 발생하는데 이앙후 20∼30일부터 본엽에서 55∼60일부터는 줄기에서 발생하여 점차 증가되고 톱신, 헥사코나졸, 가벤다 등의 약제를 살포하면 약간 효과적이지만 일종의 생리적인 현상으로 추정된다.
- 병해 : 줄기 갈변증(삼오병), 잎짚 무늬마름병(문고병), 흰가루병
- 충해 : 진딧물
|
|
병해충 방제 |
도복 줄기가 높게 자라면 강우 및 태풍으로 인해 쓰러지기 쉬우므로 가로, 세로 1m 간격으로 말목을 박고 비닐끈 또는 노끈으로 그물망을 설치하거나 나이론실로(27×27cm) 그물을 떠서 씌운 뒤 고정시키며 화문석용이 아닌 포장은 출수후 10일경에 이삭을 줄기 끝에서 잘라준다. |
|
수확조제 |
수확 |
이삭목 줄기를 만져 보아서 단단하거나 줄기를 꺾어보아 끊어지지 않고 황색을 띠며 잎이 갈색으로 변할때(출사후 10∼15일경)가 수확적기입니다. |
- 수확기
조기재배(6월상,중순), 보통재배(8월중순∼9월상순),하우스 2기작재배-1기작(7월상,중순), 2기작(9월중,하순)
- 수확방법
수확할때에는 지면에서 가까운 그루터기를 짧게 상처를 내지 않고 베어내는데 벤자리가 수평이 되도록 하여야 탈곡작업을 하기가 좋으며 수확량은 당일에 탈골 조제할수 있는 분량만큼 수확한다. |
|
건조 및 조제 |
맑은 날을 택하여 수확하면서 잎과 이삭을 잘라버리고 줄기를 길이에 따라 구분한다. 수확 당일에 생줄기를 두사람이 마주잡고 기부쪽에서 껍질을 3∼4개로 찢어가면 끝까지 잘 벗겨져겉부분과 속부분으로 나누어 진다. 건조는 3∼4개로 쪼개서 분리한 완초 20∼30쪽을 고무줄로 밑둥을 묶어 건조대에 건 다음 날씨가 좋을때는 햇볕에 말리거나 비올때는 창고, 헛간, 온돌방에서 난로 및 연탄 화덕을 이용하는데 온도는 50∼70℃에서 10∼12시간 정도로 환풍기를 가동하여 말리거나 건조장에서 온풍기 및 환풍기를 이용하여 말릴때는 60∼70℃ 온도로 24시간정도 말린다.
조제는 700쪽씩 묶어 태짓기하고 10태씩 엮어 동짓기를 하며 저장은 부패 및 퇴색방지,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비닐밀봉 포장하여 햇볕이 들지 않고 습기가 없는 서늘한 곳에 보관 이용한다. 겉부분 줄기는 표면을 밖으로 둥글게 말린 상태로 건조하며 돗자리(인피석: 탈색한 것, 관석: 탈색안한 것, 다단석: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접는 것, 용문석: 무늬를 수놓는 것) 자동차시트 카바, 베게 등을 만들며 줄기는 적당한 크기로 쪼개어 건조하여 화문석이나 화방석, 멍석 등을 만든다. 또한 속부분(완심)은 건조하여 덧신, 바구니, 여름가방, 문발제작용으로 만들며 잎(완겹)은 건조시켜 종이에 붙여 고급벽지에 이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