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을 끄고 살았었는데 배터리를 확인해 보니 7년 넘게 썼더군요.
배터리 점검창 옆에 있는 타각을 보니 "5DR25"라고...
"5"는 제조년도의 끝자리... D는 4월(A는 1월, B는 2월...)... R은 생산공장명.... 25일날에 제조...
즉, 2005년 4월 25일 제조입니다.
아직도 일발시동이 잘 걸리지만 가끔 전압이 딸리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점검창도 짙은 초록 빛이 희미해 지고 있었구요.
특히 비오는 밤, 헤드라이트 & 안개등 켜고... 에어컨 켜고... 열선켜고... 와이퍼 켜고... 라디오켜고...하면...
이론적으로 배터리는 스타트모터를 돌릴 때만 사용되고 모든 전기는 얼터네이터에서 공급하지만...
배터리는 부수적으로 일종의 전압안정장치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방전 성능이 떨어지면
이상야릇(?)한 증상이 간혹 발생합니다.
오늘 오후, 가까운 곳에 델코밧데리 대리점이 있어서 교환했습니다.
14만 5천원 줬습니다. 뒤져보면 더 싼곳도 있겠지만 그 정도면 뭐 Not Bad...
일이만원 아끼자고 발품을 팔아봐짜 기름 값만 더 들어갈테니...
이전 것도 델코입니다. 60038로 순정과 같은 100Ah 용량입니다.

델코밧데리는 순수 국산 브랜드가 아닙니다. 미국 GM 산하의 계열사입니다.
GM의 AC Delco가 한국에 들어오면서 Del"KOR"로 바뀐 것이죠.
지금은 GM 소유의 Johnson Control이란 기업의 자회사 입니다.
BOSCH 배터리와 Benz 순정배터리를 만드는 VARTA 역시 GM 산하 Johnson Control의 자회사입니다.
물론 VARTA에서 Silver 배터리를 개발했고 자회사들과 기술을 공유하지는 않지만 결국은 한 집안 입니다.
오리지널 SIlver배터리가 아닐 바에는 용량이 넉넉한 칼슘 배터리가 낫지요.
새로 교체할 115Ah 용량의 델코 61544입니다. 60038이나 벤츠순정 배터리와 규격은 동일하나 용량이 15% 더 셉니다.

2012년 11월 6일 제조된 따끈 따끈한 놈으로 교체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배터리 교체가 끝나고 시동전압과 충전전압을 점검합니다.
시동전압은 스타트모터가 구동될 때의 최저치 전압이고 보통 9.5V 이상이면 정상입니다. 11.24V면 훌륭합니다.
충전전압은 시동을 걸고 공회전시의 전압입니다. 보통 13.5~14.5V 범위면 얼터네이터가 정상이라는 의미입니다.
14.07V면 상당히 이상적인 전압이 발생되고 있네요.
2020년까지는 배터리 걱정은 안해도 되겠습니다.
첫댓글 밧데리 년도 확인 방법 감사 드립니다. 저는 밧데리 교환에 있어서 시동을 스스로 걸지 못하면 그때 교환 시기로 잡고 있는
타입 이라 유비무환 정신에 위배 됩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배터리의 충방전 성능이 저하된 상태로 너무 오래 운행하시면 얼터네이터도 같이 가는 수가 있습니다. 그냥 6-7년 사용하셨으면 본전 뺐다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국산차들은 보통 3년 마다 교체하는걸요.
네 벤츠는 좀 오래 사용한다 생각이 듭니다.
벤츠 순정배터리가 품질이 우수해 수명이 길다고 하지만... 그 주된 이유는 배터리가 시원한 트렁크에 위치한 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배터리는 고열하에서 +극 그리드 마모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실버배터리는 +극 그리드에만 미량의 '은'을 첨가합니다. 벤츠 순정배터리는 10년 2개월 사용하고 시동불능으로 장렬히 전사했고.. 국산 델코 60038도 8년 가까이 사용했지만 일발시동은 문제가 없었으니... 수명은 서로 비슷하리라고 봅니다.
트렁크에 있어서 그런 이유도 있겠습니다.
저도 모아님 처럼 시동을 스스로 걸지 못하면 그때....조만간 저도 202와 베라크루즈 월동준비 해야겠네요..
특히 방전한번 되면 100%완충이 어렵다고 하더군요
저도 이번에 배터리 바꾼 가장 큰 이유가 저번달에 겜방가면서
라이트를 켜놓고 갔다 고대로 방전이 되서 ㅎㅎㅎㅎ
배터리는 "이산화납(pbo2)" 으로 만든 극판에 "h2so4(황산)"의 용액을 넣어 "황산화납"과 "물'로변화하는 산화작용에서 전기가 발생되고 다시 환원될 때 충전이 됩니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이 되면 극판에 달라 붙었던 황산염(SO4)이 고착되어 재충전시 이탈하지 못하여 충전효율과 축전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를 "방전종지전압"이라고 하는데 보통 9.5V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더욱이 이미 및 년간 사용해서 방전(산화)와 충전(환원)을 반복한 배터리라면 극판의 납이 부식되면서 얇아지기 때문에 부활은 더더욱 안되지요. 몇년 사용하신 배터리가 방전되면 신품으로 교환하시는 것이 정답입니다.
늙은차님 혹시 화공과출신이에요? ㅎㅎ
저희까페 최고의 지식인 이십니다^^
화학과 관계가 많은 전공을 했으나 정확히 화학과는 아닙니다... ^^;
저는 화학공장에서 일하는데도 화학은 딴나라 이야기네요ㅎㅎㅎ
저도 자동차와 관련된 화학이 아니라면 전혀 관심 없습니다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