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절 #어천절
일제강점기에 '문교의 조선’이라는 월간 잡지가 있었다. 조선총독부산하 교사 단체인 조선교육회가 1925년 9월 창간했다. 일본어로 찍어냈고 식민교육 보급을 주목적으로 했다.
1926년 2월호에 ‘이른바 단군전설에 대하여’라는 글이 실렸다. 이 글은 경성제국대학 예과부장인 오다 쇼고(小田省吾)가 썼다. 한 줄로 요약하면 ‘삼국유사에만 나오는 단군 개국 전설은 기껏해야 고려 중기 이후 부터나 통용됐다’ 정도가 된다. 단군이 기원전 2000년이 넘는 중국 고대 요 임금과 맞먹는 존재라는 우리 인식을 깔아뭉개는 주장이었다. 이 글이 기재되기 3년 전 조선총독부가 펴낸 ‘보통학교 국사 교수 참고서 조선사력 교재’에 나오는 내용과 같았다. 대신 한반도에서 제일 먼저 나라를 세운 이는 기자(箕子)라고 했다. ‘기자조선’의 그 기자이다.
고조선 개국 시점을 절반 이상 깎아 내리는 일제의 이런 주장이 처음은 아니었다. 청일전쟁이 일어났던 1894년 ‘나카 미치요’가 단군은 한반도에 불교가 들어온 뒤 승려가 지어냈다고 했다. 병합 때가 되면 ‘이마니시 류’가 평양 옛 지명이던 왕험(王險)이 고려 초에 인명인 선인왕검(仙人王儉)이 됐고 고려 중기에 단군이라는 존칭이 붙었다고주장했다. 어느 주장이든 한민족의 활동시기와 공간을 크게 줄여놓으려는 의도가 깔려 있었다.
기자조선으로 첫걸음을 떼었건, 위만조선으로 시작했건 우리 역사가출발부터 다른 민족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그 틀이 이어졌다는 ‘타율성론’은 공통 요소였다. 배달민족의 밑바탕에는 식민통치 요소가 원래부터 있었다는 말이나 마찬가지였다.
일찍이 단군(한배검)을 '건국시조' 또는 '민족시조'로 가르쳤고 1909년부터 '개천절'을 지키면서 민족의 구심점을 형성해왔던 대종교인들은 분통을 터뜨렸다. 그 중에서도 가장 분노한 사람이 육당 최남선이었다. 직접 ‘단군절’ 창가를 짓기도 했고 단군을 섬기는 대종교 2대 종사 무원 김교헌의 가르침을 깊이 받아들였던 그로서는 당연한 일이었다. '기미독립선언서'를 작성한 죄로 감옥에 갇혀 있을 때부터 단군 연구에 몰두했던 최남선은 일제가 걸어온 역사전쟁에 정면으로 맞섰다. (후일, 친일로 변절한 그에 대한 평가는 뒤로하고 당대 단군 역사에 대한 그의 지식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그때 육당에게 ‘동아일보’가 지면을 제공했다. 최남선은 ‘조선광문회’, ‘시대일보’를 거쳐 1925년 8월부터 ‘동아일보’ 촉탁기자로 일하고 있었고 동아일보는 창간 직후인 1920년 4월 11일자 부터 ‘단군영정 현상모집’에 나설 정도로 단군 수호에 적극적이었다.
먼저 최남선은 사설 ‘단군 부인의 망(妄)’ 상, 하를 썼다. 망(妄)은 ‘망령되다’는 뜻이다. ‘문교의 조선’에 실린 오다의 글을 ‘망론패설(妄論悖說)’이라고 했고 그들의 ‘단군말삭론’은 근시안적이고 천박하다고비판했다. ‘말삭(抹削)’은 지워 없앤다는 의미이다. 그 방법론도 눈 감고 지팡이를 휘두르며 독설을 나불거린 것에 불과했다고 맹공격했고 그래도 모자랐는지 1926년 3월 3일자부터 ‘단군론’ 연재를 시작했다.
최남선은 일제 학자들의 망령된 주장은 우리의 혈(血)과 심(心)을 모욕하는 것이기에 묵과할 수 없다고 했다. 이 연재는 무려 77회나 이어졌고 그는 연재를 시작하면서 ‘글을 쓴 뒤에 붓대를 내어던져도 좋다’는 필사의 각오를 밝히기도 했다.
최남선은 불교 발상지 인도의 백향목인 ‘우두전단(牛頭旃檀)’에서 단군(檀君)이 나왔다는 주장에 삼국유사를 들이댔다. 거기엔 ‘나무 목’ 단군이 아니라 ‘흙 토’ 단군(壇君)으로 돼 있었다. 승려 날조설을 가볍게 물리친 근거가 되었다. 그래봐야 단군은 왕험(평양)의 토착신일 뿐이라는 주장은 선인왕검의 왕검은 상경(上京)을 뜻하는 ‘엄검’이고선인은 산악도(山岳道)의 실존하는 단군이라고 맞섰다.
중국 서적엔 그 오래됐다는 단군이 왜 없냐는 일제의 문헌학에 민속학과 언어학으로 대응한 획기적 시도였다. 그 바탕엔 ‘인도문화’와 ‘중국문화’를 넘어선다는 그의 ‘불함문화’가 있었다. 최남선의 이론은 단군혈족주의에 불타는 대중의 뜨거운 지지를 받았다.
개인적으로는, 우리 민족이 단군을 시조로 어떻게 여겨왔는가는 참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실존이냐 아니냐 보다 그런 기록이 어떻게전해왔을까 하는 점에 더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진1. 조선교육회가 발행한 월간 교육잡지 '문교의 조선' 1926년 1월호 표지와 경성제국대학 예과부장 오다 쇼고가 쓴 이른바 단군전설에 대하여 의 첫 3쪽. 오다의 글은 총 모두 9쪽 분량이었다
사진2. ① 서대문감옥에 수감됐을 때 최남선 ② 1928년 서재에서 한문 서적을 읽고 있는 모습 ③ 1934년부터 살기 시작한 효제동 시절의 가족사진. 뒷줄 왼쪽부터 사위 강건하, 장남 한인, 차남 한웅, 삼남 한검. 앞줄 왼쪽부터 딸 한옥, 최남선, 부인 현영채. 외손녀 강옥임, 외손자 강호.
사진3. 동아일보 촉탁기자로 활약한 최남선이 쓴 사설 단군 부인의 망상, 하. 상은 1926년 2월 11일자, 하는 2월 12일자에 각각 실렸다. 단군을 부정한 일제 학자들은 거의 도쿄제국대학 출신이었으나 이에 맞선 최남선은 정규 학교 졸업장이 없는 대신 독학으로 자신의 이론을 세웠다.
사진4. ① 최남선의 단군론 연재를 알린 동아일보 1926년 2월 17일자 1면 알림 ② 1926년 3월 3일자 1면에 실린 단군론 1회 ③ 단군이 왕험성(평양)의 토착신이라는 일제 학자의 주장을 반박하기 시작한 1926년 5월 25일자 1면의 단군론 29회 ④ 1926년 7월 25일자 1면의 단군론 77회이자 최종회. 하지만 이 단군론은 서론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