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오뚜기’는 우리에게 매우 낯익은 상표이다. 그래서 표기도 당연히 ‘오뚜기’일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오뚜기’의 올바른 표기는 ‘오뚝이’이다. ‘오뚝이’는 ‘오뚝하다’의 어근 ‘오뚝’에 명사를 만들어 주는 명사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홀쭉하다’의 어근 ‘홀쭉’에 명사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홀쭉이’, ‘꿀꿀거리다’의 어근 ‘꿀꿀’에 ‘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꿀꿀이’와 같은 방식이다. 이들은 표기할 때 ‘오뚜기’, ‘홀쭈기’, ‘꿀꾸리’처럼 발음대로 적지 않고 원래의 어근 형태인 ‘오뚝’, ‘홀쭉’, ‘꿀꿀’을 그대로 유지하여 ‘오뚝이’, ‘홀쭉이’, ‘꿀꿀이’로 적는다. 그런데 이들과 매우 유사한 구성을 보이면서도 표기에서는 다른 방식을 취하는 것들이 있다. ‘개구리, 뻐꾸기, 매미’ 등이 그러한 예들인데, 이들은 어원적으로 보면 각각 ‘개굴+이’, ‘뻐꾹+이’, ‘맴+이’의 구성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어근 ‘개굴’, ‘뻐꾹’, ‘맴’에 명사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했다는 점에서 ‘오뚝이’와 흡사하지만 표기에서는 ‘개구리, 뻐꾸기, 매미’와 같이 원래의 어근 형태인 ‘개굴’, ‘뻐꾹’, ‘맴’을 그대로 유지하지 않고 발음대로 적는다는 점에서는 ‘오뚝이’와 차이를 보인다. 이들 두 부류가 매우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표기에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파생 관계에 있는 단어가 원래의 어근과 맺는 의미적인 밀접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오뚝이’ 등은 원래의 어근과 매우 밀접한 의미관계에 있는 반면에, ‘개구리’ 등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오뚝이’의 ‘오뚝’은 ‘오뚝하다’의 어근 ‘오뚝’이 가지는 ‘벌떡 일어서는 모양’의 의미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표기에서 원래의 어근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의미 파악에 유리하다. 그런데 ‘개구리’가 ‘개굴개굴’하니까 ‘개구리’와 ‘개굴’도 의미상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냐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논리를 확대시키면 ‘뻐꾸기, 매미, 꾀꼬리, 제비’ 등도 ‘뻐꾹이, 맴이, 꾀꼴이, 젭이’와 같이 적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한글맞춤법에서는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한해서만 파생어의 어근과 의미상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즉, ‘오뚝이, 홀쭉이, 꿀꿀이’등의 어근에는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있어 원래의 어근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지만, ‘개구리, 뻐꾸기, 매미’ 등의 어근에는 이들이 붙지 못하기 때문에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이다. |
[국어국문학과 고성환 교수님]
* 이번 주는 좀 늦게 올렸습니다. 죄송합니다.
'오뚝이'는 맞표 교과서에도 있으니 쉽죠? ㅎㅎ (사실 저는 쉽지 않습니다 -.-)
첫댓글 ^^ 좋아 좋아!!
ㅋㅋ 이 게시판은 성문씨를 위한 게시판 같아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