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6월 26일 춘천시 북산면 물로리에서는 기우제를 지냈다.
이곳은 춘천에서 지내는 제3기우단에 해당한다. 제1기우단은 신연강의 백로주에서 지냈고, 제2기우단은 대룡산에서 지냈으며, 제3기우단은 물로리 한천자 무덤에서 지냈다. 물론 지내리 등에서 지낸 마을 단위의 기우제는 여러 곳에서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제1기우단부터 제3기우단까지는 춘천부사(시장)가 참가하여 지내는 꽤 큰 기우제에 해당한다.
2012년의 경우도 워낙 비가 오지 않아 식수마저 고갈되어 가던 시기였다. 그때도 시장까지 기우제에 참가했으나 시장이 기우제를 주관하지는 않았다. 개인적인 종교문제 때문이었다. 어떻든 물로리 기우제는 아직까지 기우제의 전통이 이어져오고 있음을 뜻하는 좋은 예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본 카페 기우제 참관기(답사 여행기 항목)에 올려 놓았다.
여기서는 그 당시 찍은 사진을 올린다. 예전에는 유교식으로 했다고 했는데, 2012년에는 불교식으로 제의를 진행했다.

마을회관에서 기우제물을 준비하는 모습

물로리 마을회관에 있는 입춘첩

제물로 쓸 돼지

기우제터로 올라가는 길목에서 본 가리산 정상. 봉우리가 세 개인데 항상 하나를 가린다고 해서 가리산이라 함. 산신이 처녀신이기 때문에 부끄러움을 탄다고 함.

가리산 정상 모습

기우제단으로 올라가는 계곡과 마을의 농토

마을사람들이 지은 산신각. 현재는 산신각을 그곳의 절에서 같이 쓰고 있음.

산신각 내부의 벽화

기우제단 준비과정


기우제 진설장면

한천자무덤에서 추전리 이장이 절하는 모습

기우제단 진설장면

물로리 기우제 제보자 한천자 전설을 아주 잘 말씀하신다.

마을 산신각 전경

기우제단 금줄 및 준비과정



한천자 무덤에서 먼저 기우제를 지내는 모습


축문을 읽는 장면

취재진과 기우제 장면

기우단에서 기우제를 지내는 모습

기우제 장면

스님의 독경


기우축원문

기우제 후 소지장면
첫댓글 참 흥미롭네요. 무속신앙으로 제사지내는 분들이 생고기를 올린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불교식으로 제사지내는데 고기를 쓴다는 자체가 언뜻 이해 안되기도 합니다. 어쨌든 우리 민족고유의 풍습이니까 잘 지켜나가야 되겠죠.
오랫만이에요. 선생님. 언제 한 번 만나야지요. 고기를 올리는 것은 단순히 산신에 대한 제물일 뿐입니다. 그리고 중국의 천자가 된 무덤의 주인공이 제물을 흠향하고 비를 내리기를 바라는 것이지요. 그래요. 기우제는 종교적 행사가 아니라, 생존권에 대한 문제이면서, 풍속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