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미국과 중국간의 갈등으로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의 '탈중국'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애플이 사업의 무게중심을 인도로 옮겨가고 있다. 애플은 연간 인도 공장에서 3배 증가한 70억 달러(9조원) 상당의 아이폰을 조립했다고 13일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이 폭스콘에 이어 페가트론을 인도에서 아이폰 14를 생산하는 협력업체로 선정했으며, 아이폰 제품의 7% 정도를 인도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지난 2021년 전체 아이폰의 약 1%를 인도에서 생산한 데 비해 괄목할 만한 변화이다.
애플은 인도 공장의 생산시설과 인력을 보강해 오는 2025년까지 아이폰 전체 제품의 25%를 인도에서 출하한다는 방침이다. 애플은 지난해 9월 출시한 새 모델 아이폰14를 중국과 함께 인도에서 생산하기 시작했다. 최신 제품을 인도에서 생산한 것은 처음이었다. 아이패드도 인도 생산을 검토하는 등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중국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나자 애플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데 속도를 올리고 있다. 애플은 올해 가을 출시할 새로운 아이폰 모델을 인도와 중국에서 동시에 생산할 계획이다. 인도와 중국에서 새 아이폰 제품을 동시에 조립 출하하기는 처음이다.
애플은 오는 18일과 20일 인도 뭄바이와 뉴델리에 애플스토어 1, 2호점을 각각 개장하는데 팀 쿡 최고경영자가 개장식에 참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쿡 CEO는 최근 컨퍼런스콜에서 애플이 인도 시장에서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 중이라는 점을 밝히면서 "우리에게 매우 흥미로운 시장이며 핵심 시장"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애플은 지난달 해외사업부를 개편해 인도 담당을 별도 본부로 독립시키는 등 인도 시장 공략에 무게를 더해오고 있다.
개인 견해: 해당 기사를 읽고 애플의 탈중국 현황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보기 위해 관련 기사를 찾아보았는데 애플이 맥북 생산라인을 베트남에 이어 태국으로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중국에서만 생산해오던 맥북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모양새를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현재 애플은 지금까지 맥북의 생산시설(양산 시설)이 중국에만 있었지만, 중국에 문제가 생길 시 연간 2000만대가 넘는 맥북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점, 실제 지난해 중국 정부가 강력한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실시하면서 일부 공장이 멈추었다는 점,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 등을 고려해 자사 제품의 생산라인을 동남아시아 등으로 다변화해 중국 의존도를 갈수록 낮추고 있습니다. 블룸버그인탤리전스 애널리스트는 “수십 년간 구축한 공급망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줄이는 건 상당히 어렵겠지만 애플이 2030년까지 중국 의존도를 20~40% 줄일 수 있다고 분석된다”라는 발언도 했습니다.
하지만 애플이 탈중국을 가속화하고는 있지만 신중하게 전략을 짜고 실행하고 있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중국과 대만 홍콩을 포함한 중화권 국가 매출이 전체 매출의 약 20% 정도로 중국의 매출 기여도가 높은 것이 큰 이유라고 합니다. 중국 소비자들은 민족주의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중국에서 너무 많은 생산량을 다른 나라로 빼가거나 너무 급속하게 전환하는 등 생산에 있어 탈중국을 모색하면 중국 소비자들이 불매운동을 하는 등 반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국의 매출 기여도가 상당한데 애플이 탈중국화를 계속해서 진행한다면 매출에도 타격이 작지 않을 것 같은데 앞으로 어떤 식으로 추진할지가 궁금해졌습니다.
첫댓글 이전 게시글에도 이미 댓글로 언급한 바 있지만, 최근들어 글로벌 경제의 탈 중국화는 보다 더 가시화 될 수 밖엔 없어 보인다.
우리나라도 좀더 체계적인 탈중국화 전략과 신흥 수출시장 확보 및 확대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