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
현황 |
상지대 |
93년 비리재단 김문기 전 이사장을 내쫓은 이후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되던 중, 비리재단의 소송으로 ‘임시이사가 정이사를 선임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남. 8/9일 사분위 결정을 통해 김문기씨 아들을 비롯한 4명의 구재단 측 인사가 선임되면서 사실상 김문기 복귀가 초읽기에 들어감. 교수, 직원, 학생으로 구성된 ‘비대위’를 중심으로 투쟁을 벌이고 있음. 작년 9/9일부터 농성 진행 중. 5월 학생 및 교수 삭발식, 학생 수업거부 진행함. 기말고사 시험거부 중(40개 학부/과 중 33개 참가). 교과부 후문에서 5주째 철야농성 진행 중. 상지대 지키기 긴급행동, 원주범대위 등이 활동 중. |
덕성여대 |
2000년 박원국 구재단을 몰아낸 후 임시이사 체제 운영 중 2명의 결원이 생기면서 ... 현재 이사 4명만 남음. 구성원 추천인 명단은 제출했고, 구재단 측은 3개로 나뉘어져서 명단 제출하고 담합 모색 중. 9월 초 임시이사 임기 종료를 앞두고 학생들은 적극적인 대응을 계획하고 있음. |
광운대 |
98, 99년 재단 정상화 투쟁 진행. 작년 총학생회에서 구재단 반대 교수들에 대한 사퇴운동을 벌였음. 작년에 바뀐 총장이 구재단 측이라는 의혹이 계속 제기됨. 교수평의원회, 주요 보직교수들이 구재단 찬성 측으로 구성됨. 총장 및 처장급 교수들이 구재단 복귀 지지 성명 제출함.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대응을 펼치고자 하고, 학생들의 구재단 복귀 반대 여론이 매우 높음. |
세종대 |
주명건 전 이사 추천 5인, 설립자 2인으로 정이사 선임됨. 교직원들이 친 주명건 쪽으로 재편됨. 학교발전계획에 주명건 땅을 중심으로 한 부지개발계획을 제출함. 교협이 있음에도 구재단 측 교수들이 통합교협을 구성하여 교무위원을 맡음. 노조활동하던 직원들은 좌천됨. |
동덕여대 |
임시이사회가 총장공모를 진행하였는데 이사회가 추린 후보 5인 중 3인을 구성원이 추천하고 그 중 1인을 이사회가 선임하기로 결정하였음. 그러나 결과적으로 임시이사회가 구성원이 유일하게 추천하지 않은 1인을 무리하게 총장으로 선임하였음. 23일 임시이사회 임기 만료, 총장 임명장 수여 예정이라 출근저지 운동 등을 펼칠 계획임. 19일 기자회견부터 시작. |
조선대 |
20여년간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 06년부터 정이사 구성 과정이 있었으나 교과부에서 심의를 미루다 올해 초에 종전이사진 측에 가까운 이사진을 선임함. 06년부터 관련 대응을 진행하여 학내 구성원들 및 지역사회에 종전이사진 반대 여론이 형성돼 있음. |
영남대 |
80년대 후반 박근혜 재단이 쫓겨난 후 작년에 박근혜 측근들이 복귀함. 전입금은 7억원에 불과했음. 총장 직선제 폐지 시도, 교과부 승인이 9월쯤으로 예정됨. 재단이 총장, 대학병원장 등을 장악함. |
대구대 |
구재단이 쫓겨난 이후 16년 간 임시이사 체제로 오다가, 최근 복귀 움직임을 앞두고 작년부터 대응을 시작함. 8월 내에 구재단 측에서 교과부에 명단 제출할 예정. 교수협의회, 교직원, 총장 등이 구재단 복귀 반대 입장을 가지고 있고, 학내 구성원들이 함께 대응하고 있음. |
경기대 |
손종국 이사장이 나간 이후 04년부터 임시이사 체계 돌입. 올해 임시이사 임기 종료, 임시이사 재선임 될 것으로 예상됨. |
2011년 10월 20일
아이들의 반값 등록금 시위 기사를 보면서..
◈ 부록
수원대 건물 신·증축 계획만, 명지대 토지 매각금 챙기기
충북대 인건비 올리기, 동아대·영남대는 연구비 횡령 적발
지난 3일 발표된 감사원 대학 감사결과에서는 서울 주요대학을 비롯해 지방대 관계자의 비리 백태가 드러났다.
11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의 한 교수는 무면허 업체와 공사계약을 체결한 뒤 추가 공사가 없는데도 허위 계약서를 꾸며 학교 돈 수천만 원을 축냈다. 연세대에서도 한 교수가 연구비 5000만원을 횡령한 사실이 적발됐다.
고려대 교수는 2008년 이후 자신의 연구실에서 근무하는 연구원들의 인건비와 장학금을 가로챘다. 연구원들에게 지급된 연구개발과제 인건비와 BK21사업 장학금 등 10억여 원을 본인 명의 통장으로 입금 받아 이 중 일부만 돌려주고, 3억4000여만 원을 횡령했다.
명지대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과 강원도에 소재한 교육용 토지를 657억 원에 매각했다. 토지 매각은 각각 제2캠퍼스 부지 취득, 교비회계 전출을 조건으로 교과부로부터 인가를 받았지만, 이 대학은 매각 대금을 교비회계로 넣지 않고 법인에서 관리하다가 적발됐다.
수원대는 지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설계용역도 없이 공과대학·본관 신·증축비로 227억 원을 계상한 뒤 미집행하는 방법으로 차액을 남겼다. 또 29개 사립대 표본조사 결과 연세대·경희대·단국대·상명대 등 14개 대학이 법인이 부담해야 할 학교시설 건설비를 교비로 충당했다.
충북대는 정부의 2010년도 공무원 인건비 동결 방침에도 불구하고 자료를 조작해 교수 1인당 연간 723만원, 직원 1인당 460만원을 지급했다. 일부 수당을 누락시키는 방법으로 타 대학에 비해 인건비가 낮은 것처럼 서류를 꾸민 것이다. 이로 인해 충북대의 급여보조성 인건비 총액은 2009년 168억에서 지난해 228억으로 무려 35.9%나 증가했다.
동아대 교수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총 16건의 연구과제(연구비 29억원)를 수행하면서 연구원 23명에게 지급된 인건비 6억 4000만원 중 4억 원을 사적으로 사용했다.
영남대 산학협력단 산학연구행정팀장은 2004년 6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총 104회에 걸쳐 연구비 30억여 원을 횡령했다. 기업체로부터 수령하는 연구비를 공식 연구비 계좌로 받지 않고 대학 명의의 중간계좌로 받아 자신의 주식투자 대금 등으로 사용했다.
경상대 총장 A씨는 2007년 총장 당선 뒤 진료행위를 거의 하지 않았음에도 진료수당 9000만원을 부당 수령했다. 협성대 전 총장 B씨는 2010년 7월 학교시설 공사계약을 체결하면서 입찰방식을 ‘최저가 낙찰’에서 ‘예정가격의 88%~100% 중 최저가’로 변경, 7억 원에 해당하는 피해를 끼쳤다. 총장 측근인 비서실장도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허위 영수증을 작성하거나 지출금액을 부풀리는 방법으로 1억 원을 개인용도로 사용했다.
나사렛대 총장 C씨는 2003년과 2009년 각각 2개 업체와 학교시설 공사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두 업체가 자금사정을 호소하며 공사비 조기집행을 요구하자 사학진흥기금을 차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각각 30억 원, 85억 원을 선지급하고 그 대가로 리베이트 7억 원을 받았다. 이 가운데 6억9000만원을 법인 계좌로 입금, 법인 채무상환에 사용토록 했다. 이 과정에서 이 대학 D이사도 업체로부터 4억여 원을 가족 명의계좌로 받은 사실이 적발됐다.
극동대와 강동대학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충북학원은 이사장 일가가 무려 교비 160억 원을 횡령한 사실이 이번 감사에서 적발됐다. 강동대학 이사장은 자신의 장남인 극동대 총장과 공모해 극동대 설립자금으로 사용한 강동대학 교비 횡령액을 반환한다는 명목으로 65억7000만 원의 교비를 횡령했다. 이중 22억 5000만원은 교비 변제금으로 사용했지만, 나머지 43억2000만원은 아들과 처 명의의 주상복합 아파트 2채(광진구 소재)를 구입하는 데 썼다.
강동대학 이사장의 아들인 극동대 총장도 교비 60억 원을 인출, 자신의 아버지에게 전달했다. 아버지인 강동대학 이사장은 이 중 27억 원만 토지 매입대금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33억 원을 횡령했다. 이어 용산구 소재의 아파트를 처의 명의로 매입하고, 극동대 횡령액 20억 원을 변제하는 데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