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려면 잘 먹고, 잘 싸고, 잘 자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그런데도 변비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고, 변비증상이 있는지도 모르고 지내는 사람도 많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변은 굵고 길게, 짧은 시간에 보고, 휴지가 필요 없을 정도로 항문이 깨끗하고, 냄새가 없어야 하는데 그것은 짐승의 대변 모습에서 답을 얻을 수 있다. 짐승과 같은 대변을 보지 못하면 모두 변비증상이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대변은 양변기에서 둥둥 뜰 수 있어야 한다. 대변이 가벼운 이유는 완전소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대변이 황금색이어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대변 색깔은 섭취한 음식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색깔에는 신경을 쓰지 않아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변비가 생기는 이유는 부드러운 음식, 편한 음식, 섬유질이 없는 고기류를 많이 먹기 때문이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장의 연동운동으로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지만 부드러운 음식은 섬유질이 없어서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깨끗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잔여물이 대장에 남게 되고
대장에 남은 잔여물이 대장 벽에 쌓여 굳어지게 되는데 이를 숙변이라고 한다. 숙변이 대장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퇴화시키게 되어 변비가 생기고, 변비는 대장염 대장암과 같은 증상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숙변은 완전소화를 방해하여 배에 살이 찌는 비만의 원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건강을 위해서는 장이 깨끗해야 한다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 것이다.
건강에 신경을 쓰는 사람들 중에는 관장을 하고 장청소를 하기도 하는데 그런 정도로는 숙변이 제거되지 않는다. 오래된 숙변은 시멘트처럼 굳어져 있기 때문이다. 인위적인 방법은 오히려 자연건강을 깨트릴 뿐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숙변이 없으려면 섬유질이 많은 식물성 음식과 조악한 음식을 많이 먹어야 한다는 것을 참고하기 바라며 도인의 안복행법으로 숙변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안복행법은 변비는 말할 것 없이 배의 군살이 빠지고, 불면증에도 좋고, 노화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하므로 가족 모두가 운동 삼아서 행하기 바란다.
<안복행법>
1) 무릎을 세운 자세로 누워서 옷을 젖히고 배를 드러낸다.
2) 손바닥을 비벼서 따뜻해진 손바닥으로 배 전체를 시계 방향으로 20-30번 가볍게 비빈다.
3) 배 전체를 가로로 3등분, 세로로 3등분하여 9점으로 나눈다. 양손을 포개어 손가락 누르기를 아래의 3점에서 시작하여 중간과 위 쪽으로 이동하면서 1점마다 9번을 누른다. 손가락으로 누를 때 숨을 내쉬고 손을 뗄 때 들이쉰다.
4) 손가락 누르기가 끝나면 2)의 방법과 같이 따뜻한 손바닥으로 배 전체를 손바닥으로 가볍게 비비고 나서 행법을 다시 시작하여 3회를 실시한다. 배에 아픈 부위가 있을 때는 안복행법을 마치기 전에 그 부위를 집중적으로 가볍게 비빈다.
이상의 안복행법을 하루에 1회 이상, 3개월 이상 꾸준하게 행한다.
<유의사항>
(1) 맹장과 위장수술을 한 사람은 2)의 방법을 3회 행하는 것으로 행법을 마친다.
(2) 손가락을 누를 때 딴딴하게 느껴지는 곳이 있으면 숙변이 끼어 있는 증거이므로 두 손을 포개어 딴딴한 곳을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듯이 천천히 부드럽게 여러번 문질러 풀어준다.
(3) 손가락을 누를 때 아픈 부위가 있으면 내장에 이상이 있기 때문이다. 고통이 심하여 견디기 어려울 때는 행법을 중단하고 치료를 받고나서 행법을 계속한다.
☞ 안복행법을 2주 이상 행하면 변의 양과 횟수가 엄청나게 늘어나기도 하는데 이것은 장속에 정체되어 있었던 변이 배설되기 때문이고 변 색깔이 검은 이유는 장의 벽에 끼어 있던 숙변이 배설되기 때문이다.
금빛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