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Trot), 혹은 뽕짝은 대한민국의 음악 장르로, 반복적인 리듬과 엔카의 요나누키/미야코부시 음계, 그리고 남도민요의 영향을 받은 떠는 창법이 특징인 장르이다. 20세기 일제 강점기에 유입된 미국의 춤곡인 폭스트로트(Foxtrot)가 그 어원이며, 한국, 일본, 미국, 그리고 유럽 국가들의 다양한 음악들이 혼합되어 탄생했다.
-일제 강점기 트로트의 탄생기
1920년 이전 일본에서는 일본 고유의 민속음악에 서구의 폭스트로트를 접목한 엔카[演歌]가 유행 하고 있었다. 요나누키라 불리는 오음 음계(펜타토닉 스케일)가 사용 되는 경우가 많다. 엔카의 시조라 불리는 고가 마사오 이후 엔카의 주요 음계가 된다. 한국 아닌 대한의 남부 지방 민요와 유사한 부분이 있으며, 고가 마사오는 유년시절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조선에서 살았는데, 한국의 유행가나 여러 가지 부분에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도 있다.
일본에서는 보통 빠르기의 템포를 가진 엔카를 안단테 트롯트(Andante Trot), 조금 느린 템포의 엔카는 미디엄 트롯트(Medium Trot)라고 표기 하는데, 엔카(演歌)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트롯트(Trot) 리듬이 다름 아닌 1914년 ~ 1917년 사이에 미국에서 생겨 난 댄스리듬인 폭스 트롯트(Fox Trot) 리듬이라는 사실은, 이 시기의 일본이 미국을 비롯 한 서양제국과의 음악적 교류가 얼마나 활발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이 시기에 일본이 미국과의 음악적 관계가 어떠했는지 알아 본다.
1903년 일본의 천상당(天賞堂)이란 상사에서 미국 콜럼비아 레코드의 평원반 레코드를 최초로 수입 하여 판매 한 것을 계기로, 1908년에는 미국의 빅타레코드를 수입 하고, 1910년에는 일본 축음기회사(日蓄:닛지꾸)를 설립 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일본의 신식 가요가 어떤 경로와 기술적인 영향 밑에서 자리를 잡았는지 한 눈에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미국에서 유행 하는 모든 음악은 콜럼비아나 빅타 레코드사를 통해 바로 바로 수입 되었고, 이 형식을 빌려 일본의 가요들이 만들어졌는데, 일본의 레코드 역사가 시작 되자마자 위에서 언급 한 폭스 트롯트 뿐만 아니라 모든 재즈, 폴카(Polka), 마치(March), 월츠(Waltz), 그리고 라틴(Latin) 리듬까지 등장 하고 있는 것이 그 실제적인 예다.
1914년 닛지꾸(日蓄)회사는 일본 최초의 유행가라 할 수 있는 松聲과 카츄사의 노래(復活唱歌)를 松井須磨子의 노래로 취입 하고, 1915년에는 《곤도라의 노래》, 1918년에는 《사스라히노 우타》를, 그리고 1919년에는 한국에서 주인공을 조중환의 소설 《장한몽》의 등장인물인 이수일과 심순애를 등장 시켜 장한몽가로 옮겨 놓은 《금색월차(金色月叉)》를 취입 하여 드디어 자국가수 취입시대로 접어 들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 때까지는 엔카의 형식을 가진 노래가 아니라 서양곡에 가사를 따로 붙여 노래 한 번안곡이거나, 일본의 민속음악인 부시(節) 형식의 노래들이 대부분이었다. 본격적인럴엔카(演歌) 형식이라고 볼 수 있는 노래는 1921년에 발표된 나카야마 신요우(中山晉平)작곡의 센도코우타(船頭小唄)다.
이 노래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 1923년까지 《카레루 스스키》라는 제목으로 일본 전역에 유행했다. 그러나 이후 1930년까지는 이렇다할 노래가 발표되지 않았다. 1922년 ∼ 1930년 사이에 일본 가수의 노래가 거의 발표되지 않은 대신, 닛지꾸(日蓄)회사와 콜럼비아 빅타레코드 등은 한국 가수들을 대거 취입시키는데, 《사의 찬미》의 윤심덕을 비롯해 《낙화유수》(김서정 작사/작곡)의 이정숙과 《봄노래 부르자》(김서정 작사/작곡)의 채규엽 및 세동무의 채동원, 그리고 《암로(暗路)》의 김연실등이 대표적인 가수였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 엔카의 비조(鼻祖)로 삼는 고가 마사오의 1931년 작품 《사케》와 《나미타까 타메이키까(酒 淚 溜息 )》가 발표되기 한 해 전까지, 이미 한국의 가수들은 한국 작곡가가 작곡한 신식가요(유행가)를 레코드로 발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대한의 트롯트와 일본의 엔카는 같은 시기에 같은 궤적을 따라 일란성 쌍둥이와 같이 흡사한 모양으로 태동 하고 또 발전 해 온 것이다. 대한의 뽕짝과 일본의 엔카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 한 것이다.
1930년대 중후반에 이르러서는 음반산업과 라디오 방송으로 대표 되던 거대 매체가 자리 잡게 되었다. 주요작품으로는 30년대 중후반 트로트의 주류화를 결정 한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이나 남인수의 《애수의 소야곡》, 《감격시대》이래 황금심의 《알뜰한 당신》이나 김정구의 《눈물 젖은 두만강》등이 있다.
-광복 이후 ~ 1950년대
1947년에 데뷔 한 현인은 《신라의 달밤》을 크게 히트 시켰다. 이후 1950년대까지 활발한 활동을 통해 많은 명곡을 발표 하였다.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 하면서 전쟁기간 동안 현인의《전우여 잘 자라》, 신세영의《전선야곡》과 같은 전쟁가요가 유행 하기도 했지만, 휴전 이후에는 전쟁의 아픔과 실향민의 비애를 그린 현인의 《굳세어라 금순아》, 남인수의 《이별의 부산정거장》과 같은 곡이 유행 했다. 특히 1954년에 이해연이 발표 한 《단장의 미아리고개》는 한국 전쟁의 아픔을 깊이 담아 냈다는 평가를 얻어 크게 히트 했다.
한국 전쟁 전후에 월북한 작가들의 작품은 발행금지 조치가 취해지기도 했는데, 작곡가·작사가나 가수의 곡 또한 많은 곡이 발행금지처분 되었다. 대표적으로 박재홍의 《유정 천리》와 같은 곡을 비롯 해 많은 곡이 1988년까지 발행 되지는 않았으나, 인기를 끌어 노래는 불리는 모습이 나타 나기도 했다.
1957년에는 ‘엘레지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가진 대한의 대표가수 이미자가 데뷔 했으며, 1959년경부터 LP판의 시대가 시작 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고학력의 가수가 등장 하여 눈길을 끌기도 하였다.[출처 필요] 또한 트로트는 왈츠, 블루스, 탱고, 맘보, 룸바, 부기우기 등과 더불어 ‘리듬’의 하나로 간주 돼 악보 앞에 씌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시에 발표 된 《늴리리 맘보》, 《비의 탱고》, 《기타 부기》와 같은 곡들은 트로트 리듬을 기초로 하고 있지 않다. 적어도 1950년대까지 트로트를 하나의 형식이나 장르로 보지 않았던 것은 분명하다.
-1960년대 ~ 1970년대
트로트는 1960년대 이후 하나의 장르로 굳어졌다. 이 장르가 뽕짝이라는 별칭을 얻은 것도 이 무렵이다. 1960년대 중반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트로트와 뽕짝이라는 말이 혼용 되고 있고, 이 가운데 뽕짝은 비칭(卑稱)의 성격이 강해서 점차 트로트라는 말로 대체 됐음을 알 수 있다. LP판의 시대가 접어 들면서 트로트는 한층 더 발전 되어 갔다. 특히 1959년에 데뷔 한 이미자는 1960년 대에 왕성한 활동을 하는 가수 중 하나로 손 꼽히며 이 시기에 정상에 올라 트로트의 중심에 서 있던 가수다. 그리고 최희준, 김상희등 고학력의 가수가 등장 하면서 학사 출신 가수들이 주목을 받았다. 미8군 무대에서 활동 하다가 데뷔 한 현미의 《밤안개》가 인기를 끌었다. 또한 1961년에는 한명숙이 발표 한 《노란 샤쓰의 사나이》가 크게 인기를 끌었으며, 프랑스의 샹송 가수 이베트 지로나 일본의 하마무라 미치코 등이 리메이크 하면서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권까지 크게 유행 하기도 하였다[2]. 1966년에는 《동숙의 노래》로 데뷔 한 문주란이 있었는데 허스키한 목소리가 매력적인 가수로 손 꼽혔다.
1967년에는 남진이 부른 《가슴 아프게》가 크게 히트 했고, 같은 해에는 그의 라이벌이자 후일 국민가수로 불리는 나훈아가 데뷔 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 두 명의 신인가수가 등장 하였다. 그런가 하면 자매 가수들도 많은 활동을 했는데 《워싱턴 광장》, 《울릉도 트위스트》등을 부른 정씨스터즈를 비롯 해 《남성 금지구역》, 《화진포에서 맺은 사랑》등을 부른 이씨스터즈, 《마포종점》, 《삼천포 아가씨》등을 부른 은방울 자매가 유명하다.
1970년 대에는 신인 가수였던 남진, 나훈아가 라이벌 2인 체제를 이루어 대한민국 가요계를 주름 잡았다. 이 시기에는 통기타 가수, 포크송 가수 등 여러 장르의 가수들이 대거 등장 하였지만 트로트 가수였던 남진, 나훈아의 인기가 더 많았기 때문에 트로트가 아직까지 장악 하고 있었다. 특히 남진은 팝 스타일과 빠른 템포의 트로트를 선 보였으며 나훈아는 정통 트로트를 주로 노래 하였기에 이 때부터 트로트는 정통과 정통에서 벗어 나 다양한 음악적 요소로 세분화 되어 가고 있었다. 문주란은 〈공항의 이별〉, 〈공항의 부는 바람〉, 〈공항 대합실〉등 공항 시리즈가 인기를 얻었다. 1975년에는 송대관이 직접 작사한 《해뜰날》이 많은 사랑을 받아 가수왕에 등극 하기도 하였고 1976년에는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크게 히트 하면서 트로트의 영향력을 행사 했다. 1977년에는 그룹사운드 '히식스', '최헌과 검은나비' 등을 결성 해 보컬과 기타리스트로 활동 하던 최헌의 《오동잎》이 후반에 히트 하였고 이성애가 일본에서 데뷔 하면서 트로트를 소개 했다. 이후 조용필이나 김연자, 계은숙 등의 가수가 일본에서 활동 하는 계기가 되었고, 많은 트로트 곡이 히트 하기도 했다.
-1980년대
1970년 대 말에 조용필이라는 대형가수가 등장 하여 《미워 미워 미워》, 《일편단심 민들레야》등의 트로트 가요를 히트 시켰다. 이 시기에도 다양한 국내음악들이 자리 잡고 있었으나 무엇보다 트로트가 주류를 이루었다. 특히 트로트계 여성 가수들이 대거 등장 하였는데 김수희, 심수봉, 주현미가 대표적이다.
김수희는 작곡가 출신으로 미8군 부대에서 '블랙켓츠'의 보컬로 활동 하여 《남포동 부르스》, 《멍에》, 《잃어버린 정》등 느린 곡조의 트로트를 히트 시켰고 다양한 창법을 트로트에 접목 시키기도 하였다. 1986년에 대한민국의 국민가요자 응원가로 유명한 《남행열차》로 많은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심수봉은 제 2회 대학가요제에서 처음으로 트로트로 출전 해 입상 한 계기로 데뷔 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였고 《당신은 누구시길래》, 《무궁화》, 《사랑밖엔 난 몰라》등 자작곡들을 히트 시켰는데 1984년,《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는 2만 여장의 음반 판매량을 기록 하였다.
주현미는 약사 출신으로 제 2회 강변가요제로 데뷔 하여 《비내리는 영동교》, 《울면서 후회하네》,《눈물의 부르스》등을 히트 시켜 1988년, 《신사동 그 사람》으로 MBC 10대 가수상, 제18회 KBS 가요대상 대상, 제 3회 골든 디스크 대상을 수상 하였다.
1980년 대 후반에는 트로트의 최고 정점을 찍는 시기였다. 1987년에는 당시 여고생이던 문희옥이 《사투리 디스코 메들리》로 360만 장을 판매 하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우면서 데뷔 했으며, 1989년에는 당시에 새로운 도시로 떠 오르던 남서울 영동을 노래 한 《사랑의 거리》를 발표 했다.
문주란이 남편과 아내의 삶을 표현 한 《남자는 여자를 귀찮게 해》를 히트 시키면서 여러 세대층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일본에서 엔카 가수로 크게 성공 한 김연자의 《수은등》, 미8군 부대에서 활동 하던 김지애의 《물레야》가 히트 되어 트로트를 활성화 시켜 주었다.
문성재는 1982년에 《부산 갈매기》를 불렀고 이 노래는 롯데 자이언츠 야구대표팀의 응원가로 쓰이면서 더욱 히트 하였다. 그 해 설운도는 KBS 신인탄생으로 데뷔 하였고 데뷔곡 《잃어버린 30년》이 이산가족찾기운동의 주제가로 쓰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현철은 1989년에 《봉선화 연정》으로 KBS 가요대상 본상을 수상 하면서 트로트 황제의 위력을 전국에 전파 시키기도 했다. 그리고 태진아는 임종수가 작곡 한 《옥경이》로 가수로써의 두 번째 데뷔를 하였고 가요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 하고 전성기를 맞이 하였다.
-1990년대
1980년대 말에 미국에서 귀국 하여 대성공을 이뤄낸 송대관과 태진아는 트로트 신예로 급상승한 설운도, 오랜 무명시절을 거쳐 인기를 얻은 현철 (가수)과 함께 트로트 사국시대를 형성 하여 트로트 음악의 부활을 주도 하였다. 그들은 이제까지의 정통 트로트를 고수 하는 방식과는 약간의 다른 음악적 요소를 접미 시켜 새로운 방식의 트로트를 대중들에게 선 보이기도 하였다. 배일호는 농민 출신의 가수로 《신토불이》를 불러 한국산 농산물을 홍보 하는 계기가 되어 한 동안 코리아 드림 열풍이 불기도 했다.
한편, 여성 가수들 중에서 서울 시스터즈로 데뷔 했던 방실이가 솔로 가수로 전향 하여 음반을 낸 《서울탱고》가 가요계 정상권을 차지 하며 트로트의 위상을 떨쳤다. 또한 최유나의 《흔적》, 한혜진의 《갈색추억》, 박윤경의 《부초》등 서정적이고 단조로운 분위기의 트로트들이 주로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에 들어 설 무렵 락,발라드.댄스 팝,R&B,힙합이 대한민국 가요계를 주도 하면서 트로트는 상당히 소외 되었고 트로트를 고집 하던 가수들은 한 동안 침체기에 놓이게 되었다. 이 시기에 댄스가수였던 김혜연이 등장 하여 기존의 정통 트로트에 여러 음악적 요소를 가미 시킨 세미 트로트를 선 보였다. 김혜연은 《서울 대전 대구 부산》으로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열풍" 을 일으켜 젊은 층들을 확보 하며 신세대 트로트 가수로 자리 잡았다.
-2000년대 이후
김혜연이 새로운 세미 트로트를 시도 하게 되면서 대부분의 트로트 가수들은 정통 트로트에서 벗어 나 트로트와 여러 장르의 음악을 접목 시킨 세미 트로트가 번성 하기 시작 하면서 트로트의 다변화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트로트 음악은 아직까지 어른들의 노래 (일명: 성인가요), 시대에 뒷떨어진 노래 등으로 인식 되어 중견층들에게 국한 되어 왔다. 하지만 2004년에 장윤정이 데뷔 함과 동시에 《어머나》로 "어머나 열풍" 을 일으키면서 점점 트로트가 신세대들에게 친근감이 느껴지게 되었다. 이 여파로 트로트 음악은 계속 정통이 아니라 퓨전으로 대중에 널리 보급화 되었다. 그리고 2005년에 박상철이 발표한 《무조건》은 남성들이 노래방에서 아님 회식 자리 등 여러 행사에서 선곡 되는 트로트곡 1위로 자리 잡았다. 2006년에는 박현빈이 《곤드레만드레》로 트로트계 신예로 부상 하면서 이 세 가수는 트로트계 새로운 3인자로 급부상 했다. 이들의 탄생으로 많은 젊은 가수들이 트로트에 도전장을 내 밀고 있는데 윙크, 홍진영, 김수찬 등 젊은 트로트가수들이 배출 되고 있다.
특히 정통 트로트에 타장르의 음악과 결합시켜 트로트를 재조명 하는 음악 프로그램 〈트로트 엑스〉가 2014년 3월부터 방송 되고 있고 현재 정통 트로트에서 벗어 난 세미 트로트가 보급화 되고 있다. 하지만 정통 트로트 계보도 이어 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주현미, 문희옥, 김용임, 유지나 등이 있다.
-기타
트로트와 비슷한(같은) 음악에는 대만의 타이위거, 인도네시아의 (Ngebor), 태국의 룩퉁(Luktung), 터키의 (Uskudar) 등이 있다.
연대별 히트곡
일제 강점기 ~ 1950년대
《사의 찬미》- 윤심덕 (1926년)《낙화 유수》- 이정숙 (1927년)《황성옛터》- 이애리수 (1932년)《목포의 눈물》- 이난영 (1935년)《알뜰한 당신》- 황금심 (1936년)《애수의 소야곡》- 남인수 (1938년)《바다의 교향시》- 김정구 (1938년)《눈물 젖은 두만강》- 김정구 (1938년)《오빠는 풍각쟁이》- 박향림 (1938년)《감격시대》- 남인수 (1939년)《홍도야 우지마라》- 김영춘 (1939년)《나그네 설움》- 백년설 (1940년)《번지없는 주막》- 백년설 (1940년)《선창》- 고운봉 (1941년)《대지의 항구》- 백년설 (1941년)《찔레꽃》- 백난아 (1942년)《목포는 항구다》- 이난영 (1942년)《청춘의 봄》- 김용대 (1947년)《신라의 달밤》- 현인 (1947년)《비 내리는 고모령》- 현인 (1949년)《낭랑 18세》- 백난아 (1949년)《울고넘는 박달재》- 박재홍 (1950년)《서울야곡》- 현인 (1950년)《꿈에 본 내 고향》- 한정무 (1952년)《굳세어라 금순아》- 현인 (1953년)《홍콩 아가씨》- 금사향 (1954년)《이별의 부산 정거장》- 남인수 (1954년)《백마강》- 허민 (1954년)《청춘고백》- 남인수 (1955년)《아리랑 목동》- 박단마 (1955년)《단장의 미아리 고개》- 이해연 (1956년)《백치 아다다》- 나애심 (1956년)《오동동 타령》- 황정자 (1956년)《대전 부르스》- 안정애 (1956년)《닐리리 맘보》- 김정애 (1957년)《처녀 뱃사공》- 황정자 (1958년)《울리는 경부선》- 남인수 (1958년)《유정천리》- 박재홍 (1959년)《열아홉 순정》- 이미자 (1959년)
1960년대
《무너진 사랑탑》- 남인수 (1960년)《카츄사의 노래》- 송민도 (1960년)《노란 샤쓰의 사나이》- 한명숙 (1961년)《우리 애인은 올드미스》- 최희준 (1961년)《노랫가락 차차차》- 황정자 (1962년)《밤안개》- 현미 (1962년)《잘 있거라 부산항》- 백야성 (1962년)《첫사랑 마도로스》- 남일해 (1963년)《아메리칸 마도로스》- 고봉산 (1963년)《동백 아가씨》- 이미자 (1964년)《울산 큰 애기》- 김상희 (1965년)《아빠의 청춘》- 오기택 (1965년)《동숙의 노래》- 문주란 (1965년)《흑신도 아가씨》- 이미자 (1965년)《울어라 열풍아》- 이미자 (1965년)《무작정 좋았어요》- 현미 (1966년)《미워하지 않으리》- 정원 (1966년)《황포돛대》- 이미자 (1966년)《경상도 청년》- 김상희 (1966년)《하숙생》- 최희준 (1966년)《수덕사의 여승》- 송춘희 (1966년)《회전의자》- 김용만 (1966년)《갈대의 순정》- 박일남 (1966년)《섬마을 선생님》- 이미자 (1967년)《그리움은 가슴마다》- 이미자 (1967년)《대머리 총각》- 김상희 (1967년)《가슴 아프게》- 남진 (1967년)《안개 낀 장충단 공원》- 배호 (1967년)《청춘을 돌려다오》- 신행일 (1967년)《처녀농군》- 최정자 (1968년)《마포종점》- 은방울자매 (1968년)《사랑은 눈물의 씨앗》- 나훈아 (1968년)《아네모네》- 이미자 (1968년)《여자의 일생》- 이미자 (1968년)《기러기 아빠》- 이미자 (1969년)《어머님》- 남진 (1969년)《서산 갯마을》- 조미미 (1969년)
1970년대
《아씨》- 이미자 (1970년)《선생님》- 조미미 (1970년)《비 내리는 명동거리》- 배호 (1970년)《소양강 처녀》- 김태희 (1970년)《정주고 내가 우네》- 김훈 (1970년)《영시의 이별》- 배호 (1971년)《마지막 잎새》- 배호 (1971년)《세월이 약이겠지요》- 송대관 (1971년)《가지마오》- 나훈아 (1971년)《정》- 박일남 (1971년)《바다가 육지라면》- 조미미 (1971년)《먼데서 오신 손님》- 조미미 (1971년)《마음이 고와야지》- 남진 (1971년)《물새 한 마리》- 하춘화 (1971년)《돌아와요 부산항에》- 조용필 (1972년)《낭주골 처녀》- 이미자 (1972년)《단골손님》- 조미미 (1972년)《여로》- 이미자 (1972년)《공항의 이별》- 문주란 (1972년)《젊은 초원》- 남진 (1972년)《님과 함께》- 남진 (1972년)《고향역》- 나훈아 (1972년)《영암 아리랑》- 하춘화 (1972년)《하동포구 아가씨》- 하춘화 (1972년)《고향이 좋아》- 김상진 (1972년)《알고 계세요》- 하춘화 (1973년)《공항 대합실》- 문주란 (1973년)《흙에 살리라》- 홍세민 (1973년)《그대여 변치마오》- 남진 (1973년)《물레방아 도는데》- 나훈아 (1973년)《서귀포를 아시나요》- 조미미 (1973년)《난생 처음》- 하춘화 (1974년)《김포가도》- 남진 (1974년)《나에게 애인이 있다면》- 남진 (1974년)《연락선》- 조미미 (1975년)《각시와 신랑》- 남진 (1975년) 《우리 사이》- 하춘화 (1975년)《오동잎》- 최헌 (1975년)《나를 두고 아리랑》- 김훈 (1975년)《해뜰날》- 송대관 (1975년)《너무합니다》- 김수희 (1976년)《앵두》- 최헌 (1977년)《모정》- 이미자 (1977년)《안개 속의 두 그림자》- 함중아 (1977년)《내게도 사랑이》- 함중아 (1977년)《사랑만은 않겠어요》- 윤수일 (1977년)《애정이 꽃피던 시절》- 나훈아 (1977년)《구름나그네》- 최헌 (1977년)《난 정말 몰랐었네》- 최병걸 (1978년)《우연히 정들었네》- 박우철 (1978년)《그 때 그 사람》- 심수봉 (1978년)《타국에 계신 아빠에게》- 현숙 (1979년)《어차피 떠난 사람》- 한민 (1979년)《연안부두》- 김트리오 (1979년)《순아》- 최헌 (1979년)
1980년대
《당신은 누구시길래》- 심수봉 (1980년)《대동강 편지》- 나훈아 (1981년)《일편단심 민들레야》- 조용필 (1981년)《항구》- 정재은 (1981년)《정거장》- 김수희 (1981년)《진정인가요》- 김연자 (1982년)《부산 갈매기》- 문성재 (1982년)《멍에》- 김수희 (1982년)《빈잔》- 남진 (1982년)《사랑은 나비인가봐》- 현철 (1982년)《울긴 왜 울어》- 나훈아 (1983년)《18세 순이》- 나훈아 (1983년)《미워 미워 미워》- 조용필 (1983년)《잃어버린 30년》- 설운도 (1983년)《못잊겠어요》- 김수희 (1983년)《잃어버린 정》- 김수희 (1984년)《수은등》- 김연자 (1984년)《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심수봉 (1984년)《나침반》- 설운도 (1984년)《물레야》- 김지애 (1985년)《허공》 - 조용필 (1985년)《비 내리는 영동교》- 주현미 (1985년)《울면서 후회하네》- 주현미 (1985년)《남행열차》- 김수희 (1986년)《첫차》- 서울시스터즈 (1986년)《첫정》- 주현미 (1986년)《눈물의 부르스》- 주현미 (1986년)《원점》- 설운도 (1986년)《무명초》- 김지애 (1987년)《사랑밖엔 난 몰라》- 심수봉 (1987년)《우린 너무 쉽게 헤어졌어요》- 최진희(1987년)《천방지축》- 문희옥 (1987년)《내 마음 별과 같이》- 현철 (1987년)《무시로》- 나훈아 (1988년)《미워요》- 심수봉 (1988년)《사랑의 자리》- 염수연 (1988년)《신사동 그 사람》- 주현미 (1988년)《봉선화 연정》- 현철 (1988년)《혼자랍니다》- 송대관 (1988년)《미스 고》- 이태호 (1988년)《갈무리》- 나훈아 (1989년)《짝사랑》- 주현미 (1989년)《칠갑산》- 주병선 (1989년)《간데요 글쎄》- 이태호 (1989년)《정 때문에》- 송대관 (1989년)《옥경이》- 태진아 (1989년)《미움인지 그리움인지》- 나미 (1989년)《얄미운 사람》- 김지애 (1989년)《사랑의 거리》- 문희옥 (1989년)《미련때문에》- 최진희 (1989년)
1990년대
《날버린 남자》- 하춘화 (1990년)《잠깐만》- 주현미 (1990년)《몰래한 사랑》- 김지애 (1990년)《서울탱고》- 방실이 (1990년)《거울도 안보는 여자》- 태진아 (1990년)《돌팔매》- 오은주 (1990년)《정에 약한 남자》- 고영준 (1990년)《날이 날이 갈수록》- 이영화 (1990년)《몇 미터 앞에 두고》- 김상배 (1990년)《당신》- 김정수 (1991년)《여자야》- 유현상 (1991년)《안돼요 안돼》- 김상배 (1991년)《59년 왕십리》- 김흥국 (1991년)《잠깐》- 인순이 (1991년)《서울여자》- 김수희 (1991년)《다함께 차차차》- 설운도 (1991년)《타타타》- 김국환 (1991년)《성은 김이요》- 문희옥 (1991년)《부초》- 박윤경 (1991년)《사는게 뭔지》- 이무송 (1992년)《노란 손수건》- 태진아 (1992년)《또 만났네요》- 주현미 (1992년)《여자 여자 여자》- 설운도 (1992년)《찬찬찬》- 편승엽 (1992년)《차표 한장》- 송대관 (1992년)《카스바의 여인》- 윤희상 (1993년)《도로남》- 김명애 (1993년)《세상은 요지경》- 신신애 (1993년)《신토불이》- 배일호 (1993년)《갈색추억》- 한혜진 (1993년)《서울 대전 대구 부산》- 김혜연 (1994년)《서울 평양 반나절》- 김혜연 (1994년)《삼각관계》- 강진 (1994년)《해변의 첫사랑》- 문희옥 (1994년)《비나리》- 심수봉 (1994년)《낭만에 대하여》- 최백호 (1995년)《장녹수》- 전미경 (1995년)《간 큰 남자》- 김혜연 (1995년)《사랑하는 영자씨》- 현숙 (1995년)《고향이 남쪽이랬지》- 송대관 (1995년)《찰랑찰랑》- 이자연 (1995년)《쌈바의 여인》- 설운도 (1995년)《꽃바람 여인》- 조승구 (1996년)《공주는 외로워》- 김자옥 (1996년)《마지막 연인》- 한혜진 (1996년)《당돌한 여자》- 서주경 (1996년)《예쁜 여우》- 김혜연 (1996년)《요즘 여자 요즘 남자》- 현숙 (1997년)《남자라는 이유로》- 조항조 (1997년)《네 박자》- - 송대관 (1998년)《사랑의 이름표》- 현철 (1998년)《장모님》- 배일호 (1998년)《서울의 밤》- 한혜진 (1999년)《꽃을 든 남자》- 최석준 (1999년)《해바라기꽃》- 전미경 (1999년)
2000년대
《정열의 꽃》- 김수희 (2000년)《둥지》- 남진 (2000년)《러브레터》- 주현미 (2000년)《사랑은 아무나 하나》- 태진아 (2000년)《혼자사는 여자》 - 이혜리 (2000년)《외로운 여자》- 조승구 (2000년)《저 하늘 별을 찾아》- 유지나 (2001년)《친구에서 애인으로》- 현숙 (2001년)《잘났어 정말》- 태진아 (2001년)《있을 때 잘해》- 오승근 (2001년)《당신때문에》- 배일호 (2001년)《자옥아》- 박상철 (2001년)《사랑은 장난이 아니야》- 태진아 (2002년)《사랑의 포로》- 오은주 (2002년)《오빠는 잘 있단다》- 현숙 (2002년)《아미새》- 현철 (2002년)《꽃보다 아름다운 너》- 배일호 (2002년)《떠날 수 없는 당신》- 김상배 (2003년)《유행가》- 송대관 (2003년)《빠이빠이야》- 소명 (2003년)《너는 내 남자》- 한혜진 (2003년)《사랑의 밧줄》- 김용임 (2003년)《유리구두》- 김혜연 (2004년)《춤추는 탬버린》- 현숙 (2004년)《사는 동안》- 이태호 (2004년)《춘자야》- 설운도 (2004년)《어머나》- 장윤정 (2004년)《사랑을 한번 해보고 싶어요》- 하동진(2004년)《고장난 벽시계》- 나훈아 (2005년)《우연히》- 우연이 (2005년)《자기야》- 박주희 (2005년)《무조건》- 박상철 (2005년)《어허라 사랑》- 주현미 (2006년)《만약에》- 조항조 (2006년)《별난 사람》- 최유나 (2006년)《아줌마》- 태진아 (2006년)《이따이따요》- 장윤정 (2006년)《곤드레 만드레》- 박현빈 (2006년)《사랑에 한표 던진다》- 현숙 (2007년)《쓰러집니다》- 서주경 (2007년)《소문난 사랑》- 김혜연 (2007년)《황진이》- 박상철 (2007년)《오빠만 믿어》- 박현빈 (2007년)《사랑한다》- 주현미,조PD (2008년)《참아주세요》- 김혜연 (2008년)《그대는 내사랑》 - 현숙 (2008년)《샤방샤방》- 박현빈 (2008년)《안동역에서》- 진성 (2008년)《잠자는 공주》- 신유 (2008년)《시계바늘》- 신유 (2008년)《천년지기》- 유진표 (2008년)《딱이야》- 성진우 (2009년)《짜라자짜》- 주현미,서현 (2009년)《거짓말》- 조항조 (2009년)《사랑의 배터리》-홍진영 (2009년)《잡지마》- 문연주 (2009년)《고추》- 유지나 (2009년)《일편단심》- 금잔디 (2009년)
2010년대
《초혼》- 장윤정 (2010년)《얼쑤》- 윙크 (2010년)《뿐이고》- 박구윤 (2010년)《마지막은 나와 함께》- 김혜연 (2010년)《당신만》- 우연이 (2010년)《여백》- 주현미 (2011년)《언니가 간다》- 연지후 (2011년)《추억속으로》- 설운도 (2011년)《못난이》- 양양 (2011년)《꽃물》- 신유 (2011년)《오라버니》- 금잔디 (2012년)《행복한 세상》- 지원이 (2012년)《남자의 인생》- 홍원빈 (2012년)《미워도 미워도》- 최유나 (2012년)《내 나이가 어때서》- 오승근 (2012년)《이봐요》- 문희옥 (2013년)《고무줄》- 서인아 (2013년)《붕붕붕》- 이지민 (2013년)《몰랐네》- 우연이 (2013년)《일소일소 일노일노》- 신유 (2014년)《빈깡통》- 박상철 (2014년)《아서라 마서라》- 양용모 (2014년)《산다는건》- 홍진영 (2014년)《사랑꽃》- 조항조 (2014년)《당신을 사랑합니다》- 왕소연 (2014년)《천태만상》- 윤수현 (2014년)《쿵짜작 쿵짝》- 김춘향 (2014년)《숟가락 젓가락》- 박규리 (2014년)《나무꾼》- 박구윤 (2015년)《인생팁》- 현숙 (2015년)《진진자라》- 태진아 (2015년)《반창고》- 장윤정 (2015년)《아이참》- 유민지 (2015년)《떨려떨려》- 권민정 (2015년)《꿀이다》- 장미 (2015년)《곁에 있어도》- 정해진 (2015년)《여자랍니다》- 박규리 (2015년)《거울아》- 한영 (2016년)《엄지 척》- 홍진영 (2016년)《꽃씨》- 태진아 (2016년)《며느리》- 강수빈 (2016년)《왜 가니》- 박주희 (2016년)《먹물 같은 사랑》- 김유라 (2016년)《이제서야》- 지원이 (2016년)《아저씨 넘버원》- 금잔디 (2016년)《하트하트》- 조은새 (2016년)《그남자》- 우연이 (2016년)《별들에게 물었죠》- 김다나 (2016년)《쏟아집니다》- 김가현 (2017년)《거기까지만》- 송가인 (2017년)《앞뒤로》 - 서인아 (2017년)《왕자님》- 금잔디 (2017년)《이별없는 부산정거장》- 현숙 (2017년)《단둘이야》- - 강소리 (2017년)《응답하라 내사랑》 - 유하은 (2017년)《심지곧은사람》- 정해진 (2017년)《니까짓게 뭔데》- 지원이 (2017년)《묻지 말고 해요》- 소유미 (2017년)《너뿐》- 호조 (2017년)《하얀미소》- 성진우 (2017년)《여정》- 주현미 (2018년)《여기서》- 서지오 (2018년)《위하여》- 조항조 (2018년)《잘가라》- 홍진영 (2018년)《사랑이 뭐길래》- 김가현 (2018년)《초생달》- 김소유 (2018년)《세월은 세월대로》- 강수빈 (2018년)《사랑의 계산기》- 정해진 (2018년)《있어도 없어도》- 김유라 (2018년)《오늘밤》- 김민채 (2018년)《사랑엔 답이없네요》- 태진아 (2018년)《사랑의 해결사》- 김수찬 (2019년)《사랑탑》- 금잔디 (2019년)
(위키백과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