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를 얻을 때 집주인에게 맡기는 돈을 '전셋값/전세값', 전셋가/전세가' 각각 어느 것으로 표기해야 할까?
정답은 '전셋값'과 '전세가'다.
[설명]'전셋값'은 한자어로 된 '전세(專貰)'와 순우리말 '값'이 만나 [전세깝]으로 소리 나는 경우이므로 사이시옷을 붙여야 한다. '전세가(專貰價)'는 세 음절 모두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
-전세방(傳貰房):'전세+방'은 한자어 복합(합성어)이므로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
-셋방(貰房):'세+방'은 한자어 합성어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사이시옷이 불가함, 그러나 예외적으로 인정.
☞한자어로 된 낱말은 사이시옷을 넣지 않으나 '숫자', '횟수', '툇간(退間)', '셋방', '곳간', '찻간(車間)'은 예외로 한다.
■사이시옷은 순 우리말 또는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된 합성어 가운데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거나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때 붙는다(예:바닷가, 찻잔). 또 뒷말의 첫소리 'ㄴ','ㅁ'앞에서 'ㄴ'소리가 덧나거나 (예:아랫니, 툇마루), 뒷말의 첫소리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예:뒷일, 예삿일)등에 받쳐 적는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자주 안쓰면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인데 잘 정리해줘서 유익했습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저도 틀리게쓰고있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