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여행학교 ]
곶자왈작은학교 2015 아시아 평화여행 _ 베트남을 가다
- 베트남전쟁의 아픔을 나누고 사과하고 평화의 관계를 만든다 -
□ 목 적
- 베트남의 자연과 문화, 역사를 배운다.
- 베트남 전쟁의 아픔을 느끼고 나눈다.
- 베트남 전쟁 중에 벌어진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 사과한다.
- 베트남 미래세대와 만남과 교류를 통해 평화의 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 일 시 : 2015 1. 14(수) ~ 24(목) / 10박 11일(베트남 9박 10일)
□ 여행지 : 베트남(호치민시, 까마우성, 꽝아이성, 꽝남성, 호이안)
□ 주 최 : 곶자왈작은학교
□ 베트남 진행(코디네이터) : 베트남 사회적기업 <아맙>
□ 참가자 : 어린이, 청소년, 어른 18명
④ 구찌땅굴과 후에 궁중음악 사절아악 작은 음악회
# 여행 셋째 날 오후(1. 16)
- 점심식사(식당 11:00)
- 이동(전세버스) 12:00)
- 구찌땅굴 탐방(13:40~15:50)
- 이동(전세버스 15:50)
- 고무나무숲 둘러보기(16:20~30)
- 저녁식사(식당 18:00~50)
- 이동(전세버스->택시)
- DRD 방문 / 사절아악 작은 음악회(19:30~22:00)
- 이동(택시->전세버스)
- 호치민 서부터미널 도착(22:20)
- 까마우행 야간침대버스 출발(23:00)



노인, 아이, 여성 가리지 않고
모두가 힘 합쳐 만든 구찌땅굴
15년 동안 이곳에서 살아왔다니!
믿을 수가 없다.
좁고 좁은 통로
그 당시에는 불빛도 거의 없었던 땅굴
학자들도 인정한 땅굴
정말 다시 한 번 베트남 사람들이
조국을 지키기 위한 간절한 마음이 느껴진다.
-- ‘구찌땅굴’, 강예원(중 1), 2015. 1.16





좁은 곳도 있고
넓은 곳도 있고
긴 곳도 있고
짧은 곳도 있는
구찌땅굴
땅굴을 보니
옛 베트남
조상들의 지혜가
생각난다.
우리가 잊지 않고
보존해야 하는
구찌땅굴
정말 신비롭다.
-- ‘구찌땅굴’, 양정아(초 5), 2015. 1.16





개미집처럼 얽혀있고
쥐구멍처럼 좁지만
대성당처럼 거대하고
벌집처럼 견고하다
사람들이 생명을 구하고
적들과 싸울 수 있었던
구찌땅굴도 고마워하는 걸
알고 있을까?
-- ‘구찌땅굴’, 전혜연(중 1), 2015. 1.16





구찌 마을 사람들이
온 힘을 다하여
만든 땅굴,
구찌 땅굴
미국군이 아무리 공격해도
구찌 땅굴에서 끄덕없이
버티었다.
구찌 땅굴, 이곳에는
베트남 사람들의
뜨거운 마음이
담겨 있다.
-- ‘구찌 땅굴’, 허선영(초 5), 2015. 1.16





베트남 전통악기로 이루어진
사절아악
띠바, 반짠 등
4가지 전통악기로 구성된
사절아악
4개의 악기가
1가지 음악을
만들어내는
아주 좋은 순간
-- ‘사절아악’, 고혜은(초 5), 2015. 1.16





우린 오늘 마지막 프로그램인
‘후에 궁중음악 가족연주단’ <사절아악>과 함께하는
작은 음악회에 참석했다.
장소는 DRD.
DRD는 베트남에서 장애인 인권을 지키는 단체이다.
음악회를 시작하는데 1부는 전통음악이었다.
우리나라와 닮은 악기도 있었고, 다른 악기도 있었다.
우린 궁에서 잔치를 열 때 연주하는 음악을 들었다.
그리고 2부에서는 현대음악 연주를 들었다.
기타와 색소폰 조합이 마음에 들었다.
-- ‘사절아악’, 허 진(중 2), 2015. 1.16




정확히 사절아악이 무엇인지 나는 잘 몰랐기 때문에 처음 악기를 보고 좀 놀랐다.
익숙한 악기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음악은 우리나라 궁중음악과 달랐던 것 같다.
더 가볍고 맑았다.
특히 가야금 비슷하게 생긴 악기의 소리가 좋았다.
언니가 손으로 줄을 한 번 훓을 때마다 옥구슬이 굴러가는 소리가 났다.
네 명 중 어머님이 치신 악기는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았다.
하지만 나머지 두 명의 소리는 음악이 어우러지면서도 독특한 소리를 내서 한 번에 튀었다.
2부에서는 섹소폰과 기타의 협연을 했는데, 우리에게 익숙한 멜로디라 그런지 내 귀에는 더 잘 들어왔다.
삼남매 중 막내라는 얼음왕자의 연주는 의외로 감정이 풍부하게 들려서 놀랐다.
‘정말 악기를 잘 다룬다는 건 이런 거구나’ 라는 생각을 할 정도였다.
다시 한 번 듣고 싶다.
황족이지만 그렇게 수수하고 낯선 이를 부끄러워하는 것이 참 좋게 보였다.
반면으론, 음악가야말로 황족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직업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 ‘작은 음악회’, 조유나(중 3), 2015. 1.16






처음으로 야간버스를 탔다.
신기했다.
버스 안에 침대가 있었다.
들어가자마자 잤다.
한 번도 안 깼다.
잘 잤다.
좋았다.
-- ‘야간버스’, 정태호(초 5), 2015. 1.16






표를 받아 자리를 찾고
짐을 놓고 자리에 눕는다
곧 버스는 출발하고
덜컹거리면서 버스는 나아간다
불도 밝고 흔들거려서
어떻게 자나 했는데
곧 불도 꺼지고 꽤 편하다
창 밖을 보다가 곧 잠에 빠졌다
-- ‘야간침대버스’, 한경민(초 6), 20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