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프로젝트명 |
BIT TALK | |||
시스템명 |
BIT TALK | ||||
단계명 |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활동명 |
아키텍쳐 |
작업 명 |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작성자 |
이태원 |
작성일 |
2011-08-25 |
문서번호 |
2011-CD-001 |
일련 번호 |
채널명 |
채널소유자 |
채널사용자 |
설명 |
1 |
Cs |
송신Client |
수신Client |
P2P간의 채팅 |
2 |
Fs |
송신Client |
수신Client |
P2P간의 파일전송 |
3 |
Rs |
송신Client |
수신Client |
P2P간의 원격제어 |
4 |
Ss |
송신Client |
수신Client |
P2P간의 숏 메시지전송 |
5 |
Fes |
송신Client |
Fend |
USER의 서비스요청 |
6 |
Fds |
송신Client |
File Server |
USER의 파일 정보전송 |
7 |
Gcs |
송신Client |
Groub Server |
USER의 채팅방 정보전송 |
8 |
Regs |
Fend Server |
Reg Server |
서버에 회원가입 요청 |
9 |
Logs |
Fend Server |
Log Server |
서버에 로그인/아웃 요청 |
10 |
Rrs |
Reg Server |
수신Client |
USER의 회원가입 결과전송 |
11 |
Lrs |
Log Server |
수신Client |
USER의 로그인/아웃 결과전송 |
12 |
Stcs |
Log Server |
Sts Server |
Login/out정보를 Sts서버로 전송 |
13 |
Kes |
Sts Server |
수신Client |
USER의 접속상태전송 |
14 |
Dbs |
Reg/Log Server |
DBM |
로그인 결과전송 |
15 |
Sdbs |
Sts Server |
Sts DBM |
로그인 정보를 Sts DBM으로 전송 |
16 |
Fdbs |
File Server |
File DBM |
파일정보를 File DBM으로 전송 |
17 |
Gdbs |
Groub Server |
Groub DBM |
채팅방정보를 Groub DBM으로 전송 |
18 |
Lcs |
DBM |
Sts Server |
현재접속여부를 Sts서버로 전송 |
------------------------------------------------------------------------------------------------------------------------------------------
제 9차 Mini Project Meeting with Teacher 일시 2011. 08. 25 (수) 02:00 ~ 02:30 회의장소 선문대학교 원화관 504호 Study Room 참석자 (5명) 소 속 직 책 이 름 발 언 정보통신공학부 Project Manager 이희성 정보통신공학부 Project Leader 이도현 컴퓨터공학부 Project Member 오정규 컴퓨터공학부 Project Member 이태원 선문비트교육센터 강 사 장문석 회의개요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가지고 강사님과 미팅, 수정, 보완해야 할 점을 들음 회 의 내 용 <강사님 말씀> - 원격제어 예광탄 보여달라 - 포트는 센드와 리시브 개념이 아니다. - 파일관련포트를 하나만 만드는 것은 좋지 않다. - dll이 소유의 개념이냐 사용의 개념이냐 - 컴포넌트가 많아야 좋은 점수가 나올 것 이다. - 프로토타이핑을 해야한다. - 필요하다면 항상 예광탄을 쏴라 - 동일작업에 대한 DLL이 있어야 작업지연이 없다. - 유기적인 작업을 통하여 작업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한다. - 마지막감수는 프로토타이핑, DB설계, 작업분배 및 스케쥴링, 예광탄에 대하여한다. - 스케쥴링은 섬세하게 구성한다. <수정 및 추가내용> - 포트수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