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어제 사진들을 살포시 투척합니다.
왼쪽 위 사진에서 시계 방향으로 아래 왼쪽 사진까지 보시지요.
강의 시작 전 강북마을모임사무국 바닥에 깔린 뽀로로장판은 우리 수강생들의 아이들을 위한 자리입니다. 엄마가 강의 듣는 동안 아이들은 여기서 아이도우미 한 분의 보살핌 아래 즐겁게 노는 거죠.
-> 싱그러운 가을 사과와 귤이 오전 강의 듣는 분들을 위해 준비되었고요.
-> 강의를 듣기 위해 속속 자리를 잡고 기다리는 모습입니다, 과일을 얌얌 먹으면서요^^ ['강북에해뜸이들' 과 함께 '우리동네햇빛발전협동조합'원들이 여럿 오셨군요. 남기창 이사님과 어제 아침 1인시위까지 하고 참석하신 강병식 활동가를 비롯하여 박수홍 님, 백종삼 님 등이 함께하셨어요. 왜 1인시위하셨나고요? 궁금해요? 궁금하면 10원......이 아니라 링크 (http://blog.naver.com/ohmyjapan/220152154347)를 들어가주세요]
-> 오늘의 강사인 '에너지정의행동' 이헌석 대표가 도착하셨네요. 그리고 우리 지역 라디오 <강북FM>의 총괄자인 총각 반달곰이 강의를 녹음하기 위해 세팅을 하고 있어요.
-> 강의 중 모습입니다. (그레, 바람진, 엘리, 코알라, 딸기우유, 김현정 님 모녀 커플, 달바람과 고현자 님, 정봉금 님, 김인숙 님이 우리동네햇빛발전협동조합원들과 함께하셨고요.)
강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부는 일반인 특히 사회적 관심으로 전기 에너지를 이해하려는 이들을 위한 전기 상식을 주로 다루었다면, 2부는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에 관해 집중적으로 다루었어요.
오, 놀라워라! 어제의 강사분은 제한된 시간(2시간 조금 안 되는) 안에 기초적인 개념을 비롯해서 거시적 차원의 사안까지 조목조목 알차게 강의해 주신 진정한 능력자!!!!
그리하여 엘리가 마음을 비웠습니다. 후기랍시고 어설픈 강의 요약을 하기보다는 첨부한 강의자료를 보시면서 아래와 같이 반달곰이 <강북FM>에 정성껏 올려준 강의내용을 들으시라고 안내합니다.
그...래...도...하마 비우지 못하고 남은 마음에 3강 내용을 듣고 난 후 해보시라고 퀴즈 문제 냅니다. 가족친지 모두 모여 한 번 풀어보시라고요!
크하하하 ^ㅁ^
그럼 퀴즈 들어갑니다:
1. 일반 가정에서 집을 지을 때 한전과 계약을 하고 전기를 끌어다 써야 합니다. 이때 일반 가구의 계약전력은 얼마일까요?(단위는 kW로 답해 주세요)
2. 우리나라 최초의 핵발전소인 고리 원전 1호기가 생산하는 전력은 연간 대략 얼마인가요?(단위는 kWh)
3. 1기가와트는 몇 메가와트이고 다시 몇 킬로와트인가요?
4. 우리나라 발전소의 1차 에너지원은 석탄, 핵, 가스, 기타 등등입니다. 여기서 핵 발전 비중은 전체 발전량 가운데 몇 %를 차지하나요?
5. 송전과 배전을 설명해 주세요.
6. 순환정전은 왜 하나요?
7. 송전탑의 애자를 보면 송전 규모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765kW 송전탑은 애자가 몇 개 정도 달려 있을까요?
8. 석탄, 가스, 핵 가운데 발전소의 가동과 중단이 가장 용이한 것은 무엇인가요? 또 가장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요?
9. 박근혜 정부의 전력 정책에서 드러난 '전기화 경향'이 왜 우려스러운지 설명해 주세요.
10.백열등과 LED등을 예로 들어 전기소비의 효율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11. 우리나라 소비전력 주체는 크게 개인(일반 가정), 상업, 산업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순위별로 전력소비 비중을 %로 표시해 보세요.
12. 소비자의 입장에서 전기는 플러그 꽂기만 하면 즉시 소비할 수 있는 편하고 깨끗한 에너지입니다만 생산과 공급자의 입장에서 보면 다른 시각에서 들여다볼 에너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최근 밀양과 청도 송전탑 등을 통해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에너지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플러그 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생각나는 대로 지적해 주세요.
★한 가지만 더!
수력, 화력, 원자력 등 각 발전소의 발전 원리를 비교하여 훑어보고 나서 특히 핵발전의 경우 무엇이 문제인지를 살펴보는 강의 내용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조만간 그런 강의를 위한 기회를 우리 강북에해뜸이들이 마련해 봅시다.
현재로서는 어제 받으신 한장 탈핵정보인 <핵발전소는 어떻게 생겼을까?> 를 읽어보시되 특히 가압형경수로(PWR)의 내부구조와 송전과정을 유심히 들여다봐주세요.
간혹 뉴스에서 어느 원전이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생겨 가동을 중단한다고 하거나 계속 가동한다고 하는데요, 그런 사고의 경중을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가 나와 있어요.
※다음 강의는 10월23일 오전10~12시, 한신대, <독일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서 배운다>(박진희 교수)입니다.
-------------------------------- 아 래 --------------------------------
※ 3강 내용은 팟캐스트 포털사이트 팟빵에 들어가시면 <강북 FM>에 올라가 있습니다. 팟빵 어플을 다운받아 설치하시면 스마트폰으로도 편리하게 청취하실 수 있습니다.
*팟빵에서 강북FM 방송 듣기 - http://www.podbbang.com/ch/6656
*강북FM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gangbukfm
에너지마을과정_3강(에너지정책).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