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梓人傳> 柳子厚
裵封叔之第, 在光德里, 有梓人款其門, 願傭隙宇而處焉, 所職尋引規矩繩墨, 家不居礱斲之器. 問其能曰, 吾善度材, 視棟宇之制, 高深圓方短長之宜, 吾指使而群工役焉, 捨我衆莫能就一宇. 故食官府, 吾受祿三倍, 作於私家, 吾收其直大半焉. 他日入其室, 其牀闕足, 而不能理, 曰將求他工, 余甚笑之, 謂其無能而貪祿嗜貨者. 其後京兆尹, 將飾官署, 余往過焉, 委群材, 會衆工, 或執斧斤, 或執刀鋸, 皆環立嚮之. 梓人左執引, 右執杖, 而中處焉, 量棟宇之任, 視木之能擧, 揮其杖曰斧, 彼執斧者奔而右, 顧而指曰鋸, 彼執鋸者趨而左, 俄而, 斤者斲, 刀者削, 皆視其色, 俟其言, 莫敢自斷者, 其不勝任者, 怒而退之, 亦莫敢慍焉. 畵宮於堵, 盈尺而曲盡其制, 計其毫釐而構大廈, 無進退焉. 旣成書于上棟曰, 某年某月某建, 則其姓字也, 凡執用之工, 不在列. 余圜視大駭, 然後知其術之工大矣. 繼而歎曰, 彼將捨其手藝, 專其心智, 而能知體要者歟. 吾聞勞心者役人, 勞力者役於人. 彼其勞心者歟. 能者用而智者謀, 彼其智者歟. 是足爲佐天子, 相天下法矣, 物莫近乎此也. 彼爲天下者本於人, 其執役者, 爲徒隷爲鄕師里胥, 其上爲下士, 又其上爲中士爲上士, 又其上爲大夫爲卿爲公, 離而爲六職, 判而爲百役. 外薄四海, 有方伯連帥, 郡有守, 邑有宰, 皆有佐政, 其下有胥史, 又其下有嗇夫版尹, 以就役焉, 猶衆工之各有執伎, 以食力也. 彼佐天子相天下者, 擧而加焉, 指而使焉, 條其紀綱而盈縮焉, 齊其法度而整頓焉, 猶梓人之有規矩繩墨, 以定制也, 擇天下之士, 使稱其職, 居天下之人, 使安其業, 視都知野, 視野知國, 視國知天下, 其遠邇細大, 可手據其圖而究焉, 猶梓人, 畵宮於堵而績于成也, 能者進而由之, 使無所德, 不能者退而休之, 亦莫敢慍, 不衒能, 不矜名, 不親小勞, 不侵衆官, 日與天下之英才, 討論其大經, 猶梓人之善運衆工而不伐藝也. 夫然後相道得而萬國理矣. 相道旣得, 萬國旣理, 天下擧首而望曰, 吾相之功也, 後之人循跡而慕曰, 彼相之才也, 士或談殷周之理者曰, 伊傳周召, 其百執事之勤勞, 而不得紀焉, 猶梓人自名其功而執用者不列也. 大哉. 相乎. 通是道者, 所謂相而已矣. 其不知體要者反此, 以恪勤爲公, 簿書爲尊, 衒能矜名親小勞侵衆官, 竊取六職百役之事, 听听於府庭而遺其大者遠者焉, 所謂不通是道也. 猶梓人而不知繩墨之曲直, 規矩之方圓, 尋引之短長, 姑奪衆工之斧斤刀鉅, 以佐其藝, 又不能備其工, 以至敗績用而無所成也, 不亦謬歟. 或曰, 彼主爲室者, 儻或發其私智, 牽制梓人之慮, 奪有世守, 而道謀是用, 雖不能成功, 豈其罪邪. 亦在任之而已. 余曰, 不然. 夫繩墨誠陳, 規矩誠設, 高者不可抑而下也, 狹者不可張而廣也, 由我則固, 不由我則圮, 彼將樂去固而就圮也, 則卷其術, 黙其智, 悠爾而去, 不屈吾道, 是誠良梓人耳. 其或嗜其貨利, 忍而不能捨也, 喪其制量, 屈而不能守也, 棟撓屋壞, 則曰非我罪也, 可乎哉. 余謂梓人之道類於相, 故書而藏之, 梓人蓋古之審曲面勢者, 今謂之都料匠云. 余所遇者楊氏潛其名.
裵封叔之第(배봉숙지제) : 배봉숙(유종원의 매부)의 집은
在光德里(재광덕리) : 광덕리(장안의 동네 이름)에 있었는데
有梓人款其門(유재인관기문) : 어느 날 목수 한 사람이 그 집에 찾아와
款 문을 두드리다
梓 zi3, 가래나무, 목수, 조각하다, 세공하다, 고향
願傭隙宇而處焉(원용극우이처언) : 품삸으로 빈 방을 빌려 거처하기를 청하였다.
傭 남에게 고용되어 품삯을 받는 것
隙 xi4, 틈, 隙地 빈터, 隙宇 빈방, 隙子 틈, 기회
處 chu3, 살다, 거주하다, chu4, 곳, 장소
所職尋引規矩繩墨(소직심인규구승묵) : 그의 일은 짧은 자와 긴 자, 그림쇠와 곡척, 먹줄과
먹통을 갖고 하는 것이 있으며
家不居礱斲之器(가불거롱착지기) : 그에게는 갈고 쪼개고 하는 공구가 없었다. 居...存
問其能曰(문기능왈) : 무얼 잘 하느냐고 묻자 그는 말하기를,
吾善度材(오선도재) : “저는 목재를 잘 헤아립니다.
視棟宇之制(시동우지제) : 저는 집의 규격만 보아도 棟宇 마룻대와 추녀끝-가옥
高深圓方短長之宜(고심원방단장지의) : 높고 낮거나 둥글고 네모나거나 길고 짧은 적당한 나
무들을 골라내어
吾指使而群工役焉(오지사이군공역언) : 공인들로 하여금 작업을 하도록 시킵니다.
捨我衆莫能就一宇(사아중막능취일우) : 제가 없으면 공인들은 한 채의 집도 짓지 못합니다.
故食(於)官府(고사관부) : 그런 까닭에 관가에서 일을 할 때에는
食 si4,(사) 밥, yi4, 인명-역이기
吾受祿三倍(오수녹삼배) : 다른 사람의 세 배 되는 공임을 받고
作於私家(작어사가) : 사가에서는
吾收其直大半焉(오수기직대반언) : 반을 더 받습니다.” 直-値(치)-품삯
他日入其室(타일입기실) : 며칠 후, 그 목수의 방에 가보았더니
其牀闕足(기상궐족) : 침대의 다리가 망가져 있었는데도 闕=缺
而不能理(이불능리) : 그는 고칠 줄을 몰랐다.
曰將求他工(왈장구타공) : 그는 “다른 목수를 불러다 고치려고 합니다.”하고 말하는 것이었다.
余甚笑之(여심소지) : 나는 그를 심히 비옷으며
謂其無能而貪祿嗜貨者(위기무능이탐녹기화자) : 공임과 돈만 탐내는 무능한 사람이라고 생
각했다. 嗜(기) shi4, 즐기다, 애호하다, 취미, 기호
其後京兆尹(기후경조윤) : 그 후 경조윤이
將飾官署(장식관서) : 관청을 수리하게 되었는데 飾 수리하다
余往過焉(여왕과언) : 마침 그 곳을 지난적이 있었다.
委群材(위군재) : 수 많은 목재가 쌓여 있었고 委 쌓다
會衆工(회중공) : 공인들이 여럿 모였는데
或執斧斤(혹집부근) : 그들 가운데 어떤 이는 도끼를 잡고
或執刀鋸(혹집도거) : 어떤 이는 톱을 쥐고
皆環立嚮之(개환립향지) : 그 목수를 향하여 둥그렇게 둘러 서 있었다.
梓人左執引(재인좌집인) : 그 목수는 왼손엔 긴 자를,
右執杖(우집장) : 오른손엔 막대기를 쥐고
而中處焉(이중처언) : 가운데 있었다.
量棟宇之任(양동우지임) : 그는 집을 짓는 데 쓰일 목재를 헤아리고
視木之能擧(시목지능거) : 나무들의 용도를 살핀 뒤,
揮其杖曰斧(휘기장왈부) : 그의 막대기를 휘두르며 “저기엔 도끼” 하고 말하니
彼執斧者奔而右(피집부자분이우) : 도끼를 잡고 있던 공인 오른쪽으로 뛰어갔다.
顧而指曰鋸(고이지왈거) : 고개를 돌려 이번에는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기엔 톱”하고 말하니
彼執鋸者趨而左(피집거자추이좌) : 톱을 쥔 공인이 왼쪽으로 뛰었다.
俄而(아이) : 잠시 후 俄而 eer22, 느닷없이 갑자기, 곧, 머지않아
斤者斲(근자착) : 도기로 깍고 斲 zhuo2, 자르다 깎다
刀者削(도자삭) : 톱으로 자르고 하는데 削 xiao1
皆視其色(개시기색) : 모두 목수의 기색을 살피고
俟其言(사기언) : 지시를 기다리면서
莫敢自斷者(막감자단자) : 어느 한 사람도 감히 자기 마음대로 하지 못했다.
其不勝任者(기불승임자) : 제대로 작업을 해 내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怒而退之(노이퇴지) : 목수가 노하여 물러가게 하여도
亦莫敢慍焉(역막감온언) : 아무도 감히 화를 내지 못했다.
畵宮於堵(화궁어도) : 그는 건물의 그림을 담 위에 그려놓았는데
盈尺而曲盡其制(영척이곡진기제) : 크기는 한 척 정도밖에 안 되었지만 격은 매우 상세하고
정확하였으며
計其毫釐而構大廈(계기호리이구대하) : 치밀한 계산으로 커다란 건물을 짓는 데
毫釐haoli22, 도량형
無進退焉(무진퇴언) : 조금의 오차도 없었다. 進退 오차
旣成書于上棟曰(기성서우상동왈) : 집이 완성되자 대들보에 쓰기를,
某年某月某建則其姓字也(모년모월모건칙기성자야) : “몇년 몇월 몇일 아무개가 지음”이라
고 썼는데 자신의 성명을 쓸 뿐
凡執用之工(범집용지공) : 작업을 한 공인들은
不在列(불재열) : 열거하지 않았다.
余圜視大駭(여환시대해) : 나는 이곳 저곳을 두루 살펴본 뒤 크게 놀라고
圜視 사방을 두루 살펴봄
然後知其術之工大矣(연후지기술지공대의) : 나서야 그 목수의 기술이 교묘하면서도 대단하
다는 것을 알았다.
繼而歎曰(계이탄왈) : 이어서 나는 탄식하기를,
彼將捨其手藝(피장사기수예) : “저 사람들은 손기술을 버리고
專其心智(전기심지) : 오로지 마음의 지혜만 사용하면서도
而能知體要者歟(이능지체요자여) : 작업의 요체를 알고 있구나!
體要 대강과 요체
吾聞勞心者役人(오문노심자역인) : 내가 듣건대 정신을 쓰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부리고
勞力者役於人(노력자역어인) : 육체의 힘을 쓰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부림을 당한다고 하였
는데 勞心者治人 勞力者治於人-맹자-등문공상
彼其勞心者歟(피기노심자여) : 저 사람은 바로 정신을 쓰는 사람이 아닌가! 其-豈
能者用而智者謀(능자용이지자모) : 능력이 있는 사람은 실행을 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일을 계
획한다고 하였는데 用 실행
彼其智者歟(피기지자여) : 저 사람은 바로 지혜로운 사람이 아닌가!
是足爲佐天子(시족위좌천자) : 이는 천자를 보좌하여
相天下法矣(상천하법의) : 천하를 재상으로서 다스리는 법도라고 할 만하니
物莫近乎此也(물막근호차야) : 어떤 일도 이처럼 근사한 것은 없다.
彼爲天下者本於人(피위천하자본어인) :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근본을 두기
마련이다.
其執役者(기집역자) : 하급의 공역은
爲徒隷爲鄕師,里胥(위도례위향사리서) : 차사나 향사 그리고 이서이고
徒隷 감옥의 간수나 죄인 잡는 하급관리
鄕師,里胥 면장과 이장
其上爲下士(기상위하사) : 그 위는 하사이며
又其上爲中士爲上士(우기상위중사위상사) : 또 그 위는 중사와 상사가 있고
又其上爲大夫爲卿爲公(우기상위대부위경위공) : 다시 위로는 대부․공․경의 직책이 있다.
離而爲六職(리이위육직) : 중앙의 직분을 나누면 육관이 있고 離 나누다
判而爲百役(판이위백역) : 다시 세분하면 백관이 있다. 判 나눔, 百役=百官
外薄四海(외박사해) : 밖으로는 사방의 변경에 이르기까지 薄...至
有方伯,連帥(유방백연솔) : 방백과 연솔이 있고
方伯,은, 주 시대의 대제후
連帥=連率 태수나 안찰사
郡有守(군유수) : 군에는 수령,
邑有宰(읍유재) : 읍에는 현령이
있는데
皆有佐政(개유좌정) : 모두 보좌역을 데리고 있으며, 佐政 보좌관
其下有胥史(기하유서사) : 밑으로 다시 서리가 있고 史...吏의 오자
又其下有嗇夫,版尹(우기하유색부판윤) : 다시 그 밑으로는 색부와 판윤 등이
嗇夫,지방관청의 소송이나 職稅를 관장하던 관리
版尹,鄕에서 호적등을 관장하는 관리
以就役焉(이취역언) : 잡역을 처리한다.
猶衆工之各有執伎(유중공지각유집기) : 이는 마치 수 많은 공인들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伎ji4, 기능, 재능
以食力也(이식력야) : 생계를 유지하는 것과 같다.
食力 자신의 능력으로 생계를 끌어 가는 것
彼佐天子相天下者(피좌천자상천하자) : 천자를 도와 천하를 다스리는 자는
擧而加焉(거이가언) : 많은 관리들을 천거하여 임무를 부여하고
擧 천거
加 직책에 합당한 임무를 부여함
指而使焉(지이사언) : 지휘하고 부리면서
條其紀綱而盈縮焉(조기기강이영축언) : 정치의 기강을 바로 잡아 신축성있게 운용하면서
條 일관되게 정리함
齊其法度而整頓焉(제기법도이정돈언) : 법령과 제도를 통일하여 정돈한다.
猶梓人之有規矩繩墨(유재인지유규구승묵) : 이는 마치 목수가 그림쇠와 곡척, 먹줄과 먹통
을 가지고
以定制也(이정제야) : 규격을 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擇天下之士(택천하지사) : 천하의 인재를 골라
使稱其職(사칭기직) : 능력에 맞는 직분을 부여하고
居天下之人(거천하지인) : 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使安其業(사안기업) : 편안하게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視都知野(시도지야) : 도성을 보면 민간생활을 알 수 있고
視野知國(시야지국) : 민간생활을 보면 그 나라를 알 수 있으며
視國知天下(시국지천하) : 그 나라를 봄으로써 온 천하를 알 수 있게 된다.
其遠邇細大(기원이세대) : 이처럼 멀거나 가깝고 사소하거나 중대한 모든 일들을
可手據其圖而究焉(가수거기도이구언) : 계획에 따라 추구할 수 있는 것은
猶梓人畵宮於堵而績于成(유재인화궁어도이적우성야) : 또한 목수가 담에 그림을 그려 놓
고 거기에 따라 집을 완성하는 것과 같다.
能者進而由之(능자진이유지) : 능력있는 사람을 천거하여 직무를 부여해도
使無所德(사무소덕) : 그로 하여금 사사로운 은혜로 생각하지 않도록 하고,
不能者退而休之(불능자퇴이휴지) : 무능한 사람은 일을 그만두고 물러나게 하여도
亦莫敢慍(역막감온) : 감히 화를 내지 못한다.
不衒能(불현능) : 자신의 재능을 뽐내지도 않고 衒 xuan4, 빛나다, 과시하다
不矜名(불긍명) : 명예를 자랑하지도 않으며,
不親小勞(불친소노) : 사소한 일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不侵衆官(불침중관) : 다른 여러 관직에도 간섭하지 아니한다.
日與天下之英才(일여천하지영재) : 날마다 천하의 영재와
討論其大經(토론기대경) : 국가의 법도를 논의할 뿐이니,
猶梓人之善運衆工而不伐藝也(유재인지선운중공이불벌예야) : 이는 마치 목수가 많은
공인들을 적절히 움직이면서도 자신의 기예를 뽐내지 않는 것과 같다.
伐藝 자신의 기술을 지나치게 뽐내는 것
夫然後相道得而萬國理矣(부연후상도득이만국이의) : 이런 뒤에야 재상의 법도가 얻어지고
온 천하가 다스려지는 것이다.
相道旣得(상도기득) : 재상의 법도가 얻어지고 相道 재상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
萬國旣理(만국기리) : 천하가 다스려진 후,
天下擧首而望曰(천하거수이망왈) :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재상을 우러러 보며,
吾相之功也(오상지공야) : “이는 우리 재상의 공적이다.”라고 말하고
後之人循跡而慕曰(후지인순적이모왈) : 후대 사람이 발자취를 따르며 흠모하기를,
彼相之才也(피상지재야) : “그는 재상의 재목이었다.”라고 할 것이다.
士或談殷周之理者曰(사혹담은주지리자왈) : 사대부들은 은․주를 잘 다스렸던 사람을
伊傳周召(이전주소) : 이윤․부열․부공․소공을 거론하면서도
其百執事之勤勞(기백집사지근로) : 무수한 관리들의 공로는
而不得紀焉(이부득기언) : 기록하지 않는다.
猶梓人自名其功而執用者不(유재인자명기공이집용자불열야) : 마치 목수가 완성된 건물에
자신의 이름은 기록하면서 작업에 참가한 공인의 이름을 열거하지 않은 것과 같다.
大哉(대재) : 위대하도다.
相乎(상호) : 재상이여,
通是道者(통시도자) : 이러한 도리에 통달한 사람을
所謂相而已矣(소위상이이의) : 이른 바 재상이라고 일컬어질 만한 일이다.
其不知體要者反此(기불지체요자반차) : 그 요체를 모르는 사람은 이와 정반대이다.
以恪勤爲公(이각근위공) : 곧 삼가며 애쓰는 것을 국가에 봉사하는 것으로 여기고
恪勤 삼가며 정성껏 일하다,恪 ke4, 삼가다
簿書爲尊(부서위존) : 관청의 장부를 지나치게 존중하며,
衒能矜名親小勞侵衆官(현능긍명친소노침중관) : 자신의 능력을 뽐내고 명성을 자랑하며 사
소한 일에 관여하고, 잡다한 직무에 간섭하고
竊取六職百役之事(절취육직백역지사) : 육개 부처의 여러 관리들의 일을 몰래 빼앗으며,
听听於府庭而遺其大者遠者焉(은은어부정이유기대자원자언) : 조정에서는 끊임없이 논
쟁하면서도 도리어 중요하고 원대한 계획은 빠뜨리는 것이니, 听听 논쟁하는 모양
所謂不通是道也(소위불통시도야) : 이른 바 재상의 도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猶梓人而不知繩墨之曲直(유재인이부지승묵지곡직) : 마치 이는 목수이면서도 먹줄의 곧음
을 모르고,
規矩之方圓(규구지방원) : 그림쇠와 곡척의 둥글게 그리고 모나게 그리는 용도를 모르며
尋引之短長(심인지단장) : 긴 자와 짧은 자의 장단을 구별하지 못한 채,
姑奪衆工之斧斤刀鉅(고탈중공지부근도거) : 공인의 도끼와 톱을 빼앗아
以佐其藝(이좌기예) : 자신의 기예를 보충하고자 하나
又不能備其工(우불능비기공) : 작업을 완전하게 해내지 못하고
以至敗績用而無所成也(이지패적용이무소성야) : 심지어 일을 망치어 이룬 것이 없게 되는
것과 같으니
不亦謬歟(불역류여) : 이 얼마나 잘못인가!
或曰(혹왈) :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彼主爲室者(피주위실자) : “만약 그 집의 주인이
儻或發其私智(당혹발기사지) : 자신의 개인적인 지혜를 발휘하여
牽制梓人之慮(견제재인지려) : 목수의 계획을 견제함으로써
奪有世守(탈유세수) : 목수가 대대로 이어진 경험을 빼앗긴 채 世守 대대로 이어오는 기술
而道謀是用(이도모시용) : 길 가던 사람의 계획이나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면
(문외한의 의견을 받아들인다는 의미)
雖不能成功(수불능성공) : 비록 집이 완성되지 못한다 하더라도
豈其罪邪(기기죄사) : 어찌 그의 죄이겠는가?
亦在任之而已(역재임지이이) : 이는 집주인이 목수를 신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余曰(여왈) : 나는 말하였다
不然(불연) : “그렇지 않다.
夫繩墨誠陳規矩誠設(부승묵성진규구성설) : 먹줄과 먹통, 그림쇠와 곡척이 정말 눈 앞에 있
다면
高者不可抑而下也(고자불가억이하야) : 높은 것을 아래로 누를 수는 없고
狹者不可張而廣也(협자불가장이광야) : 좁은 것을 펴 넓힐 수는 없다.
由我則固(유아칙고) : 내 방법을 쓰면 견고하고
不由我則圮(부유아칙비) : 내 방법을 버리면 망쳐지는데, 圮 pi3, 무너지다
彼將樂去固而就圮也(피장락거고이취비야) : 목수가 기꺼이 견고한 방법을 버리고 망쳐지는
편을 선택한다면
則卷其術黙其智(칙권기술묵기지) : 자신의 기술과 지혜를 감추고 卷...捲 숨기다
悠爾而去(유이이거) : 유유히 떠나는 셈이다. 悠爾 유유히, 기꺼이
不屈吾道(불굴오도) : 자기의 법도를 굽히지 말아야
是誠良梓人耳(시성량재인이) : 진실로 뛰어난 목수인 것이다.
其或嗜其貨利(기혹기기화리) : 간혹 재화를 탐낸 나머지
忍而不能捨也(인이불능사야) : 차마 그만 두지 못하여
喪其制量(상기제량) : 집을 짓는 법칙도 고려하지 않은 채
屈而不能守也(굴이불능수야) : 자신의 주장을 굽혀 지키지 못한 결과
棟撓屋壞(동요옥괴) : 대들보가 휘고 집이 무너졌는데
撓 nao2 어지럽다, 휘다,橈 rao2 굽은나무, 노, 배
則曰非我罪也(칙왈비아죄야) : 이는 내 잘못이 아니다고 말한다면
可乎哉(가호재) : 이것이야 말로 말이 되겠는가?”
余謂梓人之道類於相(여위재인지도류어상) : 내 생각으로는 목수의 도는 재상의 그것과 비슷
하다.
故書而藏之(고서이장지) : 그러므로 여기에 적어 보존하고자 한다.
梓人蓋古之審曲面勢者(재인개고지심곡면세자) : 목수는 대개 옛날에는 목재의 곡직과 표면
의 상태를 살피는 사람이었으나
今謂之都料匠云(금위지도료장운) : 지금은 도료장이라고 부른다.
余所遇者楊氏潛其名(여소우자양씨잠기명) : 내가 만난 사람은 양씨이며 이름이 잠이다.
|
첫댓글 좋은글 감사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