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의 양봉서적에는 백묵병 치료로 프로피온산 나트륨(식품에 사용되는 방부제로 엄격히 제한되고 있슴)
을 사용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유기 양봉에서는 백묵병에 어떠한 약제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개미산만 사용하면 백묵병이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개미산은 노제마를 줄이고 백묵병을 치료
하며...라는 자료가 있죠. 개미산은 포자(진균류)에 강하여 설령 백묵병이 발생하는 스트레스 환경에 놓여
있어도 벌통내 포자가 별로 없기 때문에 곰팡이로 발전하지 않고, 또, 위생 행동을 하는 벌에 의해 죽은 유충을
바로 제거하기 때문에 볼 수가 없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개미산을 사용한 뒤부터 백묵병을 한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백묵병의 주된 발생은 낮은 지역의 벌통 배치 등 환기 불량으로 과습한 경우 및 올해와 같은 늦은 봄철에
갑작스런 추위로 봉군이 밀집하게 될 때 발생하는데, 그 때 봉구권 밖의 산란권은 온도 저하로 모두 냉해를
입게 됩니다. 그러므로 개미산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포자가 많은 관계로 백묵병으로 발전하겠죠.
유기양봉에서는 약제를 쓰지 않는 대신에, 백묵병을 발생시키는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 보고 그 요인을 제거
함으로써 그리고 좋은 관리 실행으로 약제를 쓰지 않고도 백묵병을 억제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노제마 질병에 이어 백묵병에도 어떤 약제도 안 쓴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다음편에 올릴 부저병도 유기양봉
에서는 약제를 안씁니다. 저는 양봉을 하면서 당액, 화분떡, 개미산 밖에 안씁니다. 옥살산도 있는데 왜
개미산이냐고요?
12년 전에 꿀사동에 올린 저의 글이 있는데 개미산은 팔방미인이라고 한 내용이 있습니다.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Queensland Goverment
호주 퀸스랜드 州 정부, 농수산부
Chalkbrood
백묵병
Chalkbrood is caused by the fungus Ascosphaera apis and it affects both sealed and unsealed brood.
백묵병 곰팡이 아스코스피어러 아피스에 의해 발생되며 봉개된 유충 및 봉개 되지 않은 유충 모두에게
영향을 준다.
Appearance of infection
감염의 출현
At first, larvae are covered with a fluffy white fungal (mycelial) growth that looks like white mould on bread
or very fine cotton wool.
처음에, 유충은 빵에 핀 흰 곰팡이 또는 가는 면모처럼 보이는 솜털같은 흰색 곰팡이(菌絲體) 성장으로 덮여
진다.
Larvae become swollen inside the cell. Later, the dead larvae dry out to become hard, white or grey/black
chalk-like mummies.
유충은 벌방 안에서 부풀게 된다. 나중에 죽은 유충은 말라서 단단하고 흰색 또는 회색 / 검은색 분필 같은
미이라가 된다.
Appearance in cells
벌방의 모습
•May be in unsealed cells (as for sacbrood).
봉개되지 않은 벌방에 있을 수 있다 (낭충병 경우 처럼).
•May be in sealed cells - light or dark sunken cell caps, many with perforations (pin holes).
봉개된 벌방에 있을 수 있다 - 밝거나 어두운 함몰된 벌방 덮게, 많은 부분에 천공 (핀 구멍)
Appearance in combs
벌집 모양
In a heavy infection, brood pattern is scattered.
심한 감염에서는 유충 형태는 산재되어 진다.
Confusing symptoms
혼돈하는 증상
Chalkbrood symptoms may be mistaken for other brood diseases, such as American foulbrood (AFB),
sacbrood, European foulbrood (EFB) or even white pollen. However, once identified there is no mistaking
the appearance and consistency of larvae affected by chalkbrood.
백묵병 증상은 미국 부저병 (AFB), 낭충병, 유럽 부저병 (EFB) 또는 흰 꽃가루와 같은 다른 유충 질병으로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확인되면 백묵병에 영향을 받은 유충의 모양과 일관성을 오해하지 않는다.
<중략>
Housekeeping
관리 유지
Bees may detect dead larvae under cell caps, chew holes in cappings and remove mummies. A hive with
good hygiene habits usually removes mummies within 10 days. Mummies are dropped to the hive floor
and later, outside the entrance.
벌은 벌방 덮개 아래에서 죽은 유충을 감지하고 덮게 구멍을 씹고 미이라를 제거 한다. 좋은 위생 습관을
가진 벌통은 일반적으로 10일 이내에 미이라를 제거한다. 미이라는 벌통 바닥으로 떨어졌다가 나중에
입구 바깥으로 떨어진다.
Transmission
전염
Spores are highly infectious and are carried in contaminated pollen by infected foraging bees with spores
left at floral and water sites, by queens, drifting bees, and drones.
포자는 전염성이 높고 꽃과 물이 있는 곳에 남겨진 포자를 감염된 외역봉에 의해서 오염된 화분으로 옮겨
지고, 여왕벌, 표류하는 벌 과 수벌에 의해서도 옮겨진다..
Shifting bees on trucks with an open entrance causes drift and hence spreads disease. Spores remain viable
for up to 15 years or more in equipment and soil.
소문을 개방한 상태로 트럭으로 벌을 이동하면 표류가 발생하여 질병이 퍼진다. 포자는 기구와 토양에서 최대
15년 이상 생존한다.
Use of contaminated sites and old equipment could lead to infections. Interchange of equipment by the
beekeepers also spreads the disease.
오염된 장소와 오래된 비품을 사용하면 감염될 수 있다. 양봉인에 의한 기구의 상호교환도 또한 질병을 퍼뜨린
다.
Stress
스트레스
A change in brood-nest temperature can trigger chalkbrood disease. When nurse bee numbers become
insufficient to cope with weather extremes (cold clustering and heat fanning), the brood may be left
unattended.
산란권 온도의 변화는 백묵병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내역봉의 수가 극심한 날씨에 (추울 때 봉구 짓고 더울
때 선풍) 대처하기에 불충분하면, 유충은 방치된다.
Usually the first larvae affected are those around the edges of the brood where the brood temperature
may be higher or lower. Stress of any kind can cause the signs of the disease to become apparent.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는 첫 번째 유충은 온도가 더 높거나 낮을 수 있는 산란권 주변의 유충들이다. 어떤
종류의 스트레스도 그 병의 징후를 뚜렷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
Common causes of stress are:
스트레스의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high and low temperatures
높고 낮은 기온
•wet or dry conditions
습하고 건조한 상태
•poor nutrition
빈약한 영양
•failing queen
쇠약해지는 여왕벌
•poor hive management
부족한 벌통 관리
•moving hives.
벌통 이동
Diagnosis
진단
The Biosecurity Sciences Laboratory in Brisbane provides a brood-disease identification service. To use this
service simply:
브리즈번에 있는 생물보안 과학 연구소는 유충병 식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간단하게 사용하려면:
<중략>
Control
억제
With no registered chemicals available for chalkbrood control, the only means of controlling the disease is
through management practices and use of disease-resistant bees.
백묵병 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등록된 화학 물질이 없기 때문에, 그 질병을 억제하는 유일한 방법은 관리 실행
과 질병 저항성 벌의 사용을 통해서 한다.
Chemicals
화학적 방법
There is no effective chemical agent effective for use against chalkbrood fungus, therefore, chemicals are
not recommended for the treatment of chalkbrood in Australia.
백묵병 진균에 대해 효과적인 화학 약품이 없기 때문에, 호주에서는 백묵병 처리에 화학 약품을 권장하지
않는다.
Management practices
관리 실행
Management practices that reduce the stress on hives also reduce the number of chalkbrood spores.
Maintaining strong healthy colonies has been demonstrated to reduce the effects of chalkbrood.
벌통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관리 관행은 백묵병 포자 수를 줄인다. 강하고 건강한 봉군을 유지하는
것이 백묵병의 영향을 줄인다고 입증되었다.
Management practices which may reduce the effects of chalkbrood disease are:
백묵병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관리 관행은 다음과 같다.
•removing 'mummies' from bottom boards and around the entrance
바닥 보드와 입구 주위에 미이라(말라버린 잔해)를 제거
•destroying combs containing large numbers of 'mummies'
많은 수의 '말라버린 잔해'가 들어 있는 벌집은 파기
•supplying new combs
새 벌집 제공
•providing good ventilation in hives
벌통내에 쾌적한 환기 제공
•adding young adult bees to hives
벌통에 유봉 보충
•not allowing bees to winter in a hive that is over supered
계상으로 월동 금지
•feeding sugar syrup, fresh uncontaminated pollen or supplements
당액, 신선하고 오염되지 않은 화분 및 보조식품 급이
•maintaining strong hives by regular re-queening
정규적인 여왕벌 갱신으로 강군 유지
•reducing or preventing interchange of hive materials
벌집 재료(소비, 사양기)의 상호교환을 줄이거나 금지
•not using the same site each year - if possible shift the apiary site slightly.
매년 같은 장소 사용하지 않기 -가능하다면 벌통을 약간 옮기기
Change clothes and disinfect smokers, boots and hive tools using chlorine bleach between apiaries or
infected hives.
양봉장이나 감염된 벌통 사이에 염소 표백제를 사용하여 옷을 갈아 입고 훈연기, 장화 및 벌통 기구를 소독
하라.
Use of disease-resistant bees
질병에 내성있는 벌의 사용
Some hives are more affected with chalkbrood than others. Most of this variation in susceptibility is due
to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bees to uncap and remove diseased brood.
일부 벌통들은 다른 벌통 보다 백묵병에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감수성 변화의 대부분은 병든 유충을
봉개하지 않고 제거하는 능력의 차이 때문이다
By selecting queen bees or obtaining queen bees from hives that show resistance to this disease, the
effects of chalkbrood can be reduced.
여왕벌을 선택하거나 이 질병에 저항성을 보이는 벌통에서 여왕벌을 취득함으로써 백묵병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A combination of management practices that reduce stress and chalkbrood spores, maintain strong hives
and use selection of queen bees that show resistance to infection are the main ways to minimise the
effects of chalkbrood.
스트레스와 백묵병 포자를 줄이고, 강군을 유지하고,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보이는 여왕벌의 선택을 사용하는
관리 실행의 조합은 백묵병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주요한 방법이다.
첫댓글 좋은정보감사드립니다
좋은정보 고맙고 감사 합니다.
배우고 배워도 끝이 없네요~
우리도 국립양봉연구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우연한 기회에 지인으로부터 개미산을 접하게 되엇지요 가을에 개미산을 전군에 하엿는데
다음해 봄부터서 석고병이 발생하지 않아서 지금까지 개미산을 사용합니다
계속 사용하면
노제마도발생치 않습니다.
부저병 친환경 방제만 하면 된다고 봅니다.
꿀벌나라님~~~기다리고 있었답니다,
공부는 역시 👍
꿀벌나라로 갑시다~~~^-*
제 글을 기다려 주시니 감사합니다. 유기양봉에 관심이 있으신 분께 도움이 되고자 봉병에 약제를 쓰지 않고 억제하는 내용 계속 올릴 것입니다. 10년이 조금 넘었지요. 꿀벌나라 100% 유기양봉을 완성하다라고 글을 남긴 적이 있는데, 저 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도 많은 경험을 하여 이제는 당당하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명하지 않는 사람이 허튼소리한다고 예전엔 많은 공격을 받은 적이 있지요.
@꿀벌나라
허튼소리란말은 박살 내야죵!
아자
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