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 |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숙빈(叔彬), 호는 용담(龍潭)·도천(道川). 증조할아버지는 박한하(朴漢何)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박식(朴埴)이며, 아버지는 승지를 지낸 복재(復齋) 박양좌(朴良佐)이다. 어머니는 성산배씨(星山裵氏) 별좌(別坐) 배은(裵垠)의 딸이다. 둘째 아들로, 형은 남계(藍溪) 박이문(朴而文)이다. 부인은 충주박씨 참판 박응복(朴應福)의 딸이다. 선대는 한양에서 살다가 6대조인 개성판윤 박가권(朴可權)이 새 왕조 조선에서 내린 벼슬을 거부하고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동으로 내려왔다. 이후 고조할아버지 사맹공(司猛公) 박예손(朴禮孫)이 성주에서 지금의 합천군 가야면 매안리로 이주하였다.
[활동사항]
박이장(朴而章)[1547~1622]은 1586년(선조 19) 별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내고 1591년(선조 24)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를 다녀왔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크게 활약하였다. 1593년(선조 26) 10월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지제교(知製敎),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지내고 이듬해 이조좌랑에 이어 세자시강원사서(世子侍講院司書)를 겸직하였다.
1595년(선조 28) 이조정랑, 홍문관부응교(弘文館副應敎)를 거쳐 1599년(선조 32) 사간원사간,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에 있을 때 홍여순(洪汝諄)을 탄핵하였다. 1601년(선조 34)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상의원정(尙衣院正)을 지내고 이듬해 사헌부집의, 홍문관직제학 겸 시강원보덕(弘文館直提學兼侍講院輔德), 승정원동부승지, 경연참찬관을 역임하였다. 당시 유영경(柳永慶) 파인 소북(小北)으로서 반대 세력을 비방, 탄핵하였다.
1603년(선조 36) 동지정사(冬至正使)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고, 사헌부대사헌·이조참판·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지냈다.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을 논계하였다. 이듬해 사간원대사간이 되었고, 이어 동지춘추관사와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다시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1615년(광해군 7) 폐모론이 일어나자 이를 반대하는 만언소(萬言疏)를 올렸다가 삭직되었다.</p>
1625년(인조 3) 문간공(文簡公) 조경(趙絅)이 행장을 지었으며, 1678년(숙종 4) 사림들은 동강(東岡) 문정공(文貞公)을 모신 성주의 청천서원(晴川書院)에 종향하였는데, 이는 그가 옛날 성주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후 자손들이 지금의 산청군 단계리로 이거하여 부조묘로 받들고 그 마을 앞에 정사를 건립하여 이름을 용담(龍潭)이라고 하였다. 용담은 본래 박이장이 거처하던 고령의 마을 이름이었으나, 「용담정사기(龍潭精舍記)」에 따르면 경우에 따라 거주하기도 하고 우거하기도 하였으므로 그렇게 지었다고 한다. 그리고 1678년(숙종 16) 합천의 회산사(檜山祠)가 만들어지고, 1726년(영조 2)에 신도비명이 세워졌다.
단계당 권씨(丹溪堂 權氏)
나의 7대 조모이시고 산청 단계마을
순천박씨 입향조이신 단계당 권씨 할머니에 대한 글이 있어 옮겨 왔다.
이하
용담공 관련 글을 몇개 옮겨 왔다.
龍潭公의 著書 용담집(龍潭集) 소개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박이장(朴而章)의 시문집.
권1에 부(賦) 4편, 시 101수, 권2에 시 165수, 권3에 교서 1편, 소(疏) 2편, 차(箚) 2편, 계(啓) 5편, 연설(筵說) 3편, 책(策) 1편, 권4에 서(書) 11편, 서(序) 4편, 논(論) 3편, 제문 3편, 행장 1편, 권5∼7에 부록으로 연보, 증시(贈詩) 5수, 조천별장(朝天別章), 서(書), 만사 7편, 제문 2편, 행장, 유사, 신도비명, 묘지명, 봉안문, 상향축문, 청증시상언(請贈諡上言), 부청시상언(復請諡上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1591년(선조 24)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중국에 갔다 오면서 여정과 감회를 읊은 시가 상당수 있다.
소에는 1594년 일본과 화의를 체결하는 것에 반대하는 「척호남백청화소(斥湖南伯請和疏)」, 광해군 때의 폐모론을 반박한 「만언소(萬言疏)」가 있다. 차는 사직하는 내용, 당시의 학풍을 비판하면서 성균관에 학제를 세울 것을 주장한 글 등이 있다. 책은 「의국책(醫國策)」으로, 임금의 마음을 바르게 하여 조정을 바로잡는 것이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서(書)는 당대의 유명한 문신인 이원익(李元翼)·유영경(柳永慶)·정구(鄭逑)·남이공(南以恭) 등과 주고받은 것으로, 국정에 관한 내용이 많다. 서(序)에는 향음례에 관한 글이 있고, 논에는 상례에 대해 논한 글이 있다.
부록의 증시와 서는 노수신(盧守愼)·한준겸(韓浚謙)·정구 등이 저자를 위해 지은 것들이다. 조선 중기의 정치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최근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원 남명학 연구소에서 용담집을 번역 출판할 예정이라 한다.
조선중기의 시인
옥봉 백광훈의 옥봉시집에
용당공 박이장 관련 시가 있어 옮겨 왔다.
題挹濂堂(제읍렴당)
읍렴(挹濂) 박이장(朴而章)의 집 주련에 써주다
*주련:기둥이나 벽에 세로 써 붙이는 글씨
醉入橋亭落日明(취입교정낙일명) 술기운 팍 들어간 교정(橋亭)에 황혼이 태앵 솟구치는 듯
山童迎步笑欹傾(산동영보소의경) 산골짝 동자놈이 반기며 나오는데 반쯤 기우뚱한 모습이로고
從前悔學吟詩苦(종전회학음시고) 왜 배우기를 그만 뒀든가? 시 짓기 괴롭구나
每到風流不勝情(매도풍류불승정) 풍류를 할 때마다 시심이 일지 않는구나
靑山一面畫堂明(청산일면화당명) 청산을 바라보며 서당에 불 밝히고 (나서 책을 보려는데)
雨重墻花架欲傾(우중장화가욕경) 비가 거센데 화단 벽돌이 삐뚤한 걸? (온갖 잡생각이 파고든다)
醉裡不知春去盡(취리부지춘거진) 흠뻑 취한 탓에 봄이 다가는 것을 몰랐더니
黃鸝啼起舊年情(황리제기구년정) 노란 꾀꼬리 울며 지난 해 품은 정을 일깨워주네
흥건하게 늘 취하며 사는 주인장을 사랑스러운 모습으로 보며 농을 거는 시인데,
주인장을 닮은 시동조차 대낮부터 술에 취해 기우뚱한 모습에 박장대소를 뿜고
2번째 연에서는 책을 좀 보겠다고 앉은 주인장이,
화초에 가려서 보일까 말까한 화단의 담장 걱정을 잔뜩 하신다.
그러고는 풍류를 즐기러 오는 손님에게마다 뻔뻔하게 시를 부탁하는 것이다.
주련에 쓸 시를 부탁하여 터억 허니 집의 사방에 저런 시를 걸은 주인장 참으로 대범하다.
주인께선 학덕이 높고 풍류가 깊을 뿐 아니라 유머집 모으는게 취미였었지 싶다.
**挹濂堂(읍렴당) 이런 이름이나 지명을 사용한 기록은 한국/중국/일본에도 거의 없다.
<용담선생문집(龍潭先生文集)>의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 1547-1622)을 기리는
묘갈명(墓碣銘)에 보면,
[可以追陶令而挹濂翁(가이추도령이읍렴옹)]
[가히 포석정처럼 술잔이 뱅뱅 도는 것을 만들고 좋아하여
읍렴(挹濂) 옹(翁)이라 불리웠다]고 나온다.
* 이 시는 옥봉선생의 나이를 감안 할때 선생의 말년에
용담공이 계시던 합천이나 고령을 방문하여 지은 시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