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ABSOLUTE CHRONOLOGY OF THE NEO-BABYLONIAN ERA
바빌론 시대의 절대 연대기
AS EXPLAINED earlier in chapter 2, an absolute chronology is usually best established by the aid of ancient astronomical observations. Although no observations usable for dating purposes are recorded in the Bible, it was pointed out that at 2 Kings 25:2, 8 the dating of the desolation of Jerusalem to “the eleventh year of King Zedekiah,” the last king of Judah, is synchronized with “the nineteenth year of King Nebuchadnezzar,” the Babylonian desolator of the city. If the reign of Nebuchadnezzar could be fixed astronomically to our era, it would be possible to establish the B.C.E. date for the desolation of Jerusalem. In this chapter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the whole NeoBabylonian period, including the reign of Nebuchadnezzar, may be established as an absolute chronology by the aid of astronomical cuneiform documents found in Mesopotamia 2장의 앞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대 연대는 일반적으로 고대 천문 관측의 도움으로 매우 확고하게 세워질 수 있다. 성경에는 연대를 계산할 자료용으로 쓸만한 관찰 내용이 기록돼 있지는 않지만, 왕하 25:2, 8에서는 예루살렘이 멸망한 때인 유다의 마지막 왕인 '시드기야왕 11년'이 예루살렘을 멸망시킨 바빌로니아의 '느부갓네살 왕 19년'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읽을 수 있다. 느부갓네살의 통치년도를 우리 시대의 천문학으로 계산할 수 있다면, 예루살렘의 멸망이 기원전 몇년도인지 그 시기를 확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장에서는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천문 일지에 관한 설형문서의 도움으로 느부갓네살 통치를 포함한 신바빌로니아 시대 전체가 절대 연대로 확립될 수 있음을 증명할 것이다. |
The study of the Babylonian astronomical documents
바빌로니아 천문 일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astronomical cuneiform texts started more than one hundred years ago. One of the leading Assyriologists at that time was J. N. Strassmaier (1846–1920). He was a diligent copyist of the cuneiform texts that from the 1870’s onwards were being brought from Mesopotamia to the British Museum in enormous quantities. 설형문자로 된 천문일지에 대한 연구가 100여 년 전에 시작되었다. 당시 그 연구를 주도한 아시리아 학자 중 한 명은 J. N. 스트라스마이어(1846-1920년)이다. 그는 1870년대 이후 대영박물관으로 옮겨진,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엄청나게 많은 설형문자 점토판을 복사해서 부지런히 연구한 사람이었다. Strassmaier found that a great number of the texts contained astronomical data. He sent copies of these texts to his colleague J. Epping, who taught mathematics and astronomy in Falkenburg, Holland. Thus Epping (1835–1894) was to become the pioneer in the study of the Babylonian astronomical texts. After his death another of Strassmaier’s colleagues, Franz Xaver Kugler (1862– 1929), took over the work of Epping. 스트라스마이어는 문헌들의 상당수가 천문 관찰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는 네덜란드 팔켄버그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친 동료 J. 에핑에게 이 문헌들의 사본을 보냈다. 그리하여 에핑(1835–1894)은 바빌로니아 천문 문헌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가 죽은 후 스트라스마이어의 또 다른 동료인 프란츠 시버 쿠글러(1862– 1929년)가 에핑의 일을 이어받았다. Few, if any, have contributed as much to the study of the astronomical texts as Kugler. He published his results in a series of monumental works, such as Die Babylonische Mondrechnung (1901), Sternkunde and Sterndienst in Babel, Vol. I and II (1907–1924), and Von Moses bis Paulus (1922). The last two works include detailed studies of ancient chronology, in which the astronomical texts are fully developed and studied in depth.1 쿠글러만큼 천문학 문헌 연구에 기여한 사람은 드물다. 그는 그의 연구결과를 '바빌로니쉬 몬드레흐눙'(1901년), '스턴쿤데와 스턴디엔스트'와 같은 기념비적인 작품의 시리즈 1권과 2권(1907-1924), 그리고 '본 모세 비스 파울루스'에 발표했다(1922). 마지막 두 작품에는 고대 연대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연대기에 천문 문헌의 충분한 검토와 깊이 있는 연구가 담겨 있다.1 After Kugler’s death in 1929 some of the key names in the study of the Babylonian astronomy have been P. J. Schaumberger (deceased 1955), Otto Neugebauer (1899–1990), and Abraham J. Sachs (1914–1983). Many other modern scholars have contributed mu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stronomical texts, some of whom have been consulted for the following discussion. 1929년 쿠글러가 죽은 후 바빌로니아 천문학 연구를 해온 주요 학자 중 세명은 P. J. 스콤베르그 (1955년 사망), 오토 노게바우어 (1899-1990년), 그리고 아브라함 J. 삭스 (1914-1983년)였다. 그외의 많은 현대 학자들이 천문학 문헌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으며, 그들 중 일부는 이어지는 논의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
Ancient astronomy
고대 천문학
As can be deduced from the Babylonian astronomical tablets, a regular and systematic study of the sky began in the mid-eighth century B.C.E., perhaps even earlier. Trained observers were specifically employed to carry out a regular watch of the positions and movements of the sun, the moon and the planets, and to record from day to day the phenomena observed. This regular activity was performed at a number of observational sites in Mesopotamia, located in the cities of Babylon, Uruk, Nippur, Sippar, Borsippa, Cutha, and Dilbat.2 (See the accompanying map.) As a result of this activity, the Babylonian scholars at an early stage had recognized the various cycles of the sun, the moon and the five planets visible to the naked eye (Mercury, Venus, Mars, Jupiter, and Saturn), enabling them even to predict certain phenomena, such as lunar eclipses. Finally, in the Persian and Seleucid eras, they had developed a very high level of scientific and mathematical astronomy that had never been reached by any other ancient civilization.3 바빌로니아 천문 일지를 다룬 점토판을 살펴 볼 때, 별이나 행성에 대한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기원전 8세기 중반, 어쩌면 그보다 더 일찍 시작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특별히 훈련된 관찰자들을 임명하여 태양, 달, 행성의 위치와 움직임을 정기적으로 관찰하고 매일 관찰되는 현상들을 기록했다. 이 정기적인 활동은 바빌론에 위치한 메소포타미아의 지역들인, 우루크, 니푸르, 시파르, 보르시파르, 쿠타, 딜밧에서 수행되었다.2(아래의 지도를 참조하라.) 이 활동의 결과로 초기의 바빌로니아 학자들은 태양, 달, 그리고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다섯 개의 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다양한 주기를 인식하여 월식과 같은 특정한 현상까지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써, 페르시아와 셀레우키드 시대에, 그들은 다른 고대 문명에서는 결코 도달하지 못한 매우 높은 수준의 과학적이고 수학적인 천문학을 발전시켰다.3 |
Astronomical Observation Sites in Babylonia 바빌로니아의 천문 관측 지역 |
The nature of the Babylonian astronomical texts*
바빌로니아 천문 문헌의 성격*
Although astronomical cuneiform texts have been found also in the ruins of Nineveh and Uruk, the bulk of the texts—about 1,600—comes from an astronomical archive somewhere in the city of Babylon. The archive was found and emptied by local inhabitants from nearby villages, and the exact finding spot within the city is not known today. Most of the texts were obtained for the British Museum from dealers in the latter part of the nineteenth century. About 300 of the texts are concerned with scientific mathematical astronomy and belong to the last four centuries B.C.E. Most of them are ephemerides, that is, tables with calculations of the positions of the moon and the five naked-eye planets. The greater part of the remaining texts, however, about 1,300 in number, are non-mathematical and principally observational in nature. The observations date from about 750 B.C.E. to the first century of the Christian era.4 The great number of observational texts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for establishing the absolute chronology of this whole period. With respect to content, the non-mathematical texts may be subdivided into various categories. By far the largest group are the so-called astronomical “diaries. “ These record on a regular basis a large number of phenomena, including the posi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such “diaries” were kept continuously from the mid-eighth century B.C.E. onwards. The other categories of texts, which include almanacs (each recording astronomical data for one particular Babylonian year), texts with planetary observations (each giving data for one specific planet), and texts recording lunar eclipses, were apparently excerpts from the “diaries.” Thus, although only a handful of diaries from the four earliest centuries are extant, quite a number of the observations recorded in other diaries compiled in this early period have been preserved in these excerpt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all the non-mathematical texts was started several decades ago by Dr. A. J. Sachs, who devoted the last thirty years of his life to the study of these texts.5 After his death in 1983, Sachs’ work has been continued by Professor Hermann Hunger (in Vienna, Austria), who today is the leading expert on the astronomical observational texts. Both of these authorities were consulted for the following discussion. 비록 천문관측을 위해 기록된 설형문자들이 니네베와 우루크의 유적에서 발견된 것이지만, 약 1,600개의 문헌들 중 대부분은 바빌로니아 도시 어딘가에 있는 천문 일지 기록보관소에서 나온 것이다. 이 기록물은 인근 마을 주민들에 의해 발견되어 치워졌으며, 현재 도시 내 정확한 발견지가 어디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문헌은 19세기 후반 딜러들로부터 대영박물관으로 입수되었다. 약 300개의 문헌은 과학적이고 수학적 천문관측에 관한 것으로 기원전 4세기 이후의 것들이다. 대부분은 육안으로 달과 행성 5개의 위치를 계산한 표이다. 그러나 약 1,300개에 이르는나머지 문헌의 대부분은 본질적으로, 수학적이지 않고 주로 관찰에 의한 것이었다. 기원전 750년경부터 서기 1세기까지 관측된 것으로 보아, 이 시기의 절대 연대를 정립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다수의 천문 관찰 문헌이다.4 내용과 관련하여, 비수학적인 문서들도 다시 다양한 범주로 세분될 수 있다. 가장 비중이 큰 문헌은 단연코 소위 "천문 일지"라는 문헌이다. 이들은 달과 행성의 위치를 포함한 많은 현상을 정기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일지"는 기원전 8세기 중반 이후부터 계속 보관되어 왔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정된다. 책력(특히 바벨론 달력으로 기록한 천문 자료), 행성 관측을 포함한 문서(한개의 특정한 행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문서), 그리고 월식을 기록하는 문서가 포함된 범주의 문서들은 분명히 "일지"에서 발췌된 것들이다. 따라서 4세기 초반의 일지 몇 편만이 현존하고 있지만, 초기에 편찬된 다른 일지들에 기록된 많은 관측자료들이 이 발췌문들에 보존되어 왔다. 수학적 계산이 담겨 있지 않은 모든 원문에 대한 종합적인 검사가 수십년 전에 A. J. 삭스 박사에 의해 시작되었다. 삭스는 그의 생애의 마지막 30년을 이 원문에 대한 연구에 바쳤다.5 1983년 그가 사망한 후, 삭스의 연구는 오늘날 천문 관측 문헌의 주도적인 전문가인 헤르만 헝거 교수(오스트리아 빈)에 의해 계속되었다. 이 두 권위자는 모두 다음과 같은 내용애 대해 연구하였다. |
A. THE ASTRONOMICAL DIARIES
A. 천문 일지들
A “diary” usually covers the six or seven months of the first or second half of a particular Babylonian year and records, often on a day-to-day basis, the posi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in relation to certain stars and constellations, and also gives details of lunar and solar eclipses. Much additional information is added, such as meteorological events, earthquakes, market prices, and similar data. Sometimes also historical events are recorded.6 Over 2,000 years old, it is only to be expected that these clay tablets are often fragmentary. More than 1,200 fragments of astronomical diaries of various sizes have been discovered, but because of their fragmentary condition only about a third of the number are datable. Most of these cover the period from 385 to 61 B.C.E. and contain astronomical information from about 180 of these years, thus firmly establishing the chronology of this period.7 Half a dozen of the diaries are earlier. The two oldest are VAT 4956 from the sixth and BM. 32312 from the seventh centuries B.C.E. Both provide absolute dates that firmly establish the length of the Neo-Babylonian period. "일지"는 보통 특정 바빌로니아 해의 상반기 또는 하반기의 6개월 또는 7개월을 다루고, 종종 매일 특정 별과 별자리와 관련된 달과 행성의 위치를 기록하고, 월식과 일식에 대한 세부사항을 알려준다. 기상학적 사건, 지진, 시세 및 유사한 데이터와 같은 더 많은 정보가 추가된다. 때로는 역사적 사건도 기록된다.6 2000년이 넘은 점토판은 파편인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발견된 천문일지 파편은 1200개가 넘지만 손상되었기 때문에 3분의 1 정도만 번역될 수 있다. 이들 대부분은 기원전 385년에서 기원전 61년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며, 이 해들 가운데서 약 180년 동안의 천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이 시기의 연대를 확실하게 정립하고 있다.7 6개 정도의 일지들이 좀 더 고대의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가장 오래된 두개의 일지는 기원전 6세기의 VAT 4956과 기원전 7세기의 BM.32312이다. 둘 다 신바빌로니아 시대의 기간을 확실하게 정립해줄 수 있는 절대적인 연대를 제공한다. |
A-l: The astronomical diary VAT 4956
A-l: 천문 일지 VAT 4956
The most important astronomical diary for our discussion is designated VAT 4956 and is kept in the Near Eastern department (”Vorderasiatischen Abteilung”) in the Berlin Museum. This diary is dated from Nisanu 1 of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regnal year to Nisanu 1 of his thirty-eighth regnal year, recording observations from five months of his thirty-seventh year (months 1, 2, 3, 11 and 12). The most recent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the text is that of Sachs and Hunger, published in 1988.8 우리의 주제 논의에 있어 가장 중요한 천문 일지는 VAT 4956으로 명명된 것이며 베를린 박물관의 근동부(Vorderasiatischen Abteilung)에 보관되어 있다. 이 일지는 느부갓네살 제37대 통치년의 니사누 1일에서 제38대 통치년의 니사누 1일까지의 일지로, 그의 제37대 통치년도의 5개월(1, 2, 3, 11, 12개월) 동안의 관찰을 기록하고 있다. 가장 최근 번역본은 1988년 출간된 삭스와 헝거의 번역본이다.8 |
The extant datable astronomical diaries 현재 사료(史料)로 이용가능한 천문 일지 The earliest diary is from 652/51 B.C.E. Then follows VAT 4956 from 568/67 B.C.E. Most cover the period from 385 to 61 B.C.E., containing astronomical information from about 180 of these years. — The chart is reproduced from A. J. Sachs, "Babylonian observational astronomy," in F. R Hodson (ed.), The Place of Astronomy in the Ancient World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p. 47. 가장 오래된 일지는 기원전 652/51년의 것이다. 이어서 발견된 것이 기원전 568/67년의 내용이 담긴 VAT 4956이다. 대부분은 기원전 385년부터 기원전 61년까지의 기간에 적용되며, 이 중 약 180년 동안의 천문학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이 차트는 F. R 호드슨(편집자)의 <고대 천문관측의 장소>(London: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74년), 47면에서 A. J. 삭스(A. J. Sachs)가 그의 책 <바빌로니아 천문관측>에서 재현한 것이다. |
Among the many observed positions recorded on VAT 4956, there are about thirty which are so exactly described that modern astronomers can easily fix the precise dates when they were seen. By doing so they have been able to show that all these observations (of the moon and the five then known planets) must have been made during the year 568/67 B.C.E. If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regnal year was 568/67 B.C.E., then it follows that his first year must have been 604/03 B..C.E.,and his eighteenth year, during which he desolated Jerusalem, 587/86 B.C.E.9 This is the same date indicated by all the seven lines of evidence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VAT 4956에 기록된 관측된 위치들 중, 현대 천문학자들은 그들이 관측한 정확한 날짜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정확히 기술된 30여 개의 행성의 위치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이 모든 관측들이 기원전 568/67년 동안 이루어졌다 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느부갓네살의 통치 37년이 기원전 568/67년이었다면, 그의 첫 해는 기원전 604/03년 이었을 것이며, 그가 예루살렘을 멸망시킨 기원전 587/86년이 그의 통치 18년, 기원전 587/86년이었음에 틀림없다. 이것은 앞의 장에서 논의된 일곱 가지 증거로 지적된 연대와 동일한 시기이다! Could all these observations also have been made twenty years earlier, in the year 588/87 B.C.E., which according to the chronology of the Watch Tower Society’s Bible dictionary Insight on the Scriptures corresponded to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regnal year?10 The same dictionary (page 456 of Vol. 1, where VAT 4956 is obviously alluded to) acknowledges that “Modern chronologers point out that such a combination of astronomical positions would not be duplicated again in thousands of years.” 워치타워 협회의 성경 사전인 <통찰>의 연대기에 따라, 네부카드네자르의 통치 37년이 20년 빠른 기원전 588년/87년에 이 모든 관찰과 동일한 관찰이 이루어 질 수 있었을까?10 같은 사전(1권 456면에서 분명히 암시하고 있듯이 )에서 "현대 연대기학자들은 그러한 천문학적 위치들의 조합이 수천 년이 지난다 하더라도, 다시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Let us consider one example. According to this diary, on Nisanu 1 of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year the planet Saturn could be observed “in front of the Swallow,” the “Swallow” (SIM) referring to the south-west part of the constellation of the Fishes (Pisces) of the Zodiac.11 As Saturn has a revolution of c. 29.5 years, it moves through the whole Zodiac in 29.5 years. This means that it can be observed in each of the twelve constellations of the Zodiac for about 2.5 years on the average. It means also that Saturn could be seen “in front of the Swallow” 29.5 years previous to 568/67 B.C.E., that is, in 597/96 B.C.E, but certainly not 20 years earlier, in 588/87 B.C.E., the date the Watch Tower would like to assign for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regnal year. That is simply an astronomical impossibility, even in the case of this one planet. But there are five planets that figure in the diary’s astronomical observations. Add, therefore, the different revolutions of the other four planets, the positions of which are specified several times in the text, along with the positions given for the moon at various times of the year, and it becomes easily understood why such a combination of observations could not be made again in thousands of years. The observations recorded in VAT 4956 must have been made in the year 568/67 B.C.E., because they fit no other situation which occurred either thousands of years before or after that date! 이 일지에 따라 한 가지 예를 고려해 보면, 느부갓네살 37번째 해인 니사누 1일에, 토성이, 황도12궁의 물고기 자리 남서쪽을 가리키는 "제비자리 SIM(Swallow)"의 "제비" 앞에, 관측될 수 있었다. 토성은 29.5년 주기로 공전한다. 이는 평균적으로 약 2.5년 동안 12개의 별자리에서 각각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토성이 기원전 568/67년 이전으로 한번의 공전 주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기원전 597/96년에 "제비자리의 앞"에서 관측될 수 있지만, 20년 전인 기원전 588/87년을 네부카드네자르의 37년째 해로 지정하려는 것은 20년의 기간을 29.5년과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하나의 행성의 경우에도 천문학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일지에 기록된 행성은 다섯 개나 된다. 따라서 다른 4개 행성들의 다른 공전, 즉 1년 중 다양한 시기에 달에 주어진 위치와 함께 본문에 여러 번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복합적인 관측을 수천 년이 지나더라도 왜 다시 관측될 수 없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VAT 4956에 기록된 관측은 기원전 568/67년에 이루어졌음에 틀림없다. 왜냐하면 관측은 그 날짜 이전 또는 이후 수천년에 걸쳐 발생한 다른 상황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 ||
VAT 4956, now in the ”Vorderasiatisches Abteilung” in the Berlin Museum, gives detail on about 30 positions of the moon and the five then known planets for the 37th year of Nebuchadnezzar (568/67 B.C.E.), establishing that year as the most reliable absolute date in the sixth century B.C.E.—Reproduced from A. J. Sacks & H. Hunger, Astronomical Diaries and Related Texts from Babylonia, Vol. I (Wien: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88), Plate 3. Photo used courtesy of the Vorderasiatisches Museum in Berlin. 현재 베를린 박물관의 '보데라시아티스 압테이룽'에 있는 VAT 4956은 기원전 6세기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절대 날짜로 확립된 느부갓네자르 37년(기원전 568/67년)의 달과 당시 알려진 5개 행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A. J. 삭스와 H. 훈게르 공저 <천문일지와 바빌로니아 관련 문서> 1권의 내용을 재현 (Wien: Verlag der österreich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88년), 3호 판. 사진은 베를린에 있는 보데라시아티스 박물관 제공. |
1 Kugler’s results are of lasting value. Dr. Schaumberger states that Kugler “on all essential points has fixed the chronology for the last centuries before Christ, having thus performed an invaluable service to the science of history.”—P. J. Schaumberger, “Drei babylonische Planetentafeln der Seleukidenzeit,” Orientalia, Vol. 2, Nova Series (Rome, 1933), p. 99.
1 쿠글러의 결과는 지속적인 가치가 있다. 샤움베르게르 박사는 "꼭 필요한 모든 점에서 쿠글러는 기원전 수세기 동안의 연대기를 확립하여, 역사 과학에 매우 귀중한 봉사를 수행해 왔다"고 말한다.—P. J. 샤움베르게르의 저서, , 동방편, 2권, Nova Series (로마, 1933년), 99면.
2 In Assyrian times, such observations were also performed in the cities of Assur and Nineveh. The observations in Babylonia were possibly performed on top of temple-towers, ziggurats, such as the ziggurat of Etemenanki in Babylon.
2 아시리아 시대에는 앗수르와 니네베 도시에서도 그러한 관측이 행해졌다. 바빌로니아에서의 관측은 아마도 바빌로니아의 에테만키의 신전과 같은 신전의 탑 위에서 수행되었을 것이다.
3 It has often been pointed out that the Babylonian interest in the sky to a great extent was astrologically motivated. Although this is correct, Professor Otto Neugebauer points out that the main purpose of the Babylonian astronomers was not astrology, but the study of calendaric problems. (Otto Neugebauer, Astronomy and History. Selected Essays. New York: Springer-Verlag, 1983, p. 55.) For further comments on the astrological motive, see the Appendix for chapter four, section 1: “Astrology as a motive for Babylonian astronomy.” * Consideration of astronomical evidence inescapably involves much technical data. Some readers may prefer to bypass this and go to the summary at the end of this chapter. The technical data is nonetheless there for corroboration.
3 바빌로니아의 천문에 대한 관심은 점성학적으로 큰 동기가 되었다는 지적이 종종 있어왔다. 비록 이 사실이 정확하겠지만, 오토 노이바우어 교수는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의 주된 목적은 점성술이 아니라 책력 문제에 대한 연구였다고 지적한다. (오토 노이바우어, 천문학 및 역사. 채택 논문. 뉴욕: Springer-Verlag, 1983년, 55면.) 점성술적 동기에 대한 더 자세한 것은, 4장 1절 부록 "바빌로니아 천문학의 동기로서의 점성학"을 참조하라. * 천문학적인 증거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일부 독자는 이 항목을 건너뛰고 이 장의 끝에 있는 요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술적인 자료는 정확성을 확인시키기 위해 설명하였다.
4 Asger Aaboe, ‘Babylonian Mathematics, Astrology, and Astronomy,”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III: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pp. 277– 78. The observational texts may also occasionally contain descriptions of eclipses calculated in advance.
4 Asger Aaboe, '바빌로니아 수학, 점성술, 천문학' 케임브리지 고대사, III권:2(캠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1년), 277–78면. 천문관측 문서에는 미리 계산된 월식에 대한 설명이 이따금 포함될 수 있다.
5 The various kinds of texts were classified by A. J. Sachs in the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Vol. 2 (1948), pp. 271–90. In the work Late Babylonian Astronomical and Related Texts (Providence, Rhode Island: Brown University Press, 1955), Sachs presents an extensive catalogue of the astronomical, astrological, and mathematical cuneiform texts, most of which had been copied by T. G. Pinches and J. N. Strassmaie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catalogue lists 1520 astronomical texts, but many more have been discovered since.
5 A. J. 삭스가 <설형문자 연구>, 2권(1948년), 271~90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분류하였다. 후기 바빌로니아 천문 및 관련 문헌에서 삭스는 천문학, 점성학, 수학 설형문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목록을 제시하는데, 이들 대부분은 19세기 말 T. G. 핀치와 J. N. 스트라스마이어에 의해 필사되었다. 이 목록에는 1520개의 천문관측에 관한 문헌이 나열되어 있으며, 그 이후 더 많은 문헌이 발견되었다.
6 The scribes evidently kept running records of their day-to-day observations, as may be seen from smaller tablets that cover much shorter periods, sometimes only a few days. From these records the longer diaries were compiled.—A. J. Sachs & H. Hunger, Astronomical Diaries and Related Texts from Babylonia, Vol. I (Wien: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88), p. 12.
6 필자들은 훨씬 짧은 기간, 때로는 며칠 밖에 망라하지 않는 작은 판에서 볼 수 있듯이 일상 관찰에 대한 기록을 계속 실행했다. 이 기록들로부터 더 긴 일지가 편찬되었다.—A. J. 삭스 & H. 헝거의 <바빌로니아의 천문학 일기 및 관련 문헌>, 1권(Wien: Verlag der O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88년)12면.
7 Otto Neugebauer, for example, explains: “Since planetary and lunar data of such variety and abundance define the date of a text with absolute accuracy—lunar positions with respect to fixed stars do not even allow 24 hours of uncertainty which is otherwise involved in lunar dates—we have here records of Seleucid history [312–64 B .C.E.] which are far more reliable than any other historical source material at our disposal.”—Orientalistische Literaturzeitung, Vol. 52 (1957), p. 133.
7 예를 들면, 오토 노이게바워는 이렇게 말했다: "다양하고 풍부한 행성 및 달에 관한 기록은 그것이 기록된 문서의 시기를 매우 정확하게 정의하기 때문에, 일정한 별과 관련되어, 음력을 수반하는달의 위치는 하루조차도 불확실성을 허용하지 않는다. —여기 셀레우코스 왕조의 역사에 대한 기록[기원전 312–64년]이 있는데, 이 기록은 우리의 처분 아래 있는 다른 역사적 출처 자료보다 훨씬 더 신뢰할 수 있다."—동양주의 문학사, 제52권 (1957), 133면.
8 Sachs—Hunger, op.cit. (1988), pp. 46–53.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text, which also includes an extensive commentary, is that of P. V. Neugebauer and Ernst F. Weidner, “Ein astronomischer Beobachtungstext aus dem 37. Jahre Nebukadnezars II. (–567/66),” in Berichte über die Verhandlungen der Königl. Sachsis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Leipzig: Philologisch-Historische Klasse, Band 67:2, 1915, pp. 29–89.
8 삭스—헝거의 앞서 인용한 책 (1988년), 46–53면. 광범위한 주석도 포함된 본문의 첫 번역본은 P. V. Neugebauer와 Ernst F. 바이드네르이다, "Ein Astronomischer Beobachtungstaus dem 37. 야흐레 네부카드네자르 2세 (–567/66), " in Berichte über die Verhandlungen der Königl. Sachsis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Leipzig: 철학자-역사학자 클라세, 밴드 67:2, 1915년, 29–89면.
9 The diary clearly states that the observations were made during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year. The text opens with the words: “Year 37 of Nebukadnezar, king of Babylon.” The latest date, given close to the end of the text, is: “Year 38 of Nebukadnezar, month I, the 1st.”—Sachs–Hunger, op. cit., pp. 47, 53.
9 이 일지는 그 관측이 느부갓네살 37년째 해에 이루어졌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본문은 "바빌로니아의 왕 느부카드네자르 37년"이라는 말과 함께 시작된다. 본문의 마지막 부분에 가까운 가장 최근의 날짜는 "네부카드네자르의 38년, 첫 번째 달 초하루이다.—삭스-헝거의 앞서 인용한 책 47, 53면.
10 Insight on the Scriptures, Vol. 2 (Brooklyn, New York: Watch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1988), p. 481, under the subheading “Takes Tyre.”
10 성경에 대한 <통찰>, 제2권 (뉴욕 브루클린: 워치타워 성서 및 책자 협회, 1988년), 481면, 부제 "두로를 침" 아래
11 Sachs-Hunger, op. cit., pp. 46–49. The expression “in front of” in the text refers to the daily westward rotation of the celestial sphere and means “to the west of”. (Ibid., p.22) For a discussion of the Babylonian names of the constellations, see Bartel L. van der Waerden, Science Awakening, Vol.II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pp. 71–74, 97.
11 삭스-헝거의 앞서 인용한 책 46–49면. 문서에서 "앞"이라는 표현은 천구가 매일 서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의 서쪽으로"라는 뜻이다. (같은 책 22면) 바빌로니아 별자리의 이름에 대한 논의는 바텔 L. 반데르 베르덴, 과학 각성, 2권을 참조한다. (뉴욕: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74년), 71-74, 97면.
첫댓글 천문 관측의 이해를 위해서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황도 12자리를 참고 하였습니다. (그림 네이버 제공)
토성의 공전 주기가 29.5년이므로 평균 2,.5년 마다 황도 12궁 중 하나를 관측할 수 있게 됩니다. 동일한 물고기 자리의 위치에 올려면 29.5년이 경과해야 합니다. 워치타워는 이런 사실을 무시하고 20년 전에 같은 위치가 존재한다는 겁니다. 하나의 행성만도 그럴찐데 5개의 행성이 동시에 같은 위치에서 관측이 되려면 전후 수천년이 걸리더라도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천문일지는 앞서 살핀 증거와 더불어 기원전 587년이 예루살렘 멸망의 해임을 확고히 증명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