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학년도(현행) | 2021학년도(변경) | ||
평가 영역 | 평가내용 | 평가 영역 | 평가내용 |
청음 | 8마디의 단성가락 1개 듣고 적기 | 청음 | 8마디의 단선율 듣고 적기 (음원파일 활용) |
가창 | 2015개정 중학교 교과서 수록곡 중 추첨을 통하여 서양악곡 1곡, 국악곡 1곡을 선택하여 노래 부르기 ※ 서양악곡 – 피아노 반주, 국악곡 – 장구 반주 | 가창 | 2015개정 중‧고등학교 교과서 수록곡 중 추첨을 통하여 서양악곡 1곡, 국악곡 1곡을 선택하여 노래 부르기 ※ 서양악곡 – 피아노 반주, 국악곡 – 장구 반주 |
기악 | 피아노와 장구를 제외한 악기(국‧양악기) 5분 이내 연주, 악기 및 연주곡 자유 선택 ※ 반주자 동반 가능하나 반주는 평가영역에 포함되지 않음 | 기악 | 피아노와 장구를 제외한 악기(국‧양악기) 5분 이내 연주, 악기 및 연주곡 자유 선택 ※ 반주자 동반 가능하나 반주는 평가영역에 포함되지 않음 (단, 국악 병주 금지) |
경기도
수업실연 10 점 ➡ 20 점
실기평가 40 점 ➡ 30 점
인천 시행변경
2020학년도(현행) | 2021학년도(변경) | ||
평가 영역 | 평가내용 | 평가 영역 | 평가내용 |
| ○ 공통 - 청음 - 피아노 반주하며 노래부르기 - 장구 반주하며 민요부르기 - 피아노연주(이조) | 각10점 | ○ 공통 - 청음 - 피아노 반주하며 노래부르기 - 장구 반주하며 민요부르기 |
부산 시행변경
종 목 | 세 부 종 목 | |
현 행(2020학년도) | 변 경(2021학년도) | |
청 음 (5점) | 청음(단선율 8마디, 3문제) - 음원파일 활용 - 시험시간: 30분 | 동일 |
국악기 실기 (5점) | 국악기 연주(무반주, 암보) - 소금, 대금, 피리, 단소, 해금, 가야금, 거문고, 아쟁 중 택 1 - 국악기 본인 지참 ※ 소금, 단소는 개량 악기 사용 금지 - 연주시간 3분 이내 | 동일 |
피아노 반주와 가창 (12점) | 자신의 피아노 반주로 노래부르기 - 반주악보 없이 코드가 명시된 가락악보(제시) 중 응시자 개별 추첨으로 선택한 1곡을 피아노 반주하며 노래부르기(코드 변경 가능)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곡 | 동일 |
장구 반주와 민요창 (8점) | 자신의 장구 반주로 민요부르기(암보)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악보로 수록된 장단이 다른 민요 2곡 - 장구 및 장구채는 제공 (단, 장구채는 본인 지참 가능) - 연주시간 3분 이내 | 자신의 장구 반주로 민요부르기 - 제시된 민요곡 중 응시자 개별 추첨으로 선택한 1곡을 장구 반주하며 노래부르기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악보로 수록된 민요곡 - 장구 및 장구채는 제공 (단, 장구채는 본인 지참 가능) |
대구 2차 시험 배점 변경
수업실연 20 점 ➡ 20 점
실기평가 30 점 ➡ 40 점
교직적성 심층면접 50 점 ➡ 40 점
충북 시행변경
교직적성 심층면접
구분 | 내 용 | 2020학년도 | 2021학년도 |
출제 | 출제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평가원 + 자체출제 |
문항유형 및 문항수 | 구상 3, 즉답 1 | 구상 3, 즉답 1 + 즉답1(자체출제) | |
평가영역 | 문제해결능력 교직소명의식 가치관 및 판단 능력, 인성 및 태도 | 문제해결능력 교직소명의식 + 충북교육정책의 이해 가치관 및 판단 능력, 인성 및 태도 | |
시험 시간 | 구상시간 평가시간 | 10분 10분 | 15분 (5분 추가) 15분 (5분 추가) |
제주 시행변경
변 경 전(2020학년도 임용시험) | 변 경 후(2021학년도 임용시험) |
시창, 청음, 피아노 반주하며 노래 부르기, 장구 치며 민요 부르기 | 청음, 피아노 반주하며 노래 부르기, 장구 치며 민요 부르기 |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폐지, 수업실연 30점 배점으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