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과제빵 명장 권상범씨가 폐점을 하루 앞둔 30일 서울 동교동 ‘리치몬드 과자점’에서 제빵사 옷을 입고 매장에 빵을 진열하고 있다. 이곳은 그가 1983년부터 30년째 운영해온 곳이다. 제과부문명장의 영예도, 제과기술학원 설립도 모두 이곳을 터전으로 이뤄냈다. 권씨는 사진 촬영 도중 내내 아쉬운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김태성 기자] |
30년간 서울 홍익대 앞을 지켜온 ‘리치몬드 과자점’이 31일자로 문을 닫는다. 슈크림과 팥빙수로 유명하며 대한민국에 8명뿐인 제과제빵 명장 권상범(67) 파티시에가 운영하는 곳이다. 건물주가 최근 가게를 비워달라고 했다. 롯데그룹 계열사 앤제리너스 커피가 직영점을 내기로 이미 계약했다. 30일 권 명장은 제빵사 복장을 입고 홍대점 손님들에게 고별 인사를 했다. 일생 ‘빵 공부’를 한다는 그의 인생 이야기를 들었다.
‘세상에 이렇게 맛있는 것도 있구나.’
앙꼬빵 한 조각이 입 안에서 녹던 순간이 아직도 생생하다. 내 나이 열다섯, 새로운 세계를 맛보았다. 경북 의성에서 외삼촌이 빵가마 하나 들여놓고 하던 작은 다과점 주방에서였다. 나는 1945년 경북 봉화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가 삯바느질로 나와 두 여동생을 키우셨다. 고픈 배를 안고 풀뿌리를 씹으며 다짐했다. 기술을 배워 자식이 태어나면 가난이 아닌 기술을 물려주겠노라고.
처음 맛본 빵은 ‘구원’이었다. 여기에 인생을 걸기로 했다. 어차피 중학교에 진학할 형편도 못됐다. 의성과 대구의 제과점에서 기술을 배우다 64년 19세 때 단돈 2000원을 들고 홀로 상경했다. 온갖 구박을 받아가며 기술을 배웠고, 스무 살에 풍년제과에 취직했다. 오븐 곁에서 하루 3~4시간 칼잠을 자며 빵만 연구한 끝에 27세에 나폴레옹 과자점 공장장이 됐다.
|
리치몬드 과자점의 외부 모습. [김태성 기자] |
83년 ‘리치몬드 과자점 홍대점’이 탄생했다. 상호는 스위스의 제과기술학원 이름에서 따왔다. 지하철 홍대역이 개통되기도 전의 일이다. 30년간 나의 터전이었던 동교동 162-16번지. 제과부문 명장, 한국 최초의 프랑스요리아카데미 자문위원 …. 모두 이곳을 통해 온 복이다. ‘리치몬드 제과기술학원’ 설립의 기쁨도 잊을 수 없다. 제빵 기술을 어깨 너머로 너무 힘들게 배워서 내 기술은 후배들에게 다 공개하려고 차린 학원이다. 지금까지 400명이 넘는 제빵기술자를 배출했다.
‘그래. 수도꼭지를 여기에 놔달라고 말했었지.’ 오늘 아침 가게 구석구석을 둘러보며 눈으로 작별인사를 했다. 우리는 건물을 지을 때부터 땅 주인과 함께했다.
지난해 4월 건물주로부터 ‘내용증명’이 왔다. 1월 31일로 계약이 완료되니 가게를 비우라는 통보였다. 가슴이 내려앉았다. 5년 전 재계약 때도 프랜차이즈 대기업의 빵집에 자리를 내줄 뻔한 걸 보증금과 월세를 두 배씩 올려주고 지켜냈다. 손이 떨렸지만 제빵인의 자존심 때문이었다. 이번에는 힘에 부쳐 어쩔 수 없었다.
마음을 다쳐 한동안 아팠다. 신장과 장에 탈이 나 병원 중환자실 신세도 졌다. 하지만 리치몬드 성산·ECC점과 제과학원을 생각하며 다시 힘내기로 했다. 홍대점 폐점을 안타까워하는 성원도 위로가 됐다. 리치몬드에서 선 봐서 결혼했다는 부부, 학생 때 먹은 리치몬드 빵을 결혼 후 임신해서 챙겨 먹었다는 여성 고객…. 뻥 뚫렸던 가슴이 조금씩 채워졌다.
백화점 입점, 프랜차이즈 사업 제안을 숱하게 거절해 왔다. “빵 만드는 노동자가 되면 안 된다”는 신조 때문이다. 남이 정한 품목을 남이 시키는 대로 만들면 미래가 없다. ‘아픈 빵’ 골라내고 품질 책임지는 일도 못하게 된다. 입버릇처럼 말한다. “내가 누군지를 알아야 해.” 나는 빵 만드는 사람이고, 이것은 하늘이 주신 직업이다. 이 한 가지만 열심히 하면 된다고 믿었고, 가르쳐왔다. 내 죽을 때까지 할 거다. 리치몬드는 살아남아야 한다.
심서현 기자
마음의 여유로움 ....| ┖ 단계2 초보탈출
날마다 좋은날 2010.07.18. 22:46 http://cafe.daum.net/webucs/8Hj0/337
빛명상을 통한 마음의 여유를 찾고 있습니다.
보일듯 보이지 않는 빛의 체험이 경이로움 그 자체였습니다.
느끼고 받는 빛 만큼 나아닌 주위사람들에게 나눌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삶의 의미를 찾고 삶의 열정을 느끼는 빛 명상입니다.
열린 마음으로 온 가슴으로 빛을 받도록 하겠습니다.
등업 부탁드려요~| ┖ 단계2 초보탈출
백영숙 2011.01.10. 19:02 http://cafe.daum.net/webucs/8Hj0/1349
안녕하세요?
올해부터 새로운 인생에 도전하고픈 평범한 주부입니다~
빛명상으로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고 싶습니다.
가입인사 했구요..
인빛시작하기 글 다 읽고 마침 아들이 자고 있길래
한번 해보았습니다..
좋은 마음을 가지고 하는 명상은 마음을 평온하게 하는것 같습니다..
예전에 읽었던 책인데..
호오포노포노책에도 이런 비슷한 내용이 있었습니다.
감사하는 마음.. 사랑하는 마음... 모든걸 변하게 한다지요..
어려움을 쉽게 풀어나간다| ┖ 빛명상하면은?
윤경애(빛바라기) 2011.11.22. 20:54 http://cafe.daum.net/webucs/8HiT/1446
며칠전 좋지않은 꿈(?)에 시달렸습니다.
그래서 더욱더 몸과 마음이 조심스러워지고 평정심을 잃지 않게 하기 위하여 스스로 마음을 자제하고 빛마음이 되려고 애써 봅니다.
그것이 무엇인지 오늘 생활속에서 발견하게 되었고 최대한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봅니다.
빛과 함께하기에 나쁜 일이 좋은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이 느껴집니다.
늘 함께해주시는 우주마음에 감사드립니다.
희망은 잠들지 않는 꿈 - 규현
나 외로워도 되 널 생각할 땐
미소가 나의 얼굴에 번져
나 힘들어도 되 니가 행복할 땐
사랑이 내 맘 가득히 채워
오늘도 난 거친 세상속에 살지만
힘들어도 눈감으면 니 모습뿐
아직도 귓가에 들려오는 꿈들이
나의 곁에서 널 향해 가고 있잖아
내 삶이 하루하루 꿈을 꾸는 것처럼
너와 함께 마주보며 사랑할 수 있다면
다시 일어설 거야
나에게 소중했던 기억속의 행복들
힘든 시간 속에서도 더욱 따스했던
희망은 내겐 잠들지 않는 꿈
늘 나의 곁에서 그림자처럼
조용히 너는 내게로 와서
나 아파하는지 매일 외로운지
그리움으로 너는 내게 다녀가
세상이 날 울게 해도 나는 괜찮아
항상 니가 나의 곁에 있으니까
먼지처럼 추억이 변해서 떠날까
그저 웃으며 마음을 달래어 봐도
내 삶이 하루하루 꿈을 꾸는 것처럼
너와 함께 마주보며 사랑할 수 있다면
다시 일어설 거야
나에게 소중했던 기억속의 행복들
힘든 시간 속에서도 더욱 따스했던
희망은 내겐 잠들지 않는 꿈
수없이 넘어져 비틀대도
나는 이렇게 서 있잖아
내 맘 하나뿐인데
힘들 때면 니가 이렇게 힘이 돼 줄래
너를 향해 영원히
이렇게 상처 속에 슬픔들을 삼킨 채
미소 짓는 내 모습을 너에게 보여 줄게
이제는 아프지 않아
언제나 너와 함께 이루고픈 꿈 안고
갈 수 없던 저편에서 너를 불러볼께
내 마음 다해 사랑하는 너를
가사 출처 : Daum뮤직
첫댓글 안타까운 사연이 아닐수 없습니다. 훌륭하신 생각을 가지고 계신 제빵명장님이 힘든 역경을 이겨내시고 일어서시기를 기원합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윤진희님 많은 분들이 빛과함께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힘차게 전진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기를 기원해봅니다.
권상범 제빵 명장.....
"나는 빵 만드는 사람이고, 이것은 하늘이 주신 직업이다. 이 한 가지만 열심히 하면 된다고 믿었고, 가르쳐왔다."
참 한가지 신념을 가지고 피나는 노력의 성과입니다. 그 이름 그 빵 영원할 것 입니다.
윤진희님 길잡이가 될 글 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빛viit과 함께 행복한 시간 되세요.
저희 사무실에서 가까워 맛있는 빵이 먹고 싶을땐 쉽게 갈 수 있었는데......
마음이 뭉클하네요. 이제는 후배양성에 힘쓰시며 여유로운 마음으로 노년을 보내시는것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동안 열심히 달려 오셨으니까요...윤진희님 좋은 음악과 함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오후 되세요^^*
피나는 노력으로 이룬 제빵의 명장 권상범님 ,,,빛과함께 하는 행복한 삶을 바래봅니다. 윤진희님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마음아픈 현실입니다. 권상범제빵명장님, 힘내세요. 그리고 많은 후진을 길러내시고 꿋꿋한 마음으로 걸어가세요. 마음으로 응원합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빛과 함께 늘 행복하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