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스토리텔링 벽운한자 원문보기 글쓴이: 벽운
* 도둑.도적.강도라는 개념 / 盜賊(도적)
盜(도둑 도) = 氵欠 (침 연) + 皿(그릇 명) → (남의) 밥그릇에(皿) 군침을( 氵欠 ) 흘리는, 날도둑놈(盜) * 남의 음식에 침 바르는, 날강도 * 남의 물건을 탐내는, 도둑
强盜(강도) 竊盜(절도) 盜癖(도벽) 賊(도둑 적) = 貝(패물 / 재물) + 戎(오랑캐.되 융) → 남의 재물을(貝) 빼앗아 가는 오랑캐(戎), 산적들(賊)
盜賊(도적) 山賊(산적) 海賊(해적)
* 중국은 변방의 모든 나라를 오랑캐라 칭하였다.
東 → 夷(이) 西 → 戎(융) 南 → 蠻(만) 北 → 狄(적) (동이 / 서융 / 남만 / 북적)
* 氵欠 ← 涎(침 연)의 본자 氵欠(침 연) = 氵(水 / 물 수) + 欠 (빠질 흠) → 입 속에서 빠져나오는(欠) 침( 氵)
* 羨(부러워할 선) → (잘 키운 남의) 양을(羊) 두고 군침을( 氵欠) 흘리다. / 부러워하다(羨) / 羨望(선망)하다 / 羨望(선망)의 對象(대상)
涎(침 연) = 氵(삼수변 / 액체) + 延 (늘릴.끌 연) → 입에서 죽 늘어지는(延) 액체( 氵) / 涎沫(연말) ; 침과 거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