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의 언어에 대하여
Ⅴ. 고구려말의 어휘와 특징
지금까지의 논의로부터 복원해 낼 수 있었던 고구려말의 어휘 56개를 분석한 순서에 맞추어 한눈에 볼 수 있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표기 발음 뜻 백제, 신라말 고려어 중세국어 현대국어
-------------------------------------------------------------
達 tara 山, 高 珍阿, 梁, 等良 大 -(附), ㅎ(地) 양달, 다락
忽 kuru 城 忽, 屈, 骨 골ㅎ(洞, 州) 골, 고을
加尸 kara 犁 把敢大 갈-(耕), 가래 갈-, 가래
加支 kati 菁→茄 가디(茄) 가지
押, 岬 kusi 嶽, 串 菅, 古尸, 岬, 串 古尸 곶(串), 골(菅), 곶, 봉곳,
加火 kap r 中(←唐) 噴 가 (中) 가운데
加兮阿 kakia 連 (닛-(連)) (잇-)
甘彌 kamam i 鷲 鷲 黑鷹 검은 매
甲, 甲比 kapa 穴 (구무) (구멍)
皆(次) k si 王 居西, 居瑟,吉支 항것(主), 긔 (王)
伯 pa(ki) 逢 보-(見) 보-
心 kasi 居尸 ≠心音 가 가슴
ka (광(倉庫))
呑, 旦 t r 谷
木根, 斬 p r ki 根 블휘(根) 뿌리
木根, 斬 p r ki 斬 버히-(斬) 베-
古斯 kusi(ri) 玉 區戌 구슬(玉) 구슬
馬, 勿, 買 m r /m r /m i 水, 川 勿, 買 沒, 悶 믈(水) 물
骨尸 kurusi 朽 곯-(膿) 곯-, 곪-
內, 奴, 惱 na/nu 壤 나라(國), 누리(世) 나라, 누리
骨衣 kut (r ) 荒 居柒 거츨-(荒) 거칠-
功木 kumuku 熊 固麻, 熊只, 甘蓋 고마(熊), 곰 곰
滅烏 m raka 駒 야지(駒) 망아지
烏 aka 幼, 少 -아지 –아지
滅 m r 馬 末 (馬) 말
屈火 kup re 曲 屈阿火, 求佛 굽-(曲) 굽-
別, 平吏 p r 平原 夫里, 火, 伐 벌(野) 벌, 벌판
斤 n r si (나란하-)
今勿 k m r 黑 今勿 검-(黑) 검-
乃勿 nam r 那勿 납(鉛) 납
內米 num r 池
吐 taka 堤 吐 둑(堤), 언턱 둑, 언덕
鹽 sirama 冬 (시리-)
買尸 m iri 蒜 마 (蒜) 마늘
巴衣, 波兮 pak r /paki 巖 바회(巖) 바위
斤尸 k r 文 乞, 根 글(文) 글
伐力 p r k 綠 噴 파라-(綠), 프르- 파랗-, 푸르-
夫斯, 扶蘇 pasi/pasu 松 봇(樺)
於斯 n r si 斧 날ㅎ 날ㅎ(斤, 刃) 날, 칼날
於 n r 위치자리토씨 /늘
沙伏, 沙非 sap (r k ) 赤 所比 質背 싯븕-(赤), 새배(曉) 붉-, 새벽
沙熱 sanara 淸 사 -(凉) 서늘하-
伊 i 맺음법씨끝 –이 -이
密(三) miri 龍(←玄) 密, 推, 彌知, 三 米立 미르(龍)
述 suru 車 車衣 술위(車) 수레
述, suru 上 수리(端午) 수릿날
首泥, 述 sun r 峯 수늙(嶺)
安市, 安十 aras 丸 安良, 阿乙 알ㅎ(丸, 卵) 알
鳥斯含 tusik m 兎 吐吉 톳기(兎) 토끼
於支 n r ki 翼 개(翼) 날개
淵, 於乙 ri 泉 烏沒, 五悶 우믈(井) 우물
肖巴 supa 酒(←豊) 述, 舒發, 舒弗 , 數本 수울(酒) 술
波旦, 波豊 pat r /pat r 海 波珍 把剌 바 , 바다(海) 바다
於斯 si 橫 엇-(橫) 엇-
金, 鹽 siru 休 쉬-(休) 쉬-
釗, 斯由 siru 金, 鐵 舍輪, 省良, 實於 歲, 遂 쇠(鐵) 쇠, 시루(熟鐵)
----------------------------------------------------------------
이름씨 40 움직씨 5 그림씨 7 기타 4 합계 56
-----------------------------------------------------------------
분석된 고구려말 어휘 56개 중에서 중세국어까지 명확하게 그 연관을 찾을 수 있는 자료는 49개, 명확하지 않거나 이어지지 않는다고 판단된 자료는 7개로 나타났다. 또한 고구려말 표기자료가 백제 및 신라말 자료에도 나타나고 있음이 명확한 자료의 수는 56개 중 17개, 백제와 신라말 자료에 없는 것으로 중세 및 현대국어에 이어지고 있는 어휘가 32개로 나타났다. 신라말을 계승한 것이 중세국어라는 견지에서, 중세국어와 고구려말의 이 같은 일치는 신라말과 고구려말의 단일성을 확증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가 된다.
특히 기존의 논의에서 해결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하여, 새로운 성과를 얻은 자료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鷲:甘彌'의 대응을 추출해 내고 다시 '鷲'의 중세국어 새김 '黑鷹'을 찾아내어 그것이 '검은 매'의 고구려말 /kamam i/임을 증명하였다. 또한 '甘彌'의 고구려한자음을 추적한 결과, 그것이 풀이씨 줄기+임자씨의 합성임을 밝히고 고구려말에서 그러한 합성이 통어적이었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② '心:居尸'의 대응으로부터 '心'의 고구려말 새김이 신라말 ' '과 달리 /kasi/였음을 한자음의 분석을 통해 밝혔으며, 중세국어의 '가 (胸)'과 연관되는 낱말로 해석하였다.
③ '木根:斬'의 대응을 추출하고 두 표기가 동일한 어휘의 다른표기일 것이라는 관점에서 'p r ki'를 재구해 내었으며, 이는 중세국어 '블휘(根)'와 '버히-(斬)'에 이어지는 어휘임을 음운변천의 과정을 도출하여 증명하였다.
④ '朽:骨尸'의 대응에서 '骨尸'가 고구려말 /kurusi/를 표기한 것임을 밝혀내고, 중세국어 '곯-(膿)'에 이어지는 어휘로 해석하였다.
⑤ '荒:骨衣'의 대응에서 고구려말 /kut r /를 해독하고, 신라말 자료 '居柒'과의 비교를 통하여 고구려말이 입천장소리되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⑥ '駒:滅烏'의 대응에서 고구려말 /m raka/를 해독해 내고, 중세국어 ' 야지(駒)'가 ' +아지'의 합성어라는 사실로부터 고구려말의 '작음'을 뜻하는 뒷가지 '烏/aka/'를 밝혀내었다.
⑦ '斧:於斯'에서 '於斯'의 '於'는 훈차자임을 밝히고, 중세국어 새김으로부터 '於'의 고대국어 새김 /n r /를 재구하여 '於斯'가 고구려말 /n r si/의 표기임을 밝혔다. 또한 중세국어 '날ㅎ(刃)'의 의미를 추적하여, 이 낱말이 고대에는 '날붙이'를 뜻하는 두루이름씨였으며, 그것이 고구려말에 /n r si/로 표기되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⑧ '丸:安市'의 대응으 로부터 '丸'에 해당하는 고구려말 /aras /를 한자음과 차자표기자료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복원해 내고, 중세국어 '알ㅎ'에 이어지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⑨ '兎:烏斯含'에서 '烏'는 '鳥'를 잘못 적은 것임을 문헌을 통해 고증하고, 한자음의 분석으로부터 '兎'를 뜻하는 고구려말 /tusik m /를 재구하여, 그것이 중세국어 '톳기'에 이어지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Ⅵ. 맺는 글
지금까지 고구려의 언어에 대한 문제들을 논의하고, 이를 기록한 차자표기자료 중 [삼국사기] 권35, 37의 고구려지명 자료 40건을 선정하여 전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이 논문의 성과라고 생각되는 것을 요약하고 앞으로의 연구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맺고자 한다.
① 분석한 대부분의 어휘에서 고구려말은 낱말의 음절 수가 중세국어에서보다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대국어의 전반적인 특성에도 합치되는 사실로써, 고구려말은 다음절어 구조를 가졌던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고구려말의 풀이씨 줄기는 중세국어 및 현대국어에서와 달리 일정하게 자립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고려어의 자료에서도 확인되고 있는데, 이로써 우리말은 원래 풀이씨 혼자만으로도 자립하여 쓰일 수 있던 것이 고대국어에서부터 점차 씨끝이 발달하여 오늘에 이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③ 고구려말의 어휘자료에 합성어와 파생어가 많이 발견되는 사실은 고구려말에서 낱말의 조어력이 매우 풍부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④ 고구려말에서 발견되는 낱말 끝의 /s/, /k/가 중세국어의 'ㅎ'끝소리의 원형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중세국어에서 'ㅎ'을 끝소리에 가지는 임자씨들의 원형이 고대국어의 /s/, /k/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실을 확증하여 주는 근거라 할 수 있다.
⑤ 고구려말의 표기자료에는 백제 및 신라말 자료에 나타나지 않고 중세국어에 이어지는 어휘가 상당수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찾아낸 32개 어휘는 고구려말이 가지는 고대한국어로서의 단일성을 확증함과 동시에, 중세국어 어휘의 원형을 복원하는 데 있어서 실로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고대의 언어에 대한 관심은 언어학은 물론 역사학과 고고학 및 인류학에서도 지대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의 성과에만 기대어 국어사를 기술할 수는 없는 것처럼, 고대국어에 대한 기술이 언어학의 기반 위에서 철저하게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는다면 이를 섣불리 역사학의 논의자료로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인접 학문과의 공조와 협력은 지속되어야 하지만, 각 분야의 전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만이 종합적인 고대문화의 인식이 가능할 것이다.
고구려의 언어에 대해서 그 동안의 학문적 업적은 사실상 역사학자들의 지명 고증으로부터 시작되어, 80년대에 이르러 거의 멈추어졌다고 보아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것은 전적으로 언어학의 책임이다. 자료의 빈궁과 복잡성 등을 이유로 많은 학자들의 연구 대상에서 회피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제 이러한 안일과 답보를 극복하고 이 방면에 대한 보다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 참 고 문 헌 ◇
『삼국사기』(강무학 교열) 청화출판사(1985)
『삼국사기』(신호열 역해) 동서문화사(1978)
『증수보주삼국사기』(조병순) 성암고서박물관(1984)
『원문삼국사기』(이병도) 을유문화사(1993)
『삼국유사』(최남선 교열) 삼중당(1946)
『삼국사절요』아세아문화사(1973) 영인본
『이십오사 보편』『관자』『설원』『논형』『십삼경 주소』등의 원문입력파일(인터넷)
강길운. 1993.『국어사정설』형설출판사
강신항. 1980.『계림유사 [고려방언]연구』성균관대 출판부
______. 1992.『국어학사』보성문화사
고영근 편. 1995.『국어학연구사 -흐름과 동향-』학연사국립국어연구원 편. 1998.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고대 국어-』
권인한. 1995.『조선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서울대 박사학위논문
______. 1996.「고대국어 한자음 연구의 가능성 모색」《울산어문논집》11. 울산대
김무림. 1992.「고구려 한자음 고찰 (1)」《홍익어문》10·11합본. 홍익대
______. 1998.「고대국어 음운」《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국립국어연구원
김방한. 1976.「한국어 계통론 연구의 문제점」《언어학》1.
______. 1983.『한국어의 계통』민음사
김수경. 1989.『세나라시기 언어력사에 관한 남조선학계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평양출판사(북한)
김승곤. 1984.『한국어의 기원』건국대출판부
______. 1992.『국어 토씨 연구』서광학술자료사
김완진. 1971.『국어음운체계의 연구』일조각
김형규. 1949.「삼국사기 지명고」《진단학보》16. 진단학회
______. 1975.『국어사개요』일조각
김병제. 1984.『조선어학사』과학.백과사전출판사(북한)
김종훈. 1983.『한국고유한자연구』집문당
남광우. 1997.『교학 고어사전』교학사
남풍현. 1981.『차자표기법 연구』단국대출판부
도수희. 1984.『백제어 연구 1』홍문각
______. 1985.「백제어의 '買·勿'에 대하여」《우운 박병채 박사 환력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______. 1999.「고대국어의 음운변화에 대하여」《한글》244. 한글학회류 렬. 1990.『조선말력사(1)』사회과학출판사(북한)
리득춘. 1992.『한조언어문자관계사』서광학술자료사(연변)
______. 1993.「차자표기연구와 중국음운학」《한국문화》14. 서울대 출판부
박병채. 1966.「향가표기의 원류적 고찰」《국어국문학》32. 국어국문학회
______. 1968.「고대삼국의 지명어휘고」《백산학보》5. 백산학회
______. 1971.『고대국어의 연구』고려대 출판부
손명기. 1992.「고구려 한자음의 모음연구」《대전어문학》9. 대전대
______. 1993.『고구려어 어휘 연구』대전대 박사학위논문
송 민. 1966.「고구려어의 apocope에 대하여」《성심어문논집》1
신태현. 1959.『삼국사기 지리지의 연구』우종사
양주동. 1942.『고가 연구』 일조각.
유창균. 1975.「고구려 인명표기에 나타난 용자법의 검토」《동양학》5. 단국대
______. 1980.『한국 고대 한자음의 연구(1)』 계명대 출판부
______. 1983.『한국 고대 한자음의 연구(2)』 계명대 출판부
______. 1991.『삼국시대의 한자음』대우학술총서. 민음사
유창돈. 1964.『이조어사전』연세대학교 출판부
이근수. 1982.「고구려어와 신라어는 다른 언어인가」《한글》177. 한글학회
이기문. 1968.「고구려의 언어와 그 특징」《백산학보》4. 백산학회
______. 1961.「한국어형성사」《한국문화사대계》5.
______. 1972.『국어사개설』탑출판사
______. 1978.「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어휘비교에 대한 기초적 연구」《동아문화》14.
______. 1980.『국어음운사 연구』탑출판사
이병선. 1975.「고대 군현명과 국명 고」《논문집》20. 부산대
______. 1982.『한국고대국명지명 연구』동아출판사
______. 1993.『국어학논고』아세아문화사
이윤동. 1997.『한국한자음의 이해』형설출판사
임병준. 1999.「고구려말 어휘자료 분석」《중원어문》14.·15합집. 건국대
______. 2000. [고구려말의 차자표기 연구] -삼국사기 권 35, 37을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장세경·최병선. 1997.「광개토호태왕 비문의 성이름 연구」《한국학논집》31. 한양대
천소영. 1981.「고대국어의 연구현황」《어문논집》22. 고려대
______. 1990.『고대국어의 어휘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최남희. 1995.「고대국어 매김법씨끝 '이'의 존재에 대하여」《동의어문논집》8. 동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