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광복절 맞아 대전시‘을유해방기념비’기록사진 공개 |
□ 대전시는 오는 15일 광복 제75주년을 맞아 보문산 공원로에 있는 ‘을유해방기념비(乙酉解放記念碑)’(이하 해방비)의 옛 모습이 담긴 짧은 영상과 사진을 공개했다.
ㅇ 해방비는 1946년 광복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대전시민들이 뜻을 모아 건립한 것으로 원래 대전역 광장에 세워져 있었으나 1971년 현재 자리로 옮겨졌다.
ㅇ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건립 당시 해방비의 정확한 위치는 물론 1957년 국립 서울현충원에 기증된 해태상 한 쌍을 포함해 경계석 등 주변 조형물들의 모습까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이 자료는 얼마 전 대전시가 확보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소장 영상에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한국전쟁 당시 폭격으로 사라지기 전의 대전역을 배경으로 촬영됐다.
ㅇ 영상에 담긴 해방비는 대전역 전면 중앙에 설치된 높은 기단 위에 세워져 있으며, 주변에는 원형의 석조 난간이 둘러져 하나의 경내를 구성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ㅇ 그리고 한 쌍의 해태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배치돼 마치 해방비를 수호하고 있는 느낌을 준다.
□ 대전시 고윤수 학예연구사는 “서양 중세풍의 대전역사(驛舍)와 그 앞에 세워진 우리나라 전통양식의 해방비, 그리고 해치(獬豸)라기보다는 중국 사자상에 가까운 석상, 유럽식 궁정에나 어울릴 것 같은 아치형태의 경계석까지, 이 한 장의 사진을 통해 근대도시 대전의 이미지와 경관에 대해 많은 것들을 상상할 수 있다”며 “매우 흥미로운 자료”라고 설명했다.
ㅇ 참고로 1945년 광복과 함께 전국 각지에서 ‘해방기념비’ 또는 ‘독립기념비’, ‘대한민족해방기념비’ 등의 글씨가 새겨진 다양한 형태의 비석들이 세워졌는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ㅇ 대전에는 을유해방기념비와 유성초등학교 뒷뜰에 있는 ‘해방기념비’ 2기가 남아 있으며 모두 비지정문화재다.
□ 대전시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해방비가 문화재 지정이나 등록된 사례는 아직 없다.”면서도 “이번 자료 발굴을 계기로 보다 정확한 형태와 연혁 등을 조사해 자료가 모아지면 전향적으로 문화재 등록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ㅇ 그러면서 “일각에서 원래 있었던 대전역광장으로의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지금의 자리로 옮겨진지도 20년 정도가 돼 현재의 자리 역시 일정한 장소성을 획득했다”며 “문화재의 경관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도 이미 상전벽해 수준으로 바뀐 현대적 역사 앞에 해방비가 이전되는 게 옳은지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ㅇ 한편, 대전시는 시민들이 해방비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산책로 옆에 세울 이정표를 제작 중에 있으며 조만간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