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C형간염치료 원문보기 글쓴이: 서울사람
혈 액 검 사 결 과 | |||||||||
검사명 | 검사항목 | 요인 및 증상 | 참고치 | 2016.06.02 | 5.10 | 4.05 | 3.11 | ||
영문 | 한글 | 수치 | 단위 | 수치 | 수치 | 수치 | 수치 | ||
일반혈액검사 | WBC | 백혈구수 | 어떤 질환에 감염되었을 시, 백혈병등, 외상, 알레르기반응, 스트레스나 심한운동 등에 의해서 증가할 수 있으며, 골수장애, 자가면역질환, HIV 등등시 감소할 수 있음 | 4.0 ~ 10.0 |
| 4.60 | 4.94 | 4.19 | 8.68 |
RBC | 적혈구수 | 낮을시 빈혈을 의미함 | 4.2 ~ 6.3 | 10^6 μl | 4.65 | 5.17 | 4.52 | 4.59 | |
Hb | 혈색소 | 낮을시 빈혈을 의미함 | 13 ~ 17 | g/dl | 14.70 | 15.80 | 14.20 | 14.50 | |
Hct | 적혈구비율 | 낮을시 빈혈을 의미함 | 39 ~ 52 | % | 43.50 | 47.20 | 42.80 | 42.10 | |
MCV | 적혈구평균용적(크기) | 부족시 철결핍성, 과도시 용혈성,비타민부족 | 8 1~ 96 | fL | 93.50 | 91.30 | 94.70 | 91.70 | |
MCH | 적혈구평균혈색소 | 적혈구 한개당 혈색소량인데 적으면 빈혈을 예상 | 27 ~ 33 | pg | 31.60 | 30.60 | 31.40 | 31.60 | |
MCHC | 적혈구평균혈색소농도 | 적혈구 한개당 혈색소농도인데 적으면 빈혈을 예상 | 32 ~ 36 | g/dl | 33.80 | 33.50 | 33.20 | 34.40 | |
RDW | 적혈구크기분포계수(폭) | 적혈구 크기가 고른지를 나타내는수치, 높을때 문제 | 11.5 ~ 14.5 | % |
| 0.13 | 0.13 |
| |
Platelet | 혈소판 수 | 증가;급성감염, 감소;빈혈,백혈병,암전이 | 130 ~ 400 | 10^3 μl | 312.00 | 310.00 | 260.00 | 327.00 | |
PCT | 혈소판용적 | 0.15 ~ 0.32 | % |
| 0.26 | 0.23 |
| ||
MPV | 평균혈소판용적 | 증;특발성혈소판감소자반증,감;비장이상,빈혈 | 7.4 ~ 10.4 | fL |
| 8.40 | 8.70 |
| |
PDW | 혈소판 분포계수 | 증;빈혈,특발성혈소판감소자반증 | 9.9 ~ 16.0 | fL |
| 8.70 | 8.60 |
| |
Blast | ~0 | % |
|
|
|
| |||
PromYelo | ~0 | % |
|
|
|
| |||
Myelocyte | 미성숙백혈구일종 | 골수내존재해야함, 혈액속존재는 백혈병의심 | ~0 | % |
|
|
|
| |
Mtamyelo | 미성숙백혈구일종 | 골수내존재해야함, 혈액속존재는 백혈병의심 | ~0 | % |
|
|
|
| |
Band. neut. | 0 ~ 6 | % |
|
|
|
| |||
Seg. neut. | 50 ~ 75 | % | 61.60 | 68.30 | 61.10 | 74.00 | |||
Lymphocyte | 백혈구중 림프구 계수 | 만성염증 증가 | 20 ~ 44 | % | 22.20 | 18.00 | 20.00 | 12.90 | |
Monocyte | 백혈구중 단핵구 계수 | 여러 다른 수치들을 참고하여 질환유무, 정도를 판단 | 2 ~ 9 | % | 9.60 | 8.50 | 8.80 | 6.90 | |
Eosinophil | 호산구 | 알러지, 기생충감염 | 1 ~ 5 | % | 5.90 | 4.00 | 9.10 | 5.50 | |
Basophil | 호염구 | 여러 다른 수치들을 참고하여 질환유무, 정도를 판단 | 0 ~ 2 | % | 0.70 | 1.20 | 1.00 | 0.70 | |
ANC(Abslute Neutroplil count) | 절대호중구수치 | 낮을 경우 면역력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 1000 이하는 위험하며 멸균음식을 먹어야 함 | 1800 ~ 7000 | μl |
| 3374.00 | 2560.00 |
| |
갑상선검사 | 토탈 T3 | 트리요도타이로닌 | 87 ~ 184 | ng/dL |
|
|
|
| |
Free T4 | 유리사이톡신 | 0.70 ~ 1.80 | ng/dL |
|
|
|
| ||
TSH | 갑상선 자극호르몬 | 0.4 ~ 4.1 | uIU/ml |
|
|
|
| ||
일반화학검사 | Calcium | 칼슘 | 8.8 ~ 10.5 | mg/dL |
| 9.60 | 9.30 |
| |
Phosphorus | 인 | 2.5 ~ 4.5 | mg/dL |
| 3.70 | 3.20 |
| ||
Glucose | 혈당정량 | 식사전 검사하여 높으면 당뇨에 대하여 의심 | 70 ~ 110 | mg/dL | 90.00 | 115.00 | 96.00 | 112.00 | |
BUN | 혈중요소질소 | 높으면 탈수, 출혈, 신장질환을 의심, 낮으면 큰문제 아님 | 10 ~ 26 | mg/dL |
| 19.00 | 23.00 | 17.00 | |
Uric acid | 요산 | 높으면 신장질환의 신호, 비만, 고혈압, 당뇨발생 위험증가 | 3.0 ~ 7.0 | mg/dL |
| 5.60 | 5.20 | 4.30 | |
Cholesterol | 콜레스테롤 | HDL과 LDL로 나뉘며 높으면 심혈관질환의심 | 0 ~ 240 | mg/dL | 171.00 | 211.00 | 173.00 | 167.00 | |
Total Protein | 총단백정량 | 영양상태판단, 높으면 간에 이상, 낮으면 영양실조나 알부민부족 | 6.0 ~ 8.0 | g/dL | 7.00 | 8.10 | 7.20 | 7.20 | |
Albumin | 알부민 | 물과 각종 필요물질을 운송, 증가시 탈수증 감소시 간질환(부종, 복수),영양불량,신장질환 등 | 3.3 ~ 5.2 | g/dL | 4.40 | 4.50 | 4.30 | 4.70 | |
ALP(Alkaline phosphatase) | 알카린 포스파타제 | 쓸개관(담관)과 뼈에 존재하며 쓸개즙(담즙)의 배설장애시 증가, 간.담도질환의 경우 ALP와 함께 GGT도 증가 | 30 ~ 115 | IU/L | 100.00 | 115.00 | 88.00 | 96.00 | |
AST(GOT) | 아스파르데이트 아미노 전달효소 | 간세포, 심장, 골격, 근육 신장,뇌 등에 존재하는 효소이며 파괴될 시 혈중에 나타나고 간에 제일 많이 분포하며 정상수치보다 높으면 간질환의심, 만성간염시 ALT증가, 알콜성 간염시 AST증가 | 1 ~ 40 | IU/L | 15.00 | 13.00 | 14.00 | 17.00 | |
ALT(GPT) | 알나닌 아미노 전달효소 | 1 ~ 40 | IU/L | 10.00 | 11.00 | 10.00 | 9.00 | ||
GGT |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 | 쓸개관(담관)에 존재하며 ALP와 함께 담즙 배설장애 판단자료 | 11 ~ 63 | IU/L | 20.00 | 21.00 | 18.00 | 20.00 | |
Direct Bilirubin | 직접빌리루빈 | 적혈구가 파괴될때 생성, 증가시 황달, 황달지수 | 0 ~ 0.5 | mg/dL |
| 0.20 | 0.20 |
| |
Total Bilirubin | 총빌리루빈 | 0.2 ~ 1.2 | mg/dL | 0.60 | 0.80 | 1.10 | 0.50 | ||
Creatinine | 신장기능의 저하시 수치가 상승, 6.0 이상이면 투석 | 0.70 ~ 1.40 | mg/dL | 0.89 | 1.12 | 0.95 | 0.99 | ||
IDMS MDRD GFR 검사 | 혈청 클레아틴 검사 | 신장질환의 판단시 참고하는 수치 |
| mL/min/1.73m2 |
| 65.60 | 79.30 |
| |
Na | 나트륨(소디움) | 수분결핍시 등 여러증상시 증가 | 135 ~ 145 | mmo I/L |
| 143.00 | 142.00 | 137.00 | |
K | 포타슘(칼륨) | 신장이나 심장이상시 증가 | 3.5 ~ 5.5 | mmo I/L |
| 4.80 | 4.50 | 4.90 | |
Cl | 염소 | 98 ~ 110 | mmo I/L |
| 107.00 | 106.00 | 101.00 | ||
Total CO2 | 혈액 총 이산화탄소 | 24 ~ 31 | mmo I/L |
|
|
|
| ||
hs CRP | C-반응성 단백정량 | 0 ~ 0.5 | mg/dL |
| 0.06 | 0.05 |
| ||
LDH | laetic dehydrogenase | 생체내 특정장기 세포파괴시 혈중에 유출, 심장질환시 증가의심 | ≤250 | U/L | 199.00 |
|
| 232.00 | |
Amylase | 아밀라제 | 전분을 가수분해하는 효소, 췌장염의 진단시 사용 | 28 ~ 100 | U/L |
|
|
| 132.00 | |
분자유전학검사 | HCV RNA PCR | C형 간염 바이러스정량검사 | 혈중 바이러스 유무를 검사 | ≤15 | IU/ml |
| ≤15 | ≤15 |
|
약물및 중금속검사 | Tacrolimus | 타크로리무스 | 면역억제제 농도 | 5 ~ 20 | ng/dL |
| 3.80 | 4.70 |
|
특수화학검사 | PIVKA II | 피브카 2 | 종양표지자 | 0 ~ 40 | mAU/ml |
| 27.00 | 24.00 |
|
혈청검사 | HBs Ag 정성검사 | B형간염 S항원 | B형간염 감염유무검사 | negative |
|
|
|
| negative |
Anti-HBs | B형간염항체 | ≥10 | mIU/ml |
| 0.90 | 0.70 |
| ||
간암, 종양 등 검사 | AFP | 알파피토프로테인(알파태아단백) | 암표지자 | 0~20 | ng/ml |
| 4.30 | 3.20 |
|
2015년10월 8일 흉부.CT와 위, 대장검사 | |||||||||
2016년03월11일 소변검사시 이상소견 없슴 | |||||||||
2016년06월20일 소변검사시 이상소견 없슴(Ca.Oxalate 가 보이나 oxalic acid가 풍부한 음식(토마토, 시금치, 오렌지, 마늘, 아스파라거스)을 많이 먹을 때 나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