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R동일본 - JR도호쿠신칸센 노선도감
1. 노선 데이터
영업 km : 713.7km(실제 거리 : 674.9km)
궤간 : 1435mm(표준궤)
역수 : 23개 역(도쿄~신아오모리)
단선/복선구분 : 전 노선 복선
전철화 구분 : 전 노선 전철화(교류 25kV/50Hz)
선로최고시속 : 도쿄~오오미야 - 110km/h, 오오미야~우츠노미야 - 275km/h
우츠노미야~모리오카 - 320km/h, 모리오카~신아오모리 - 260km/h
신호장치 : 디지털 ATC(DS-ATC)
궤도 : 자갈궤도
운전지령소 : 신칸센운행본부 종합지령실(도쿄)
열차운행 시스템 : 신칸센 종합시스템(COSMOS)
선로의 구성비율 : 노반 5%, 교량 16%, 고가 56%, 터널 23%(도쿄~모리오카)
노반 14%, 교량 4%, 고가 9%, 터널 73%(모리오카~하치노헤)
노반 15%, 교량 5%, 고가 18%, 터널 62%(하치노헤~신아오모리)
도카이도-산요신칸센에 이어 전국신칸센철도 정비법에 기초한 도호쿠 지역으로 뻗어나가는 신칸센 노선이다. 도쿄~모리오카간의 착공이 1971년에 진행되어 1982년에 완공된다. 그 후에도 계속 연장구간의 완공이 진행되었으며, 2002년 12월에 모리오카~하치노헤간이 연장개통되었으며 남은 구간인 하치노헤~신아오모리 구간의 공사가 2010년 12월 3일에 완공되었다. 2011년 3월에는 최고영업시속 320km/h를 자랑하는 신형 신칸센 차량 E5계가 데뷔하였으며, 2013년 3월에는 아키타신칸센용 신형차량 E6계와의 병결운전을 시작하였다.
1970년대에 공사가 진행된 기존구간은 고가의 비중이 높지만, 2002년 완공된 신선 구간은 터널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시로이시자오~센다이 구간의 25.7km 구간은 일본최장의 직선 선로 구간으로 알려져 있다. JR동일본에서 최고로 많은 수송인원을 기록하는 신칸센 노선이다.
미니신칸센인 야마가타신칸센/아키타신칸센이 각각 후쿠시마/모리오카에서 분리되며, 나가노신칸센/죠에츠신칸센이 오오미야에서 갈라져 나간다. 열차간의 분할/병결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최속달 타입의 열차인 하야부사/코마치, 속달 타입의 열차인 하야테, 장거리 열차이며 센다이~모리오카 각역정차 타입인 <야마비코>, 수송력 증강타입의 <야마비코/츠바사>, 통근신칸센인 <나쓰노> 등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2. 측면전망 동영상
신아오모리 방면(도쿄 -> 신아오모리)
도쿄 방면(신아오모리 -> 도쿄)
3. 역사
1971/11/28 - 도호쿠신칸센 착공
1982/06/23 - 오오미야~모리오카간(465.2km) 개통, <야마비코> <아오바> 운행개시, 200계 차량으로 최고시속 210km/h.
1985/03/14 - 우에노~오오미야간 개통, 미즈사와에사시/신하나마키역 개업, 최고속도 240km/h로 올림.
1987/04/01 - 국철의 분할민영화로 도호쿠신칸센 JR동일본에 이관.
1991/06/20 - 도쿄~우에노간 개통, 도쿄~모리오카간 신칸센 연결.
1992/07/01 - 야마가타신칸센 후쿠시마~야마가타 개통, 직통운전개시, 400계 영업운전 시작, 200계와의 연결운행 개시
1994/07/15 - E1계 MAX신칸센 차량 영업운전 개시
1995/12/01 - 도쿄~나쓰시오바라간 각역정차 신칸센 <나쓰노> 운행개시
1997/03/22 - 아키타신칸센 개통, 직통운전 개시, E3계 영업운전 시작, 최고속도 275km/h로 상향조정, E2계 영업운전 개시
1997/10/01 - 나가노신칸센 개통, <아오바> 폐지.
1997/12/20 - E4계 MAX신칸센 차량 영업운전 개시
1999/12/04 - 야마가타신칸센 야마가타~신죠 구간연장
2001/09/20 - 야마가타신칸센 <츠바사>, E4계와 연결운행 개시
2002/12/01 - 모리오카~하치노헤간 연장개업, DS-ATC 신호체계 채용
2005/12/10 - 센다이 이북의 MAX야마비코 운행종료.
2007/03/18 - 전 신칸센 차량 금연 실시
2007/07/22 - 도쿄~하치노헤 전구간 DS-ATC 사용개시.
2010/04/13 - 하치노헤~신아오모리 구간 시운전 개시.
2010/12/04 - 하치노헤~신아오모리 구간 개업으로 도호쿠신칸센 전 노선 개통.
2011/03/05 - 도쿄~신아오모리 구간 신칸센 <하야부사> 운전 개시.
2011/03/11 - 동일본 대지진으로 전노선 운전중지.
2011/04/29 - 순차적으로 복구, 전노선 운전재개. 일부 구간 감속운전으로 특별 다이어로 운전됨.
2011/09/23 - 지진 이전의 통상 시각표로 복원됨.
2011/11/19 - E5계 사용의 하야테/야마비코 운전 개시 및 E3계와의 병결운전 개시. 200계 정기운전 종료.
2012/03/17 - E5계 사용의 나쓰노 운전개시.
2012/09/29 - E4계 죠에츠신칸센으로 완전 이적.(MAX야마비코/MAX나쓰노 폐지)
2013/03/26 - E6계 슈퍼코마치/코마치 데뷔. 하야부사의 최고속도 320km/h로 향상됨. 모리오카 이북의 E2계 운전종료.
2014/03/15 - 아키타신칸센 등급이 코마치 단일등급으로 통일. 하야부사/코마치의 최고속도가 320km/h가 됨.
2016/03/26 - 홋카이도신칸센 개통, <하야부사><하야테>가 신하코다테호쿠토까지 직통운행. H5계 영업운전 개시.
2019/03/16 - 도쿄 발착의 하야테 정기열차가 하야부사와 통합하여 소멸.
2020/07/23 - 휴대전화 불통구간 해소. 도호쿠신칸센 전 구간에서 휴대전화 이용가능.
4. 운행 형태
JR홋카이도가 운영하는 JR홋카이도신칸센과 일체화된 운영을 하고 있다. 도쿄~신하코다테호쿠토 방면의 열차는 1시간에 1편 정도 운전되고 있으며 그 외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개업 초기에는 <히카리>와 대비되는 <야마비코>, <고다마>와 대비되는 <아오바>의 두 가지 등급으로 운용되었으나, 죠에츠신칸센이 개업되고 아키타신칸센/야마가타신칸센 등 미니 신칸센이 병결됨에 따라 애칭체계가 매우 복잡해졌으며 도호쿠신칸센 내부만 운행하는 신칸센은 모두 <야마비코>로 통합이 되었다. 그 이후 도호쿠신칸센이 연장됨에 따라 <하야테><하야부사>등 속달 등급이 새롭게 탄생했고, 그 외에 통근 신칸센인 <나스노>도 새롭게 운행을 시작하였다.
<하야부사> - 주로 도쿄~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을 운행하는 도호쿠신칸센의 최속달 등급 열차이다. 사용 차량은 E5계와 H5계가 사용된다. 전 차량 지정석으로 운행되며, 그린샤는 9호차, 그린샤보다 더 높은 등급인 18석의 그란클래스는 10호차이다. 모리오카~신아오모리 구간에는 모리오카~신아오모리 구간에 공석에 착석할 수 있는 특정특급권도 발매하고 있다. 그린샤는 JR패스 그린샤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그란클래스는 운임만 인정되며 별도의 특급요금과 그란클래스 요금이 필요하다. 2011년 3월 5일부터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오오미야~우츠노미야 구간은 275km/h, 우츠노미야~모리오카 구간은 320km/h로 운전되고 있으며 도쿄~신아오모리 구간의 최속 소요시간은 2시간 59분이다. 모리오카~신아오모리 구간은 정비신칸센 법에 따라 260km/h로 최고속도가 묶여 있으나 법이 정비되면 320km/h운행구간을 더 늘릴 예정이다. 주로 아키타신칸센 <코마치>열차와 병결해서 운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단독으로 운행하는 <하야부사>호도 있다. 특급요금은 하야테/야마비코보다 최고 510엔 정도 비싸다. 편성은 단독으로 운행되는 경우 10량편성, 아키타신칸센 <코마치>와 병결하는 경우는 10량+7량의 17량이 된다. 간혹 E5계+E6계 병결 17량편성의 단독 <하야부사>가 운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그린샤가 9호차와 11호차가 된다.
<하야테> - 신아오모리 연장 이전에는 도호쿠신칸센의 최고 속달 등급이었지만 현재는 하야부사의 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원래는 JR동일본이 <하야부사> 등급이 생기고 E5계의 도입이 완료되는 이후로 <하야테>등급을 폐지하려 했으나, 현재도 폐지되지 않고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 열차 역시 전석 지정석으로 사용차량은 E2계와 E5계가 사용된다. 예전에는 아키타신칸센 <코마치>와 병결운용을 했으나 현재는 병결운용은 하지 않고 있으며 도쿄발착 하야테 정기운용은 모두 폐지되었다. 현재는 모리오카/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의 구간열차에 <하야테>등급을 사용하고 있다. 모리오카~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도 1왕복 구간열차가 있다. 편성은 10량편성이며, E5계로 운행하는 경우는 10호차에 그란클래스가 있다.
<야마비코> - 도호쿠신칸센 일반열차의 주력으로, 도쿄~센다이/모리오카 구간을 운행한다. 주로 우에노/오오미야/고리야마/후쿠시마/센다이에 정차하며 센다이~모리오카 구간은 각역에 정차하는 등급으로 도카이도신칸센의 <히카리>와 대비되는 존재이다. 사용 차량은 E2계/E5계/H5계이며 10량편성으로 운행된다. 9호차는 그린샤이며, E5계/H5계 운용의 경우 10호차는 그란클래스이다. 도쿄~센다이 구간의 야마비코는 도쿄~후쿠시마 구간에서 야마가타신칸센 <츠바사>와 병결해서 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른 아침과 심야 시간대를 중심으로 나쓰시오바라/고리야마~센다이 구간과 센다이~모리오카 구간에서 각역정차를 하는 구간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도호쿠신칸센 개업 초기부터 등장했던 등급으로 역사가 오래되었다. <츠바사>와 병결하여 운행되는 경우는 10량+7량의 17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단독 <야마비코>로 E5계/H5계+E6계 17량편성의 운용도 있고, E5계/H5계+E3계 0번대 16량편성의 운행도 아직 남아 있다. 이 경우는 9호차와 11호차가 그린샤, 10호차는 그란클래스이다. 신형차량으로 운용되는 경우에도 최고속도는 275km/h로 제한된다. 일부 이른 아침이나 심야에 운행되는 야마비코에 연결된 그란클래스에는 전담 직원이 타지 않는데, 이 경우에는 그란클래스 요금을 할인해 준다.
<나스노> - 각역에 정차하는 통근 타입의 신칸센으로 도쿄~나스시오바라/고리야마 구간을 운행한다. 사용차량은 E2계/E5계 10량편성이며, 9호차는 그린샤이고 E5계 차량의 경우 10호차는 그란클래스이다. 일부 열차에는 증결차량으로 E3계나 E6계가 붙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11호차도 그린샤가 된다. 주로 출퇴근 시간대에 토치기현~도쿄 도심간의 통근 여객수요에 대응하는 열차로, 도쿄~우츠노미야 구간 이용객의 착석기회를 늘리는 부차적인 목적이 있다. 주말에 운휴하는 <나스노>열차도 있으며, 차내판매를 하지 않으며 그란클래스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전담승무원이 타지 않으므로 나스노 전용 그란클래스 요금이 설정되어 있다.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하는 일부 <나스노>는 보통차가 전차량 자유석으로 풀린다.
그 외 <코마치> <츠바사>는 별도의 아키타신칸센/야마비코신칸센 노선도감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5. 운용 차량
E5계(U편성) - JR동일본 센다이종합차량센터 소속. 10량편성. <하야부사><하야테><야마비코><나스노> 등 모든 등급으로 운용. 9호차는 그린샤, 10호차는 그란클래스.
H5계(H편성) - JR홋카이도 하코다테종합차량센터 소속. 10량편성. <하야부사><하야테><야마비코> 등급으로 운용. 9호차는 그린샤. 10호차는 그란클래스.
* 상호 동일사양
E6계(Z편성) - JR동일본 아키타종합차량센터 소속. 7량편성. <하야부사><코마치><야마비코><나쓰노> 등 등급으로 운용. 11호차는 그린샤.
E3계 0번대(R편성) - JR동일본 센다이종합차량센터 소속. 6량편성. <야마비코><나쓰노> 등 등급으로 운용. 11호차는 그린샤.
E3계 1000번대(L편성) - JR동일본 야마가타차량센터 소속. 7량편성. <츠바사><야마비코> 등급으로 운용. 11호차는 그린샤.
E3계 2000번대(L편성) - JR동일본 야마가타차량센터 소속. 7량편성. <츠바사><야마비코> 등급으로 운용. 11호차는 그린샤.
E2계 1000번대(J50편성) - JR동일본 센다이종합차량센터 소속. 10량편성. <하야테><야마비코><나쓰노> 등급으로 운용. 9호차는 그린샤.
6. 역 일람
7. 역사진 컬렉션
도쿄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ㅜ19 18ㅠ17 16ㅠ15 14ㅜㅗ23 22ㅛ21 20ㅗ|10 9||8 7||6 5||4 3||2 1|
(지하5층) |소부1 소부2||소부3 소부4| (지하5층 케이요선 플랫폼) ㅜ1 2ㅠ3 4ㅜ
1/2번 승강장 - JR츄오본선(JC01) - 신주쿠/타치카와/타카오 방면
3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26) - 우에노/아카바네/오오미야 방면
4번 승강장 - JR야마노테선(JY01) - 우에노/타바타/이케부쿠로 방면
5번 승강장 - JR야마노테선(JY01) - 시나가와/오사키/시부야 방면
6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26) - 시나가와/카마타/요코하마 방면
7/8번 승강장 - JR우에노토쿄라인(JU01) - 오오미야/다카사키/미토 방면
9/10번 승강장 - JR도카이도본선(JT01) - 시나가와/요코하마/오다와라 방면
14~19번 승강장 - JR도카이도신칸센 - 신요코하마/나고야/신오사카 방면
소부1/2번 승강장 - JR요코스카선(JO19) - 시나가와/가마쿠라/쿠리하마 방면
소부3/4번 승강장 - JR소부선쾌속(JO19) - 이치카와/후나바시/치바 방면
케이요1/2/3/4번 승강장 - JR케이요선(JE01) - 마이하마/카이힌마쿠하리/소가 방면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별도 지하역/도보 10~15분)
1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M17) - 요츠야/신주쿠/오기쿠보 방면
2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M17) - 오오테마치/고라쿠엔/이케부쿠로 방면
우에노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22 21||20 19| ... 17ㅠ16ㅜ15ㅜ14ㅜ13 ... |12 11||10 9||8 7||6 5||4 3||2 1|
1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30) - 타바타/아카바네/오오미야 방면
2번 승강장 - JR야마노테선(JY05) - 타바타/이케부쿠로/신주쿠 방면
3번 승강장 - JR야마노테선(JY05) - 도쿄/신바시/시나가와 방면
4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30) - 도쿄/시나가와/요코하마 방면
5/6/13~16번 승강장 - JR우츠노미야선(JU02) - 오쿠/오오미야/우츠노미야 방면
6/8/9~12/16/17번 승강장 - JR죠반선(JJ01) - 미나미센쥬/카시와/미토 방면
7/8/9번 승강장 - JR우에노토쿄라인(JU02) - 도쿄/요코하마/오다와라 방면
도쿄메트로 우에노역 환승안내(도보 10분)
긴자선 1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긴자선(G16) - 니혼바시/신바시/시부야 방면
긴자선 2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긴자선(G16) - 타와라마치/아사쿠사 방면
히비야선 1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히비야선(H18) - 아키하바라/롯폰기/나카메구로 방면
히비야선 2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히비야선(H18) - 기타센쥬/니시아라이/미나미쿠리하시 방면
케이세이 우에노역 환승안내(도보 10~15분)
1~4번 승강장 - 케이세이 본선(KS01) - 아오토/케이세이타카사고/나리타공항 방면
오오미야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1 2||3 4||5 6||7 8||9 11| ... |13 14||15 16||17 18| ... |19 20||21 22|
1/2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47) - 미나미우라와/우에노/도쿄 방면
3/4/6/7번 승강장 - JR우츠노미야선(JU07/JS24) - 우라와/아카바네/도쿄 방면
8/11번 승강장 - JR다카사키선(JU07/JS24) - 쿠마가야/다카사키/마에바시 방면
9/11번 승강장 - JR우츠노미야선(JU07/JS24) - 쿠키/우츠노미야/쿠로이소 방면
18번 승강장 - JR죠에츠신칸센/JR호쿠리쿠신칸센 - 다카사키/가나자와/니이가타 방면
19/20/22번 승강장 - JR사이쿄선(JA26) - 이케부쿠로/신주쿠/신키바 방면
21/22번 승강장 - JR카와고에선 - 닛신/카와고에/코마가와 방면
토부철도 오오미야역 환승안내(도보 10분)
1/2번 승강장 - 토부 어번파크라인(TD01) - 카스가베/카시와/후나바시 방면
뉴셔틀 오오미야역 환승안내(도보 10분)
승강장 - 사이타마신도시교통 이나선(NS01) - 철도박물관/마루야마/우치주쿠 방면
오야마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16 15|||13 12|||10 9||8 6| ... |5 4| || |1
6/8번 승강장 - JR료모선 - 토치기/사노/다카사키 방면
9/10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우츠노미야/쿠로이소/센다이 방면
12/13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오오미야/우에노/도쿄 방면
15/16번 승강장 - JR미토선 - 시모다테/토모베/미토 방면
우츠노미야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10 9||8 7|||5 ... 4| || |1
5번 승강장 - JR닛코선 - 카누마/이마이치/닛코 방면
7~10번 승강장 - JR우츠노미야선 - 쿠로이소/고리야마/센다이 방면
7~10번 승강장 - JR우츠노미야선 - 오오미야/우에노/도쿄 방면
7~10번 승강장 - JR카라스야마선 - 호샤쿠지/타키/카라스야마 방면
나스시오바라역 환승안내
7/8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쿠로이소/시라카와/고리야마 방면
8/9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우츠노미야/오오미야/도쿄 방면
신시라카와역 환승안내
5/6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쿠로이소/우츠노미야/우에노 방면
7/8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시라카와/고리야마/후쿠시마 방면
고리야마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13 12| || |11 ... |6 ㅗ3 5||4 2||1
1번 승강장 - JR반에츠사이선 - 이나와시로/아이즈와카마츠 방면
2/4/5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시라카와/쿠로이소 방면
2/4/5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후쿠시마/이와누마/센다이 방면
3번 승강장 - JR스이군선 - 이와키이시카와/미토 방면
6번 승강장 - JR반에츠토선 - 미하루/이와키 방면
후쿠시마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1 2||3 4||5 6| ... |11 12| || |13 14|
1~4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시로이시/센다이 방면
1~4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고리야마/쿠로이소 방면
5/6번 승강장 - JR오우본선 - 요네자와/야마가타 방면
14번 승강장 - JR야마가타신칸센 - 요네자와/야마가타/신죠 방면
후쿠시마교통/아부쿠마급행 후쿠시마역 환승안내(도보 10분)
후쿠시마교통 승강장 - 후쿠시마교통 이이자카선 - 이즈미/사쿠라미즈/이이자카온센 방면
아부쿠마급행 승강장 - 아부쿠마급행선 - 카부토/마루모리/츠키노키 방면
센다이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14 13||12 11| ... |10 9| ... |8 7||6 5||4 3ㅗ2||1
1/2/4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이와키리/리후/시오가마/코고타 방면
3/4/5/6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JR죠반선/센다이공항억세스선 - 이와누마/시로이시/소마/하라노마치 방면
7/8번 승강장 - JR센잔선 - 아야시/사쿠나미/야마가타 방면
9번 승강장 - JR센세키선 - 아오바도리 방면
10번 승강장 - JR센세키선 - 마츠시마카이간/이시노마키 방면
센다이시지하철 센다이역 환승안내(도보 10~15분)
1번 승강장 - 센다이시지하철 난보쿠선(N10) - 이츠츠바시/나가마치/토미자와 방면
2번 승강장 - 센다이시지하철 난보쿠선(N10) - 아사히가오카/이즈미츄오 방면
3번 승강장 - 센다이시지하철 도자이선(T07) - 야쿠시도/오로시마치/아라이 방면
4번 승강장 - 센다이시지하철 도자이선(T07) - 아오바도리이치반쵸 / 야기야마도부츠코엔 방면
후루카와역 환승안내
1번 승강장 - JR리쿠토선 - 코고타 방면
2번 승강장 - JR리쿠토선 - 나루코온센/신죠 방면
이치노세키역 환승안내
1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코고타/시오가마/센다이 방면
2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하나마키/모리오카 방면
3번 승강장 - JR오후나토선 - 게비케이/케센누마/사카리 방면
기타카미역 환승안내
0/1번 승강장 - JR기타카미선 - 홋토유다/요코테 방면
1/2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하나마키/모리오카 방면
1/3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미즈사와/히라이즈미/이치노세키 방면
신하나마키역 환승안내
승강장 - JR카마이시선 - 하나마키/카마이시 방면(양방향)
모리오카역 환승안내 / 플랫폼 구조
|14 13||12 11| ... |9 8||7 6||5 4||3 2|
2/4번 승강장 - JR야마다선 - 모이치/미야코 방면
3번 승강장 - JR하나와선 - 코마/오오다테 방면
3/5/6/7번 승강장 - JR도호쿠본선 - 기타카미/히라이즈미/이치노세키 방면
8/9번 승강장 - JR타자와코선 - 시즈쿠이시/타자와코/오오마가리 방면
14번 승강장 - JR아키타신칸센 - 가쿠노다테/오오마가리/아키타 방면
IGR이와테긴가철도 모리오카역 환승안내(도보 5~10분)
0/1번 승강장 - IGR이와테긴가철도선/JR하나와선 - 코마/이와테누마쿠나이/하치노헤 방면
이와테누마쿠나이역 환승안내
1번 승강장 - IGR이와테긴가철도선 - 니노헤/하치노헤 방면
2번 승강장 - IGR이와테긴가철도선 - 코마/모리오카 방면
니노헤역 환승안내
1/2번 승강장 - IGR이와테긴가철도선 - 이치노헤/모리오카 방면
2/3번 승강장 - IGR이와테긴가철도선 - 산노헤/하치노헤 방면
하치노헤역 환승안내
1/2번 승강장 - JR하치노헤선 - 혼하치노헤/사메/쿠지 방면
2/3/4/5번 승강장 - 아오이모리철도선 - 미사와/노헤지/아오모리 방면
2/3/4/5번 승강장 - 아오이모리철도선 - 산노헤/모리오카 방면
신아오모리역 환승안내
1번 승강장 - JR오우본선 - 아오모리 방면
2번 승강장 - JR오우본선 - 히로사키/오오다테/히가시노시로 방면
13/14번 승강장 - JR홋카이도신칸센 - 키코나이/신하코다테호쿠토 방면(직통운전)
첫댓글 신간선의 운행역들을 잘보았습니다 동경역엔 안가봤는데 서울역하고 외형이 비슷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