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을 소(小)자는 작은 표시를 하기 위하여 점을 세 개 찍었습니다. 그러다가 가운데 점이 커져서 지금 작을 소(小)자와 같은 글자의 모양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적을 소(少)자와 구별합니다. 작을 소(小)자는 크기를 표시하는 글자이고, 적을 소(少)자는 양(量)을 표시하는 글자입니다.
小
적을 소(少)자는 작을 소(小)자에 삐침(丿)자 획을 더 하여 양이 적다, 젊다는 뜻을 표시하였습니다.
少
적을 절(尐)자는 작을 소(小)자에 파임 불(乀)자를 해서 작다는 뜻이 아니라, 적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길이 단위 표시가 아니라, 부피 단위 표시를 한 것입니다.
+
= 尐
너 이(尒,尓,尔ěr)자는 너 이(爾)자의 변형(變形)들입니다. 너 이(尒,尓,)자는 너 이(爾)자의 약자(略字)이고, 너 이(尔ěr)자는 너 이(爾)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그런데 지금 중국에서 사용하는 너 이(爾)자 너 이(你nǐ)자입니다. 너 이(爾)자는 화살을 그린 글자입니다. 상대방 즉 과녁을 형해 날아가는 화살을 그린 글자지요. 화살을 그려서 내가 아니 상대방을 표시했습니다. 너 이(爾)자에서 'X'표가 있는 것은 화살의 날개를 그린 것입니다.
爾
귀여울 소(尕)자는 의부(義符)로 꽃이나 열매를 가리키는 상형(象形) 글자인 이에 내(乃)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작을 소(小)자를 했습니다. 작은 꽃이나 열매를 뜻하여 귀여운 것임을 나타냈습니다.
+
= 尕
뾰족할 첨(尖)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큰 대(大)자를 해서, 처음에는 가늘고 작아서 뾰족한 것이 점점 굵어져서 큰 대(大)자로 변하게 되어 뾰족하게 된 물건을 표시하는 글자가 되었습니다.
위로 갈수록 뾰족하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굵은 에펠탑이 뾰족할 첨(尖)자와 흡사합니다
콩 숙(尗)자는 윗상(上)자 아래에 작을 소(小)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윗상(上)자는 위쪽을 가리키는 글자가 아니라, 작대기로 땅을 파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땅에서 파낸 감자나 토란 같은 뿌리채소가 둥근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작을 소(小)자를 했고, 그 둥근 알이 작다는 뜻을 더 하였습니다. 지금도 작다면 콩알만 하다고 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尗
티끌 진(尘)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흙 토(土)자를 했습니다. 흙 알갱이만큼이나 작은 것을 가리킨 글자입니다. 먼지가 흙 알갱이보다 더 작겠지요.
+
= 尘
오히려 상(尙,尚)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들 경(冋)자를 했습니다. 작은 것과 들판은 크기로 볼 때 비교의 대상이 아닙니다. 작은 세상도 오히려 들판과 같은 세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소인국(小人國)에 대한 동화가 생각납니다. 오히려 상(尙)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尙,尚
작을 마(尛)자는 작을 소(小)자를 세 개 합해 놓았습니다. 아주 작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작을 마(尛)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 尛
팽이 가(尜)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큰 대(大)자를 하고 아래에 다시 작을 소(小)자를 했습니다. 가운데가 크고 양쪽 끝이 작은 팽이 같은 실꾸리나 장난감 등을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
+
= 尜
맛볼 상(尝cháng)자는 맛볼 상(嘗)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맛볼 상(甞)자와 맛볼 상(嘗)자는 동자(同字)입니다. 맛볼 상(嘗)자는 의부(義符)로 맛있을 지(旨)자에 성부(聲符)로 오히려 상(尙)자를 했습니다. 맛볼 상(甞)자는 성부(聲符)로 오리려 상(尙)자에 의부(義符)로 달 감(甘)자를 했습니다. 혀를 내밀어 맛보는 형상을 한 글자가 달 감(甘)자입니다. 맛볼 상(嘗)자는 오히려 상(尙)자가 들어 있어서 ‘상’으로 읽습니다.
嘗
고깔 변(㝸)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얼굴 모(皃)자를 해서 얼굴 위, 머리에 쓰는 세모난 고깔모자를 나타냈습니다.
㝸
횃불 료(尞)자는 횃불을 밝힌 모양의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밝은 빛을 별빛처럼 표시하였습니다. 날 일(日)자는 밝은 태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날 일(日)자 아래 위로 있는 글자는 모두 빛의 광채를 표시한 글자들입니다. 여기서는 작을 소(小)자도 빛의 광채를 표시하는 일부가 되었습니다.
尞
토끼 새끼 누(㝹)자는 적을 소(少)자 아래에 토끼 토(兎,兔)자를 해서 작은 토끼 곧, 새끼임을 나타냈습니다.
+
= 㝹
적을 선(尟)자는 작을 소(少)자에 이 시(是)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이 시(是)자를 한 것은 바로 이것을 가리켜서 말한 것입니다. 옳을 시(是)자는 이 시(是)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이 시(是)자는 태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날 일(日)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낮이 되면 사람이 활동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尟
적을 선(尠)자는 성부(聲符)로 심할 심(甚)자에 의부(義符)로 적을 소(少)자를 했습니다. 아주 매우 심하게 적다는 뜻을 표시하는 글자입니다. 심할 심(甚)자는 돌과 곡식을 고르는 도구인 키를 상형(象形)한 그 기(其)자에 ‘ㄴ’ 같은 표시를 해서 심하다는 뜻을 표시 했습니다.
尟자와 尠자는 같은 글자입니다.
적을 렴(㝺)자는 의부(義符)로 적을 소(少)자에 성부(聲符)로 겸할 겸(兼)자를 했습니다. 겸할 겸(兼)자는 겸하여 모은다는 뜻이 있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두 개하고 그 나무 두 그루를 묶어놓았습니다. 겸한다는 말은 두 개 이상을 모두 겸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맑고 고울 렴(嬚), 청렴할 렴(廉), 머리가 드리워질 렴(鬑)자는 겸할 겸(兼)자가 들어 있어서 ‘렴’으로 읽습니다.
+
= 㝺
적을 근(㝻)자는 성부(聲符)로 진흙 근(堇)자에 의부(義符)로 적을 소(少)자를 했습니다. 진흙 근(堇)자는 땅을 표시하는 누를 황(黃)자와 닮았습니다. 두 글자 모두 땅에서 나오는 빛깔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少 = 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