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름발이 왕(尢)자는 한쪽 다리를 길게 표시했습니다. 절름발이 왕(尢)자는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尢
가장 왕(尣)자는 한 쪽 발을 길게 표시한 어진 사람 인(儿)자 위에 여덟 팔(八)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여덟 팔(八)자를 한 것은 한 쪽 다리가 더 긴 것을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내기 위한 수단입니다.
+
= 尣
더욱 우(尤)자는 절름발이 왕(尢)자의 길게 표시 된 다리 위에 점 주(丶) 자를 더 하여 긴 다리 쪽 임을 표시하였습니다. 더욱 우(尤)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尤
다리 힘줄 약할 료(尥)자는 절름발이 왕(尢)자에 구기 작(勺)자를 했습니다. 구기 작(勺)자는 액체(液體)를 떠내기 위하여 국자처럼 한 쪽을 구부러지고 움푹하게 만든 도구입니다. 구기 작(勺)자는 뭉쳐 있어서 더욱 약하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尥
다리 꼬일 료(尦)자는 가장 왕(尣)자에 구기 작(勺)자를 했습니다. 구기 작(勺)자는 액체(液體)를 떠내기 위하여 국자처럼 한 쪽을 구부러지고 움푹하게 만든 도구입니다. 구기 작(勺)자는 뭉쳐 있어서 더욱 약하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게다가 너무 힘이 약해 다리가 꼬였음을 뜻합니다.
+
+
= 尦
요임금 요(尧Yáo)자는 요임금 요(堯)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요임금 요(堯)자는 흙 토(土)자 3 개에 우뚝할 올(兀)자를 해서 별로 높지 않은 자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요임금의 겸손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잘 표시한 글자입니다. 예수님의 정신으로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백성들을 섬기는 정신과 자세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정신은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황금률입니다. 지금 사람들은 지도자 되기는 좋아하면서 겸손한 마음은 없습니다. 지도자가 되었다가 쫓겨나거나 창피를 당하게 되어 지도자가 아니 된 것만 못하게 되는 것이 당연한 순리입니다.
堯
몸이 굽을 우(㝼)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어조사 우(于)자를 했습니다. 어조사 우(亏,于)자는 두 이(二)자에 갈고리 궐(亅)자를 해서 둘 사이를 연관지어놓은 글자입니다. 어조사라는 것이 서로 관련을 맺어 준다는 뜻이 있습니다.
㝼
삽살개 방(尨)자는 더욱 우(尤)자 옆에 터럭 삼(彡)자를 더하여 털(彡)이 더욱(尤) 많은 개임을 표시하였습니다.
尨
절름발이 왕(尩,尪,尫)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 우뚝할 올(兀), 가장 왕(尣)자들을 하고, 성부(聲符)로 임금 왕(王)자를 했습니다. 절름발이 왕(尢)자, 우뚝할 올(兀), 가장 왕(尣)자들은 모두 절름발이 왕(尢)자의 변형들입니다.
尩,尪,尫
절름발이 개(尬)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끼일 개(介)자를 했습니다. 끼일 개(介)자는 사람 인(人)자 아래에 삐침 별(丿)자와 뚫을 곤(丨)자를 해서 둘 사이, 이쪽과 저쪽 사이에 끼인 모습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尬
짧은 모양 수(㝽)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물 수(水)자를 했습니다. 물 수(水)자는 물이 흐르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㝽
요임금 요(尭)자는 요임금 요(堯)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요임금 요(堯)자는 성부(聲符)로 사람 이름 요(垚)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우뚝할 올(兀)자를 해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임을 나타냈습니다. 사람 이름 요(垚)자는 흙 토(土)자를 세 개 해서 농사짖는 사람임을 나타냈습니다.
堯
다리를 절 좌(㝾)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왼 좌(左)자를 했습니다. 왼 좌(左)자는 왼손을 표시하는 글자를 장인 공(工)자 왼쪽에 했습니다. 오른쪽 우(右)자는 입 구(口)자 오른쪽에 손 수(手)자를 해서 오른쪽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입 구(口)자와 장인 공(工)자는 좌우(左右)를 표시하는 기준을 표시한 것입니다. 그래서 장인 공(工)자의 왼쪽이니 왼손 좌(左)자이고 입 구(口)자의 오른쪽이니 오른손 우(右)자입니다. 왼 손은 오른 손에 비하여 잘 듣지 않는 손입니다. 왼 좌(左)자와 오른손 우(右)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㝾
다리를 절 파(㝿)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가죽 피(皮)자를 했습니다. 가죽 피(皮)자는 손을 나타내는 또 우(又)자를 해서 손으로 잡아 벗기면 벗겨지는 살가죽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물결 파(波), 깨뜨릴 파(破), 고개 파(坡), 자못 파(頗)자들은 가죽 피(皮)자가 들어 있어서 ‘파’로 읽습니다.
㝿
절름발이 타(尮)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늘어질 타(朶)자를 했습니다. 늘어질 타(朵)자와 늘어질 타(朶)자는 같은 글자입니다. 늘어질 타(朶)자는 나무의 열매나 꽃이 무거워서 늘어진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이에 내(乃)자는 꽃이나 열매를 그린 글자이고, 나무 목(木)자에 달려 있는 무거워서 늘어진 열매나 꽃을 그린 글자입니다.
+
= 尮
고달플 귀(尯)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위태할 위(危)자를 했습니다. 위태할 위(危)자는 우러러볼 첨(厃)자에 병부 절(㔾)자를 했습니다. 우러러볼 첨(厃)자는 낭떠러지 끝에 나앉은 모양이고 병부 절(㔾)자도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입니다. 낭떠러지 끝에 위태로운 상태로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삽 궤(䤥)자를 보면 위태할 위(危)자가 들어 있어서 ‘귀’로 읽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尯
부딪칠 회(㞀)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재 회(灰)자를 했습니다. 재 회(灰)자는 왼손 좌자에 불 화(火)자를 해서, 불에 손을 올려놓아 물건을 태우거나 고기를 굽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
= 㞀
절뚝거릴 요(㞁)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합할 요(㫐)자를 했습니다. 합할 요(㫐)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비수 비(匕)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비수 비(匕)자는 날카로운 비수를 뜻하지 아니하고 두 다리를 앞으로 뻗고 앉아 있는 사람을 그린 글자입니다. 합할 요(㫐)자는 태양과 사람이 합한 형상을 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㞁
각기병 퇴(㞂)자는 각기병은 다리가 부어서 절름거리는 병이기에,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온당할 타(妥)자를 했습니다. 온당할 타(妥)자는 여자가 시집갔다는 뜻으로 손톱 조(爪)자 아래에 여자 여(女)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손톱 조(爪)자는 손을 대신하는 글자로, 잡혔다는 뜻을 표시합니다.
尢 +
= 㞂
지칠 극(㞃)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골 곡(谷)자를 했습니다. 골짜기 곡(谷)자는 입천장을 그린 상형문자(象形文字)입니다. 입천장을 혀로 핥아보면 골이 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입천장의 골이 진 것을 그린 것이 입 구(口)위에 굴곡을 뜻하는 여덟 팔(八)자가 두 개가 위 아래로 있는 것입니다. 고을이름 극(郤)자도 골 곡(谷)자가 들어 있어서 ‘극’으로 읽습니다.
+
= 㞃
절름발이 암(㞄)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가릴 엄(奄)자를 했습니다. 가릴 엄(奄)자는 큰 대(大)자 아래에 번개 전(电)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번개 전(电)자는 번개의 뜻이 아니라, 두 손으로 공교할 교(丂)자를 가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두 손으로 가리는 자리는 바로 큰 대(大)자의 사타구니입니다. 부끄러운 부분을 가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구덩이 암(埯), 암자 암(庵), 암자 암(蓭), 머금을 암(唵), 머금을 암(唵), 넓을 암(痷), 여물 주머니 암(裺), 메추라기 암(鵪), 세가락 메추라기 암(鵪), 향기로울 암(馣), 검푸를 암(黤)자들은 가릴 엄(奄)자가 들어 있어서 ‘암’으로 읽습니다.
+
= 㞄
바르지 않을 라(㞅)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실과 과(果)자를 했습니다. 실과 과(果)자는 날 일(日)자에 나무 목(木)자를 해서, 나무와 해가 만나서 실과를 만드는 자연 현상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동녘 동(東)자는 날 일(日)자에 나무 목(木)자를 해서 해가 나무에 걸려 있는 모양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어두울 묘(杳)자는 나무 아래로 해인 날 일(日)자가 들어가서 어두움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밝을 고(杲)자는 날 일(日)자가 나무 끝에 있어서 해가 사방을 비추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발가벗을 라(裸), 알몸 라(倮)자는 실과 과(果)자가 들어 있어서 ‘라’로 읽습니다. 이 글자들을 보면 나무에 달린 과실이 발가벗고 있는 모습임을 비유했습니다.
+
= 㞅
절름발이 기(㞆)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기이할 기(奇)자를 했습니다. 기이할 기(奇)자는 사람을 표시하는 큰 대(大)자 아래에 옳을 가(可)자를 해서, 사람의 개성을 존중하는 글자입니다. 사람마다 다른 기이한 것이 바로 개성이며, 그것은 옳은 것이라는 글자입니다.
+
= 㞆
다리 부을 종(尰)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무거울 중(重)자를 했습니다. 무거울 중(重)자는 저울추를 그린 글자로 보입니다. 옛글자를 보면 사람의 모습을 한 글자 아래에 무거운 것을 달고 있어서 땅에 질질 끌리는 모양입니다. 종 종(鍾), 부스럼 종(腫), 말 못할 종(喠), 발꿈치 종(踵), 연못 둑 종(堹)자들은 무거울 중(重)자가 들어 있어서 ‘종’으로 읽습니다.
+
= 尰
이룰 취(就)자는 서울 경(京)자에, 더욱 우(尤)자를 해서 높은 곳에 기어 올라갔다는 성취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지금 처럼 생각하면 사람들이 모두 더욱 서울로 모여들어서 서울을 이루었다는 뜻을 표시했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나아갈 취(就)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모두 서울로 나아가서 모여드는 것을 표시했습니다.
就
각기병 외(㞇)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두려워할 외(畏)자를 했습니다. 두려워할 외(畏)자는 밭 전(田)자 아래에 옷 의(衣)자의 아랫부분과도 비슷하고, 죽을 상(喪)자의 아랫부분과도 같은 글자를 했습니다. 옷 의(衣)자의 아랫부분과도 비슷하고, 죽을 상(喪)자의 아랫부분과도 같은 글자는 사람의 하체를 표시한 글자로 보입니다. 두려워할 외(畏)자는 두려움의 대상을 상상하여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두려워할 외(畏)자의 옛 글자를 보면 귀신을 그린 글자같이도 보입니다. 귀신을 그려서 두려움을 나타내는 글자로 삼았습니다. 여기서 밭 전(田)자는 두려워서 얼굴이 크게 보이는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㞇
발이 클 발(㞈)자는 절름발이 왕(尢)자에 넓적할 편(扁)자를 했습니다. 발이 넓적하게 크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넓적할 편(扁)자는 지게문 호(戶)자 아래에 책 책(冊)자를 했습니다. 지게문도 넓적하고, 책도 넓적합니다. 모두 넓적한 물건을 합해서 만든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㞈
절뚝거릴 감(尲)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겸할 겸(兼)자를 했습니다. 소금기 감(鹻)자는 겸할 겸(兼)자가 들어 있어서 ‘감’으로 읽습니다.
尲
무릎 병 골(尳)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뼈 골(骨)자를 했습니다. 뼈 골(骨)자는 뼈 발라낼 과(冎)자 아래에 고기 육(肉,月)자를 했습니다. 뼈 발라낼 과(冎)자는 살을 발라내서 앙상한 뼈만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뼈는 살과 서로 붙어 있습니다.
尳
절뚝거릴 감(尴gān,尷)자는 절뚝거릴 감(尷)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절뚝거릴 감(尷)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
= 尷
발이 클 찰(㞉)자는 절름발이 왕(尢)자에 어긋날 차(差)자를 했습니다. 한 쪽 발이 다른 한 쪽 발보다 매우 큼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어긋날 차(差)자는 옛 글자를 보면 서로 다르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사람 둘을 그리고 글자 아래에 손 수(手)를 하고 다르다는 표시로 두 이(二)자를 했습니다. 이(二)자는 선을 두 개 그음으로써 서로 다름을 표시한 것입니다. 이 선 두 개가 나중에 장인 공(工)자로 변했습니다. 사람 둘을 그리고 손 수(手)를 하고 두 사람 가운데를 나누어 놓은 것이 양 양(羊)자처럼 보이지마는 양(羊)자가 아니라 사람 둘이 다르다는 것을 그린 표시입니다.
+
= 㞉
걷지 못할 술(㞊)자는 날 출(出)자 아래에 보일 시(示)자를 하고 절름발이 왕(尢)자를 했습니다. 걷지 못할 술(㞊)자에서 절름발이 왕(尢)자도 발 걷지 못함을 뜻하지마는, 제사를 뜻하는 보일 시(示)자를 해서 더욱 걷지 못하고 안에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걷지 못할 술(㞊)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㞊
들피가 질 퇴(尵)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尢)자에 성부(聲符)로 귀할 귀(貴)자를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는 재물을 뜻합니다. 재물은 많은 영향을 광범위하게 끼칩니다. 귀할 귀(貴,䝿)자는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한 글자는 손을 그려서 대상을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재물을 두 손으로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귀(貴)한 것은 내가 잡아당긴 나의 재물입니다. 천한 것((賤)은 그저 쌓여 있는 남의 재물입니다. 같은 재물이라도 내 것이면 귀(貴)하고 남의 것이면 천(賤)합니다. 좇을 퇴(僓), 음병 퇴(㿉), 쇠퇴할 퇴(穨), 넘어질 퇴(蹪), 무너뜨릴 퇴(隤)자들은 귀할 귀(貴)자가 들어 있어서 ‘퇴’로 읽습니다.
+
= 尵
껄끄러울 감(尶)자는 의부(義符)로 절름발이 왕(尣,兀)자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
= 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