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대륙 조선사 연구회
 
 
 
카페 게시글
역사토론방(출처있는글) <해상록(海上錄)>의 지명(地名) - 上關(상관), 下關(하관)
김홍필 추천 0 조회 386 10.11.15 11:37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11.15 22:04

    첫댓글 정확히는 알 수가 없습니다만, 下關條約’(하관조약)=馬關條約’(마관조약) 이라는 명칭에서 말과 해당지역은 말과 관련있었던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겠죠. 말 이야기는 많이 나왔었죠... 남쪽에 있고, 말이 있고...

  • 10.11.18 21:42

    아마도 중국대륙에는 "상관(上關) 중관(中關)"은 없다고 보는 모양이시군요. 그럴까요? "하관(下關)"이라고 해서 그 하나뿐일까요? 2곳? 3곳? 아니 7곳이라면요? 그렇다면 "상관(上關)"은 1곳뿐일까요? 이것도 몇 곳이나 되지 않을까요?

  • 작성자 10.11.19 16:53

    <해상록(海上錄)>에는 上關(상관)과 下關(하관)이라는 왜국(倭國)의 지명(地名)이 나오며, 그 당시의 그곳들을 각각 하나로 특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희득(鄭希得)이 기록한 지명(地名)을 구체적으로 찾아내야 합니다. 대충, 대략이 아니고요...
    따라서, 그곳들을 16세기 말엽 중국 대륙의 어디로 각각 비정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자는 뜻입니다.

  • 작성자 10.11.19 17:13

    왜국(倭國)의 경도(京都) 곧 왜경(倭京)에 가까운 순서대로 上關(かみのせき), 中關(なかのせき), 下關(しものせき)이 설치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 일행(一行)도 지나간 길이라고 합니다.
    조선(朝鮮)에서 왜경(倭京)으로 출입하는 "교통의 길목"이므로, 이들은 매우 중요한 지명(地名)이라고 봅니다.

  • 작성자 10.11.19 17:22

    또한 절대로 간과하면 안되는 것은...
    왜인(倭人)은 下關(하관)을 시모노세키(しものせき)라고 훈독(訓讀)하며 上關(상관)을 카미노세키(かみのせき)라고 훈독(訓讀)한다는 사실입니다.
    한자(漢字) 표기가 똑같다고 해서, 모두 다 똑같은 지명(地名)은 아닙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