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소득상위20%의 월평균교육비는 114만원입니다.
그들의 평균소득 653만원의 17.5%이고 식품비와 주거비를 합한 금액과 비슷합니다.
일반가구들은 과다한 교육비지출로 노후를 걱정하고있습니다.
과다한 교육비는 젊은이들의 결혼기피의 한요인이기도 합니다.
정부는 오늘 사교육종합대책을 발표한다고 합니다.
Korean households spend more on tutoring than food, housing
우리나라 가구 식품, 주거비보다 교육비 지출이 더 많음
By Lee Yeon-woo 이연우 기자
Posted : 2023-06-25 16:27 Updated : 2023-06-25 16:29
Korea Times
Kim, a housewife in Seoul who asked to be identified only by her surname, has recently found herself clashing with her husband over tutoring expenses for their 13-year-old child.
서울의 주부 김모씨는 최근 13살 자녀의 과외비 문제로 남편과 갈등을 빚고 있다
"Tutoring expenses are now the largest burden on our household budget. I am trying my best to reduce the number of classes that my kid attends, but it's hard to decide which ones to drop. Each subject is considered important to have good grades in middle school, and I don't want my child to be left behind," Kim told The Korea Times.
“과외비는 이제 우리 가계의 가장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아이가 다니는 수업을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어떤 수업을 빼야 할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각 과목은 중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중요하게 여겨지며, 나는 내 아이가 뒤처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김씨는 코리아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She said that her child is taking English, mathematics, writing and taekwondo classes, emphasizing that other children in her neighborhood are "doing this much or even more."
그녀는 자신의 아이가 영어, 수학, 글쓰기, 태권도 수업을 듣고 있다고 말하면서, 이웃의 다른 아이들이 "이 정도 혹은 그 이상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Another mother, who has a three-year-old and a seven-year-old, expressed her anxieties to The Korea Times. Despite being a devoted mother who quit her job to fully commit to the job of raising her children, she cannot help but feel overwhelmed as she becomes aware of other mothers investing millions of won in privately educating their children, known in Korea as "hagwon."
세 살, 일곱 살짜리 아이를 둔 또 다른 엄마는 코리아 타임즈에 고민을 털어놓았다. 아이들을 키우는 일에 전념하기 위해 직장을 그만둔 헌신적인 엄마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학원'으로 알려진 곳에서 자녀를 사교육을 시키는데 수백만원을 투자하는 다른 엄마들을 알게 되면서 그녀는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
"If I try to keep up with other parents, I don't think I could ensure financial security for my old age," said Yoon who also asked to be identified only by her surname. "I hadn't realized that children would need so much private education as they move up in grades. At one point, I even regretted staying at home, instead of continuing to work."
윤모씨는 "다른 부모들을 따라가려고 하면 노후에 대한 경제적 안정을 보장할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아이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교육이 그렇게 많이 필요할 줄은 몰랐다. 어느 순간, 나는 일을 계속하는 대신 집에 머무르는 것을 후회하기까지 했다. "
Kim and Yoon's anxiety reflects the reality that Korean households are spending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ir income on tutoring their children. According to recent data from Statistics Korea, private tutoring expenses even exceed spending on food or housing for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김씨와 윤씨의 불안은 한국 가정이 소득의 상당 부분을 자녀 과외에 지출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사교육비 지출이 식료품이나 주거비 지출보다 많다.
The data showed that those in the top twenty percent income bracket on average (mean) spent 1.14 million won ($869) monthly on tutoring their children aged between 13 and 18. This accounted for 17.5 percent of their monthly income, which stood at 6.53 million won.
자료에 따르면 소득 상위 20%(평균) 계층은 13~18살 자녀를 과외 하는데 월평균 114만원(869달러)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53만원에 머무르고 있는 이들의 월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7.5%에 달했다.
The money spent on tutoring was close to the combined amount spent on food and housing, which was on average 636,000 won and 539,000 won, respectively.
과외에 쓴 돈은 식품과 주거에 쓴 돈을 합친 금액에 육박해 각각 평균 63만6천원, 53만9천원이었다.
Households with lower incomes were no different. Those in the bottom 20 percent spent an average of 482,000 won on tutoring, 481,000 won on food and 356,000 won on housing.
소득이 낮은 가구도 다르지 않았다. 하위 20%에 속하는 사람들은 과외에 평균 48만2천원, 식품에 48만1천원, 주거에 35만6천원을 지출했다.
"Even though we have to tighten our belts, what else we can do? I want to provide everything for my child," said Kim.
“허리띠를 졸라매야 함에도 불구하고 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나는 내 아이를 위해 모든 것을 제공하고 싶다,” 고 김씨는 말했다.
By region, Seoul's average monthly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was the highest at 596,000 won. This was followed by Gyeonggi Province (446,000 won), Daegu (437,000 won) and Sejong (418,000 won).
지역별로는 서울의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59만6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경기도 44만6천원, 대구 43만7천원, 세종 41만8천원 등의 순이었다.
The rate of students receiving private education was also the highest in Seoul at 84.3 percent. Gyeonggi Province and Sejong followed closely with 82.1 percent and 80.5 percent, respectively. In Seoul, 91.2 percent of elementary students residing in the capital are engaged in private education.
사교육을 받는 학생 비율도 서울이 84.3%로 가장 높았다. 경기도와 세종시가 각각 82.1%, 80.5%로 뒤를 바짝 쫓았다. 서울에 거주하는 초등학생의 91.2%가 사교육을 받고 있다.
In an effort to alleviate the burden on parents, the government will announc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on the private education industry on Monday. The Ministry of Education declared that it would eliminate unfair practices in the private education sector, which threaten public education and place severe financial burdens on students and their parents
학부모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는 월요일 사교육업계에 대한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부가 공교육을 위협하고 학생과 학부모에게 심각한 재정적 부담을 주는 사교육 분야의 불공정 관행을 없애겠다고 선언했다.
#사교육비 영어, 수학, 글쓰기, 태권도 수업 #소득상위계측사교육비114만원 #소득대비사교육17.5% #소득하위계층사교육비48만원 #서울사교육비율84% #사교육종합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