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대문학상, 시작작품상, 한국출판학술상 수상
한국을 대표하는 허연 시인의 첫 동시집
여러분은 날마다 기발한 상상력으로 엄마 아빠를 놀라게 하고 있을 거예요. 여러분의 창조적인 생각이 나중에 어른이 됐을 때 큰 힘이 되어서 돌아올 거예요. 겁내지 말고, 참지 말고 마음껏 상상하고 말하세요. 세상은 여러분 것이니까요. -허연(시인의 말 중)
한국 현대 시를 대표하는 허연 시인의 첫 동시집이 출간되었다.『나쁜 소년이 서 있다』,『불온한 검은 피』,『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등 세상을 향한 날카롭고 예민한 시선으로 시를 써 왔던 그가 이번에는 아이들을 위해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동시를 선보인다. 늦둥이 딸 민재를 통해 본 세상은 신기함과 놀라움으로 가득하다. 아이와 함께한 소소한 일상, 평범해 보이는 하루하루가 새로움으로 한껏 차 있다. 어른의 입을 빌어 아이의 시각으로 본 가족, 친구는 엉뚱하고 발랄하며, 재치 있고 유머러스하다.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글 : 허연 (許然)
서울 도심에서 나고 자랐다. 오랫동안 꿈꿔 온 가톨릭 사제의 길을 포기하고 시인의 길을 선택, 스물여섯 살에 「권진규의 장례식」 외 7편의 시가 《현대시세계》 신인상에 당선되며 등단했다.『불온한 검은 피』 『나쁜 소년이 서 있다』 『내가 원하는 천사』 『오십미터』 『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 등 다섯 권의 시집을 냈다. 연세대학교에서 저널리즘 석사학위를, 추계예술대학교에서 문화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게이오대학 미디어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문청들의 교과서이자 청춘의 경전으로 불리는 첫 시집 『불온한 검은 피』에서부터 성과 속의 세계를 동시에 살아내는 실존주의자의 허무를 노래하는 근작에 이르기까지, 예술적 광기와 심리적 허기가 불협하며 만들어 낸 시적 착란은 매번 새롭게 아름다운 폐허의 한복판을 만들어 내며 허연의 시가 지닌 독자적 리듬과 독보적 색채의 근간이 되었다.
시집 외에도 『고전여행자의 책』 『가와바타 야스나리』 『시의 미소』 등 고전을 탐닉하며 쌓아올린 지성과 취향을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명작의 세계를 안내하는 저서를 다수 출간했다. 현대문학상, 시작작품상, 김종철문학상, 한국출판학술상 등을 받았다. 매일경제신문 문화선임기자로 재직 중이다.
그림 : 소복이
그림책을 쓰고, 그림도 그리는 작가. 독특하면서도 서정적인 그림과 글로 어린이 독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소년의 마음』으로 부천 만화 대상 어린이 만화상(2017)을 수상했으며, 『엄마 말고 이모가 해 주는 이야기』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 출판 콘텐츠(2021) 도서로 선정되었다. 『이백오 상담소』, 『왜 우니?』, 『애쓰지 말고, 어쨌든 해결 1, 2』, 『구백구 상담소』 등을 쓰고 그렸다.
책 속으로
오늘은 마트에서 엄마와 귤을 샀다 이 귤 저 귤 만져 보고 냄새 맡아 보고 힘들게 귤을 골랐다/ 시지 않아야 할 텐데… 아빠가 귤 먹다가 얼굴 찡그리지 않았으면 좋겠는데 / 마트 가방에 담긴 귤 맛있어져라 맛있어져라 주문을 걸면서 집에 왔는데 / 귤이 완전 달다 아빠도 얼굴 안 찡그리고 기분이 좋다 너무 맛있어서 귤에게 말 걸고 싶다
--- 「귤에게 말 걸고 싶다」 중에서
아빠 월급날 아빠가 저녁에 회사 앞으로 오라고 해서 엄마 손 잡고 갔어요 / 아빠가 갈비를 사 줬어요 너무 맛있었어요 집에서 엄마가 해 주는 요리하고는 달랐어요 자꾸자꾸 먹고 싶어서 또 주문을 했어요 / 집에 와서 일기를 썼어요 “오늘은 갈비였다.”
--- 「오늘은 갈비였다」중에서
아빠는 만날 “민재야, 내일 해 줄게.”라고 말해요 / 왜 내일은 만날 만날 있죠? 미운 내일이 만날 있는 게 문제예요
--- 「내일이 만날 있는 게 문제예요」중에서
출판사 리뷰
■ 아빠와 딸의 따뜻한 교감
아빠는 애매한 시간에 와서 잠을 깨우고, 쉬는 날 누워만 있어 혼자 노는 내가 고생이 많고, 아이스크림 사 달라고 할 때도 만날 내일 해 준다고 한다. 하지만 시가 뭐냐고 물었을 때, 바로 너라고 말해 주고, 월급날 맛있는 갈비도 사 준다.
아빠와 딸은 같은 공간과 상황에서 다른 말을 하는 것 같지만 서로의 마음을 늘 보듬고 살핀다. 어른과 아이라는 수직적 시선이 아닌 평등하고 다정한 수평적 시선으로 눈을 맞춘다. 때론 서로에게 재미난 관찰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친구처럼 다정한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귀여운 불만을 쏟아 놓기도 한다. 소소한 일상이 함께여서 더 빛나고 의미 있는 시간이 된 순간순간들이 시로 표현되었다.
딸의 시선으로, 아빠 입을 통해 나온 시들은 하나같이 솔직하고 엉뚱하고 발랄하다. 집안에서 쉽게 일어나는 일들로 아이들이 쉽게 공감해 몰입할 수 있다. 또 시를 읽으면서 자신의 기분, 상황, 생각 등 나만의 이야기를 풀어 볼 수도 있다.
■ 이야기가 담긴 세 컷 만화로 보는 재미
세 컷에 담긴 만화는 시의 이야기를 기승전결로 재미나게 풀었다. 따뜻하면서도 유쾌하고 재치 넘치는 상황 묘사, 캐릭터들의 풍부한 표정으로 시의 의미를 확장시킨다. 시가 품고 있는 다양한 의미를 시각적으로 보여 줘 쉽고도 감칠맛 나게 표현했다. 짓궂은 아빠의 표정과 뚱하면서도 정 많은 딸의 티격태격하는 모습은 웃음을 자아내며, 어린 독자들도 쉽게 동화된다. 담백한 연필 선에 절제된 포인트 채색으로 시적 상황과 인물의 감정에 더 집중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