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의산(106m), 원미산(167m), 말미산(132m).춘덕산(106m).봉배산(121m).도당산(98m).벽산(91m)/경기 부천
산행일자;2021년 6월24일(목). 날씨;맑음. 산행거리;10.9km 산행시간;4시간30분
교통편 및 비용; 시니어 무료
<갈때> 가양역-(지하철 9/1/7호선)-춘의역8번출구
<올때> 온수역-지하철(1/9호선)-가양역
산행코스; 7호선 춘의역 8번출구- 등산로입구-춘의정-부천 천문과학관-춘의산 정상-도당공원- 삼각점(경기40)봉-여월로 소사로 횡단보도-여월공원-길주로 동물이동통로- 원미정-원미산- 말미산- 춘덕산-부천 청소년수련원-도당산-벽산-1호선 온수역
■춘의산(春衣山106m)은 원미구 춘의동·도당동과오정구 여월동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다. 이 지역은 언제나 따뜻한 봄과 같은 지역이어서 이렇게 불렀으며 이 산 남쪽 골짜기에는 '양짓말'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은 한겨울에도 따뜻할 봄라 갈다'는 이 지역의 기후로 인해 붙여진 명칭임을 알 수 있게 한다. 1910년대에 발행된 <<조선지지자료>>에는 春意山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봄을 생각하는 산' 혹은 '봄을 뜻하는 산'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춘의산(春衣山)은 한겨울에도 봄과 같이 따뜻한 산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10년에 발간한 조선지지자료에도 봄을 생각하는 산 또는 봄을 뜻하는 산이라는 의미의 춘의산(春意山)으로도 불렸다.
춘의산 주봉을 '매봉'이라 했다. 그 이유는 옛날 부평관아가 있던 인천시 부평구 계산동에서 이쪽을 바라보면 산세가 마치 '매가 웅크리고 앉아있는 형상'과 같이 뾰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매'는 새 중류인 매가 아니라 산을 뜻하는 '뫼'보다 더 나중 에 쓰인 산을이르는 말로 보는 경우가 있으므로 매봉은 '산봉우리' 를 이르는 맡로도 볼수 있다. 이 매가 한자로 표기 되면서 梅, 每 또는 매를 뜻하는 응(應)으로 쓰인 경우도 있다. 부천의 상징새가 보라매인데 이 매봉과 연고가 있어 결정된 것 같다.
춘의산을 일명 '와우산'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산세가 마치 '큰 소가 누워 있는 형상과 같다'하여 붙여진 것이다. 춘의산 서쪽 골짜기에는 우산방죽골'이라는 마을이 있었다. 춘의산 정상은 6.25사변 당시 영국군이 주둔하면서 뾰족하던 정상을 평평하게 깎아옛 모습은 찾 수 없으나 지금도 군부대와 배수지가 자리하고 있어 또 다른 중요한 의미를 주고 있다. 이곳은 내동에 정착한 전주 이씨 사직공 후손들이 종중산으로 시제를지내는 곳이다.
춘의산 주봉 남쪽으로 또 하나의 봉우리가 있는 데 이 봉우리를 당아래 사람들은 춘지봉(春址峰)이라 칭했다. 뜻을 풀자면 '봄의 터'라 할 수 있다. 이 춘지봉 정상은 평평한 초원으로 되어 있어 해마다 꽃피는 봄이면 인근의 선비 유생들이 모여 詩會 를 열고 부평, 김포벌의 아름다운 경관을 바라보며 춘심을 노래하고 풍류를 즐겼다고 하며 이 때 당아래 아낙네들은 음식을 제공해 주곤 했다고 한다. 지금의 춘지봉 정상에 철전주가 서 있는데 가끔 동네 개구장이 들이 돌로 철전주를 때리는 소리가 옛날 선비들의 詩唱 대신하는 것 같다. 이렇게 춘의산은 봄을 상징하는 산으로 전래되어 내려온 것인데 1973년 시로 승격되면서 동명칭을 지을 때 '뜻 意' 혹은 '마땅 宜'자를 '옷衣'자로 잘못 표기하여 지금은 春衣山. 春衣洞이라고 명기하고 있다. 이 에 우리 고장에 계속 전래되어 온 마을 명칭의 원형을 찾아 春宜(意)山. 春宜(意)洞으로 고쳐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미산(遠美山167m)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과 춘의동·소사동·역곡동 사이에 있는 산이다.원미산은 멀미산으로, 멀미의 ‘멀’은 머리에서 나온 것이다. 머리는 ‘imagefontimagefont’에서 나온 말로 ‘꼭대기·마루’를 뜻하며, ‘크다·신성하다·존엄하다’의 뜻도 가지고 있다. ‘미’는 산의 고유어로 ‘미·메·뫼’ 등이 쓰였다. 그러므로 멀미산은 아주 ‘신성한 큰 산’이라는 뜻이다. 이는 역전앞처럼 동의어 반복으로 별다른 의미가 없다. 원미산은 조선 후기 이후에 붙여진 이름으로 보여진다.『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는 옥산면 조종리에 속하는 원미산(遠眉山)으로 기록되었는데, 이를 원미산(遠美山)으로 바꾼 것은 ‘미’에 대한 해석을 잘못했기 때문에 생긴 오류로 보인다. 눈썹미(眉)가 아름다울 미(美)로 바뀐 것이다. 예전에는 원미산(遠眉山)이라는 기록이 없어 현대에 들어서 임의적으로 붙여진 것이다. 『부천사연구』에서는 멀미를 원미산이라 이름 붙이고 아래와 같이 해설을 붙였다. “옛날 부평부 관아의 동헌에서 이 산을 보면 정통으로 바라보이는데 아침 해돋이 때의 산세는 그지없이 선연하고 아름다우며 저녁 노을에 반사된 그 푸르름은 단아하기가 비길 데 없었다.
더욱이 부천벌을 굽어 감싸는 듯한 정경이 어찌나 아름다웠던지 멀리서 바라본 산 풍경에 누구나 감탄하였다 한다. 이에 도호부사가 산의 이름을 물었으나 아무도 대답하는 사람이 없자 부사가 그 즉시 산 이름을 원미산이라 하여 오늘날까지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최고봉인 장대봉에서 바라보면 부평 계양산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다가오고 뒤쪽으로 할미산이 한걸음 정도의 거리밖에 느껴지지 않는다. 멀리 김포의 한강 줄기가 안개 속에 희미하게 보인다. 1923년 한강수리조합이 생기기 전 중동까지 바닷물이 들어왔을 때는 멀미산 아래까지 바닷물이 들락거렸을 것이다.
멀미는 제1봉우리로 장대봉이 우뚝 솟아 있고, 제2봉우리 멀미봉이 소사동 방면에 솟아 있다. 제3봉우리로 장자봉이 있지만 서울 남부터미널로 통하는 춘의로를 뚫어 봉우리가 송두리째 잘려 나간 상태이다. 그 봉우리를 기둥 삼아 뒤골·고비골·장자골·봉골·방골·망골·둔대골·뱀골·미골·멱골 등의 골짜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들 골짜기는 여름이면 시원한 계곡물을 품어 내고, 가을이면 멋스런 단풍을 뽐내었지만 지금은 물이 말라 계곡으로서의 면모를 상실하고 있다.
주요 식생은 아까시아나무·상수리나무·산벚나무·리기다소나무·잣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림으로, 높은 산에서 자라는 상록수나 침엽수림은 보기 힘들다.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 벌거벗은 산을 녹화한다는 명목으로 마구잡이로 심은 아카시아꽃이 지천으로 피어난다. 또한 인공적으로 조성한 철쭉들이 봄이면 활짝 만개해 멀미 철쭉제가 열리기도 한다.주변에 중앙도서관, 축구장, 테니스장, 농구장, 현충탑 등이 있다. 등산코스도 가꾸어져 있으며, 원미공원과 인공적으로 조성된 삼림욕장이 많은 시민들의 쉼터가 되고 있다. 부천시내에서 원미공원 입구행 버스를 이용하거나, 경인고속국도를 타고 부천 나들목에서 구 원미구청 앞에서 원미공원 입구로 오면 된다. 원미산 등산코스를 새롭게 개발해서 원미산 둘레길로 개방하고 있다. 원미산은 아주 신성한 큰 산이라는 뜻의 멀미산, 벌응절리에서 부르는 둥근 산이라는 뜻의 둔대산, 춘덕산, 우리말의 벼락, 베락, 베리, 벼루, 별, 베루 등에서 나온 말인 낭떠러지가 많은 산이라는 뜻의 벼락산 등의 이름을 갖고 있다.
■멀미산(132m)은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원미동에 있는 산이다. 경기도 부천시의 주산(主山)으로서 둔대산(屯垈山)·벼락산·춘덕산(春德山)·원미산(遠美山)이라고도 한다. '멀'은 '꼭대기·마루' 또는 '크다·신성하다'는 뜻을 지닌 '머리'에서, '미'는 '메·뫼' 등으로도 쓰이는 산(山)의 우리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멀미'는 '매우 신성한 큰산'을 뜻한다. 오른쪽으로 고리울 봉배산이, 왼쪽으로는 도당의 매봉이 있으며, 벌응절리·조마루·겉저리·여월동을 품에 안고 있는 듯한 형상이다.
높이는 123.8m이며, 장대봉·멀미봉·장좌봉 등의 봉우리와 둔대골·새재골·망골·뱀골·미골·멱골·절골·뒷골·가잿골·장자골·봉골·밤골·망골 등의 골짜기 그리고 새를고개·사루개고개·서낭당고개·독쟁이고개 등을 포괄한다. 멀미에서 사래울 쪽으로 안산(案山)이 튀어나와 있으며, 안산에서 오른쪽으로 미골에 못 미치는 곳에 백토현산(白土峴山)이, 왼쪽으로는 감배산이 있다. 원미산산림욕장이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한편, 부천시 소사구 괴안동에도 멀미라는 이름의 산이 있다. 한자로는 원산(圓山)이라고 하며 와우산이라고도 부른다. 이 산의 꼭대기를 기점으로 남쪽 절반은 부천에 속하고, 북쪽 절반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에 속한다
2021.06.24(목)(05;30)기상 목요일은 개인적으로 휴일입니다. 여느때처럼 새벽 홈트를 1시간정도 하고 아침식사를 끝내고 나니 (08;00)경입니다. 공원길도 지루하여 한강을 걸으러 나갈까 하다가 그늘길이 좋을 듯 싶어 춘의산과 원미산을 생각합니다.
간단하게 배낭꾸리고 아파트나서(08;30)가양역에서 9호선을 타고 노량진역에서 1호선환승(08;45~08;50/5분) 하고 온수역에서 7호선환승(09;12/09;19/7분)하여 (09;26) 춘의역에 도착합니다.
춘의역 역내에서 산행준비후 8번출구 나오니 약19분 (09;26~09;35)이 소요 됩니다. (09;35) 춘의역8번출구에서 산행시작합니다.
0km 0분 [춘의역 8번출구](09;35)
7호선이 연장되어 교통이 편리해졌다. 춘의역 7번출구쪽은 에스컬레이터가 없고 8번출구는 에스컬레이터가 있어 8번출구로 나온다. 직진으로 계속 도로 따라도 되나 첫3거리에서 좌회전 후 2번재 3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직진으로(8번출구 나와 직진 도로 따르는 방향) 도로따른다. (09;43)춘의산 등산로 입구다.[0.3km][8분]
0.3km8분 [등산로입구](09;43)
“해담숲 여가녹지” 입간판 서있고 우측아래 소공원 꾸려있다. 목책계단을 밟고 메트길따라 간다. (09;48) 부천종합운동장역쪽에서 오는 등로와 만나 좌측으로 오름길 오른다. (09;48) 목책계단을 오르니 (09;52) 춘의정이다. (09;52)이정표(벚꽃동산/부천종합운동장역)와 춘의정 설명판 서있다.
부드러운 잘정비된 등로 따르니 (09;57) 조형물과 체육시설이 있다. (10;00) 배수지 정문에서 직접안으로 들어가도 되나 배수지 울타리 우측으로 데크등산로 있어 등로 따르니 (10;02) 부천 천문과학관 건물 뒤쪽으로 진행 우측으로 능선따라 오른다. 정상직전 3거리에서 약2m거리 (10;10)춘의산 정상을 왕복한다.[1.2km][27분]
1.5km 35분 [춘의산](10;10~10;15)[5분]
춘의산 정상은 6.25사변 당시 영국군이 주둔하면서 뾰족하던 정상을 평평하게 깎아 옛 모습은 찾 수 없으나 지금도 군부대와 배수지가 자리하고 있어 또 다른 중요한 의미를 주고 있다.
정상은 옆쪽으로 군부대가 보이는 곳이며 그 흔한 정상표지판도 표지석도 없고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몇장이 걸려있을 뿐이다. (cf 바위가 한 개 놓인 정점에서 하산길은 다시 부천 천문과학관으로 내려서는 길이다.)잠시 알바하고 되돌아 올라와(정상에서 2m Back) 3거리에서 우향 군부대 방향 공터로 내려선다.
잡풀사이로 난 소로길을 따르면 군부대를 우측에 두고 잘정비된 등로를 만나 완만하게 우측으로 이어간다.
3거리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면 (10;22) 정자를 만나고 (10;23) 이정표(백만송이장미원/벚꽃동산)를 지나 (10;24) 깨끗하게 보이는 작은 우물(음용불가)을 지나고 (10;26) 데크공연시설을 지나 내려서 우측능선으로 오른다.
완만한 오름길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84봉이다.[1.2km][20분]
2.7km60분 [삼각점봉](10;35)
지적표시석이 있는 삼각점(경기40)봉이다. 일반 삼각점과는 부호체계가 다른 것 같다. 이정표(도당제.약수터/아기장수바위/백만송이장미원)를 지나고 (10;37) 돌탑을 지나 능선길 이어가 완만하게 내림길 내려서면 (10;41) 가족묘지인지 넓은 묘지군을 지나 임도를 만나 좌측으로 임도 따른다.
(10;45)4차선 도로 3거리(소사로와 여월로)를 횡단보도따라 건넌다.
(10;50) 옹기박물관에서 건너오는 소공원에서 데크길따라 능선에 붙어 우측으로 간다. (10;53) 이정표(원미산/부천종합운동장역/백만송이장미원/여월옹기박물관)를 지나고 (10;54) 임도상 이정표(원미산/부천종합운동장역/백만송이장미원/여월옹기박물관) 만나 이정표(원미산방향 임도를 따르지 않고 아무런 방향 표시가 없는 직진 능선길을 진행한다.
능선길이 좌측으로 곡각되는 지점에서 긴 목책계단을 내려서고 (11;05) 길주로를 동물이동통로를 통해 건넌다.
(11;06)이정표(원미산 진달래동산/무릉도원수목원/여월공원옹기박물관)를 지나 급경사 데크계단따라 오름길 오른다.
(11;14)“전망의숲” 표지판 서있고 정자 쉼터 있는 조망터에서 잠시 조망 즐긴다. (11;15)향토유적지숲 이정표(한샘약수터/종합운동장/부천상록중학교)를 지나 (11;30) 벤치정상과 이정표(진달래동산/부천상록중학교/한샘약수터),(11;40)이정표(원미산정상/현충탑/진달래동산)을 지나 오르니 정상석있는 원미산 정상이다.[3.2km][80분]
5.9km 140분 [원미산](11;55)
정자가 있고 그앞에 커다란 원미산 정상석이 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급경사 계단 내림길 내려선다. 4거리고개 안부에서 오름길 오른다. 멀미산 정상이다.[0.3km][10분]
6.2km 150분[멀미산](12;05)
김신원 만산회회장님과 멀미산 표시된 만산 동호회시그널이 걸려있다. 내림길 내려선후 3거리에서 좌향 내림길 내려 건너편 보우리가 세럴산인줄 알고 진행 했는데 춘덕산을 만난다. (cf 능선따라 좀더 진행하면 세럴산인데 지도를 잘못이해하고~~ㅠ.)
좌측으로 없는 길을 개척으로 치고 오르니 (12;25) “치산”이란 표지석이 박힌 출입문 담이 설치이 설치되고 울타리로 둘러 막은 석물갖춘 묘지 2기를 만난다.
대문이 열려있어 묘지안으로 들어가나 울타리에 막혀 밖으로 나갈 수 없어 다시 문으로 나와 묘지를 우측에 두고 좌측으로 울타리 따라 능선에 오른고 완만한 능선길 이어가 봉에 선다.[0.8km][25분]
7.0km175분[춘덕산](12;30~12;42)[12분]
세럴산 찾아왔는데 춘덕산 이다. 작은 바위가 밖힌 봉이다. 동복배하사님이 부착한 작은 비닐코팅 춘덕산 표지판 부착되어있고 뉴 새마포산악회 표지기도 한 장 걸려있다.
사람도 없는 한적한 정상에서 약 12분간 준비해간 떡과 과일로 원기 보충하는 휴게시간 갖는다.
조금내려서니 (12;43)작은 돌맹이를 모아 Y자모양의 조형물을 만든 곳을 만나고 내려서 금줄을 넘으니 (12;44)계영고개이정표(춘덕약수터/역곡2동/원미산정상) 서있는 4거리다. 멀미산 가기전 안부에서 연결된는 지점이다.
우측으로 계단 밟아 내려가니 (12; 47) 의병장 박진장군 전승비석과 (12;48)춘덕약수터(음용불가)와 정자를 만나 구경하고 (12;56) 이정표(청소년수련원/역곡안동네/네거리쉼터/진달래동산)에서 청소년수련원 방향 완만한 허리길로 진행 (13;00)청소년수련원 표지석을 빠져나온다.[0.9km][18분]
7.9km 205분[청소년수련원표지석](13;00)
돌 우측에 수로따라 맑은 물이 많이 흐른다. 도로3거리에서 아랫길로 가서 지하통로를 빠져 나와야 하는데 직진으로 나와 (13;04)역곡로를 횡단보도로 건너나 밑에 이정표와 반사경이 보이는데도 좌측으로도 우측으로도 내려설수가 없다. 왔다갔다 하다가 시간만 (13;04~13;10)[6분]보내고 할수없이 스텐 인도 방지 울타리를 넘어 내려서 확인하니 굴다리가 있다.(cf후답자는 역역곡로 오기전 3거리에서 아랫길로 진행 역곡로를 굴다리로 통과 하시길)
(13;10)반사경 서있고 이정표(부천식물원/역곡안동네/원미산) 서있다. 아무런 표시없는 임도를 2m 정도 진행후 우측 산길로진입한다. 좌측으로 능선길 이어가면 (13;15) 국가지정번호 다사3912 4450)을 지나고 (13;20) 산불감시초소봉에 선다.[1,1km][20분]
9.0km 225분 [봉배산=산불감시초소봉](121m)(13;20~13;22)[2분]
2층 산불감시초소 서있고 삼각점(판독불가) 도있다. 그리고 국가지정번호(다사3928 4455)서있다. 이곳을 봉배산(121m)이라고 표시한 지도도 있다.
내림길 내려서 (13;35)1차선도로에 내려선다. (13;35) 이정표(수령고개/온수역/역곡안동네/부천식물)서있다. 이곳에서 우향 도로따라 온수역으로 갈수있으나 도당산과 벽산을 한후 온수역으로 가기위해 이정표(수령고개) 방향 숲길로 들어선다. 좋은길 올라 (13;43)둘레길 쉼터 도당산 정상이다.[0.5km][21분]
9.5km 248분 [도당산](98m)(13;43)
정상이라 이름하기는 애매하지만 정자 쉼터 입간판 붙어있다. 정자에 사람이 많아 정자입간판만 인증으로 남긴다. 정자쉼터 에서 조금 더 오르면 (13;43)삼거리다. 3거리에서 좌향 와불산, 우향 벽산과 온수역 방향이다. (13;54)이정표(구올레길 온수역/온수힐스테이트/구올레길 참새공원4.4km)를 지나 능선 가까이 아파트가 다가온 능선길 이어가면 (13;55)삼각점(안양804/1985)이있는 벽산정상이다.[0.6km][12분]
10.1km 260분 [벽산](91m)(13;55)
삼각점(안양804/1985)이있는 벽산정상이다. 벽산이란 이름을 얻은 연유는 알지 못한다.
내림길 내려서면 (14;04) 구올레길 산림체험2코스(참새공원) 입간판 서있는 들날머리다. 도로따라 내려가 좌측으로 이동 횡단보도건너 (14;05)온수역에서 산행종료한다.[0.8km][10분]
10.9km 270분 [온수역](14;05)
온수역 화장실에서(14;05~14;30)[25분] 대충 씻고 새옷갈아입습니다. 집이 가까워도 대중교통 이용시 옆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위해 그리고 땀 흘리고 식으면 감기도 걸리기 때문에 여벌옷을 별도로 메고 다니다가 대충 씻고 새옷 갈아입는 것입니다. 오랜 산행 습관 입니다.
(14;31) 온수역출발 (14;52~15;00/8분) 노량진역에서 9호선 환승 (15;15) 가양역도착 (15;25) 귀가합니다.
09;35 7호선 춘의역 8번출구입니다.
09;43 춘의산 들머리중 하나인 "해담숲 여가 녹지" 입간입니다.
09;43 들머리 아래 소공원입니다.
09;58 목책계단입니다.
09;52 춘의정입니다.
(09;52)이정표(벚꽃동산/부천종합운동장역)입니다.
09;52 춘의정 설명판입니다.
09;52 누리길 안내판입니다.
09;57 조형물입니다.
09;57 운동시설입니다.
10;00 배수지 정문입니다. 정문안으로 들어가도 되나 우측 데크길 따릅니다.
10;02 배수지 안에 세워진 "부천천문 과학관"입니다.
10;10 춘의산 정상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입니다.
10;10~10;15(5분] 춘의산 정상 셀카인증사진 입니다. 바위가 한 개 놓인 정점에서 직진으로 내려가는 길은 다시 부천천문과학관으로 내려서는 길입니다. 잠시 알바하고 되돌아 올라와 (정상에서 약 2m Back) 3거리에서 우향 군부대 방향 공터로 내려 섭니다.
10;10 선답자님들의 표지기걸린 정상에서 Back 2m 하여 우향 하여야하는데 직진으로 진행 이 바위를 만나는 정점에서 내려서면 다시 부천 배수지 천문 과학관으로 내려서는 알바길입니다.
10;15 3거리에서 우향 내려서면 보이는 군부대 입니다.
(10;22) 군부대철조망을 우측에 내려서면 만나는 정자입니다.
(10;23) 이정표(백만송이장미원/도당제2약수터/벚꽃동산)입니다.
(10;24) 깨끗하게 보이는 작은 우물(음용불가)입니다.
(10;26) 데크공연시설입니다.
(10;35)이정표(도당제.약수터/아기장수바위/백만송이장미원)입니다.
(10;35)지적표시석이있는 삼각점(경기40)입니다.
10;37 돌탑입니다.
(10;41) 가족묘지인지 넓은 묘지군을 지나 내려서면 임도 입니다. 임도에서 좌측으로 따라내려섭니다.
(10;45)4차선 도로 3거리(소사로와여월로)를 횡단보도따라 건넙니다.
(10;50) 옹기박물관에서 건너오는 소공원에서 데크길따라 능선에 붙어 우측으로 능선길 이어갑니다.
(10;53) 이정표(원미산/부천종합운동장역/백만송이장미원/여월옹기박물관)입니다.
(10;54) 임도상 이정표(원미산/부천종합운동장역/백만송이장미원/여월옹기박물관) 만나 이정표(원미산)방향 임도를 따르지 않고 아무런 방향 표시가 없는 직진 능선길을 진행합니다.
(11;04)긴 목책계단을 내려섭니다.
11;04 길주로 모습입니다.
(11;05) 길주로를 동물이동통로를 통해 거넙니다.
(11;06)이정표(원미산 진달래동산/무릉도원수목원/여월공원옹기박물관)입니다.
11;14 조망입니다.
11;14 조망2 입니다.
11;14 전망의 숲 표지판입니다.
(11;15)향토유적지숲길 이정표(한샘약수터/종합운동장/부천상록중학교)입니다.
(11;15)향토유적지숲 길[1구간] 안내판입니다.
11;30 벤취가 놓인 정상입니다.
(11;30) 이정표(진달래동산/부천상록중학교/한샘약수터)입니다.
(11;40)이정표(원미산정상/현충탑/진달래동산)입니다.
11;55 원미산 정상 정자와 정상석입니다.
11;55 원미산 정상석입니다.
11;55~12;00 원미산 정상 셀카인증사진입니다.
12;00 이정표입니다.
12;04 이정표입니다.
12;05 멀미산정상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입니다.
12;25 호화묘지 담벼락에 "치산" 표지석이 있습니다.
12;25 치산 표지석 입니다.
12;30 춘덕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2;30~12;42[12분] 춘덕산 정상에서 간식과 휴식시간 갖습니다.
12;43 돌로쌓은 조형물입니다.
(12;44)계영고개이정표(춘덕약수터/역곡2동/원미산정상) 서있는 4거리입니다. 춘덕산 정상방향은 표지도 없고 픽스로프로 막아 놓았습니다.
12;47 의병장 박진전승비입니다.
(12;48)춘덕약수터(음용불가)입니다.
(12;56) 이정표(청소년수련원/역곡안동네/네거리쉼터/진달래동산) 입니다.
12;58 청소년수련원입니다.
13;00 청소년 수련원 표지석입니다.
13;04 횡단보도를 건너면 휀스를 불법으로 넘어 내려 서야 합니다.
횡단보도 오기전 도로3거리에서 아래도로를 따라 굴다리를 통과해야 합니다.
(13;04)역곡로를 횡단보도 건너나 밑에 이정표와 반사경이 보이는데도 좌측으로도 우측으로도 내려설수가 없습니다. 왔다갔다 하다가 시간만 (13;04~13;10)[6분]보내고 할수없이 스텐 인도 방지 울타리를 넘어 내려서 확인하니 굴다리가 있습니다. 3거리에서 아래도로로 와 굴다리를 통과하는 구조 입니다.
(13;10)반사경서있고 이정표(부천식물원/역곡안동네/원미산) 서있습니다. 아무런 표시없는 방향 임도를 2m 정도 진행후 우측 산길로진입합니다.
(13;15) 국가지정번호(다사3912 4450)입니다
(13;20~13;22)[2분][봉배산=산불감시초소봉](121m)입니다.2층 산불감시초소 서있고 삼각점(판독불가) 도있습니다.그리고 국가지정번호(다사3928 4455)서있습니다. 이곳을 봉배산(121m)이라고 표시한 지도도 있습니다.
13;20~13;22[2분] 봉배산=산불감시초소봉](121m)삼각점입니다.
13;20~13;22[2분] 봉배산=산불감시초소봉](121m)국가지정번호(다사3928 4455)입니다.
(13;35)1차선도로에내려섭니다. (13;35) 이정표(수령고개/온수역/역곡안동네/부천식물)입니다. 온수역으로 가지 않고 수령고개 방향으로 산길 진입합니다.
(13;43)[도당산](98m).정상이라 이름하기는 애매하지만 정자 쉼터 입간판 붙어있습니다. 정자에 사람이 많아 정자입간판만 인증으로 남깁니다.
13;53 풍광입니다.
(13;54)이정표(구올레길 온수역/온수힐스테이트/구올레길 참새공원4.4km)입니다.
(13;55)[벽산](91m)정상 삼각점(안양804/1985)입니다.
(14;04) 구로올레길 산림형2코스(참새공원) 입간판서있는 들날머리입니다.
14;05 온수역입니다. 산행종료 합니다.
로커스트랙지도
오록스맵트랙지도
산행기록표
실트랙입니다.
첫댓글 노고가 많으셨습니다
사나이텅빈가슴님.
감사합니다 ~~^^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이웃동네로 행차하셨었네요😀😀댁에서 가까운곳이라 여유로우셨겠습니다. 무더위 건강조심하세요😄😄
찡이삼촌님
참 편안하고 좋은 힐링코스였습니다.
님께서도 무더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
비슬님
감사합니다 ~^^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대마도님
감사합니다 ~~^^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상생님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매직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