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 시인의 꽃이라는 시는 유명합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라는 짧은 시에 강렬한 진리를 각인시켜 줍니다.
김춘수 시인이 노래한 그 꽃은 산다화 라고 불렀는데
산다화 라는 꽃은 없고 명자꽃을 산당화 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김춘수는 산다화 라는 이름이 듣기도 좋고 부르기도
좋아서 동백꽃에 이름을 산다화 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사실은 모든 꽃들이 그렇습니다.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냥 잡초에 불과 하지만
그 꽃을 알고 불러주면 나에게 와서 꽃이 됩니다.
봄철 들판으로 가면
봄맞이꽃,
봄까치,
꽃마리,
꽃다지,
운 주름잎,
별꽃
같은 꽃들은 너무 작아서 꽃이 있는지도 잘 모르고
지나치며 그냥 잡초라고 생각할 뿐입니다.
그러나 그 꽃의 이름을 알게 되고
이름을 불러주면서 살펴보면 그렇게 아름다울 수 없습니다.
이름을 안다는 것, 그래서 이름을 부른다는 것은
어느새 잡초가 아닌 꽃으로 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봄이 되면 아내는 화단에 잡초를 뽑으려고 하고
나는 그것도 귀한 꽃인데 뽑지 말라고 실랑이를 벌이곤 합니다.
이름을 모르고 잡초로 여기다 이름 하나 아는 것으로 다르게 보게 됩니다.
사람들도 그렇습니다.
지나가면서 수 많은 사람들이 곁을 스치고 지나가지만 관심이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 이름을 알고 전도의 대상자로 보게 되면
사람이 다르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더 관심이 가고 더 귀하게 보게 됩니다.
지나치는 행인이 아니라 무엇인가 도와주고 싶고
관심을 두고 사랑해 주고 싶고 전도를 해서 그 영혼을 살리려고 하는 것입니다.
꽃의 이름을 불러주기 위해서
내가 먼저 그 꽃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그 이름을 기억해야 합니다.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자꾸 보다보면 그 이름도 기억하게 되고
들판에 가든 산에 오르든 그 꽃들에 대한 관심이 생깁니다.
사람도 그렇습니다.
우리가 전도를 하기 위해서 전혀 모르던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자주 접근하고 만나다보면
알게 되고 좋은 관계를 가지게 되고 사랑하게 되면서
너무나도 귀한 꽃으로 다가오는 것입니다.
아름다운 꽃으로 보도록
우리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영혼에 관심을 가지도록 우리의 관심을 새롭게 바꾸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