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연혁
배천(白川)은 황해도 남동부에 위치한 연백군(延白郡)의 옛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 때 도랍현(刀臘縣) 또는 치악성(雉嶽城)이라 하였다. 신라 경덕왕 때는 구택현(雊澤縣)으로 개편하여 해고군(海皐郡)가 관할하였다. 고려 초에 배주(白州)로 바뀌어 개흥부·충익현·부흥군 등으로 불리우다가 의종 때 개흥부지사로 승격되었다. 1369년(공민왕 18) 다시 배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배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915년 연안군(延安郡)과 병합하여 연백군이 되었고 1953년 이후 황해도 연백군이 되었다.
성씨의 역사
배천김씨 시조 김선(金善)은 신라 경순왕의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의 25세손이다. 조선 성종 때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로 있으면서 1476년(성종 7) 화를 입고 평안도 의주(義州)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정착 세거하였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삼고 안악김씨(安岳金氏)에서 분적하여 고향인 배천(白川)으로 이주하여 그곳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분적종 및 분파
배천김씨의 본관 창설에 대해서는 지금까지의 정설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는 곳이 있다. 즉 김선이 유배되고 그 후손들이 배천으로 이주 세거하면서 안악김씨(安岳金氏)에서 분적하여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배천으로 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배천김씨세보》를 자세히 살펴보면 후손들이 배천으로 이거한 사실이 발견되지 않는다. 김선의 후손들은 배천을 본관으로 삼은 것은 김선의 출신지에 선조가 살았었고, 따라서 원래의 본향을 관향지로 정해 경주김씨로부터 분적하였다고 한다.
파명(派名)을 살펴보면, 남파(南派), 북파(北派), 고군파(古郡派)로 나뉘어졌다.
주요 세거지
평안남도 평원군 공덕면 퇴남리
평안남도 의주군 위원면 상단리
평안남도 의주군 옥상면 상경동
평안남도 개천군 중서면 용호리
평안북도 의주군 광평면 일원
평안북도 의주군 비현면 당후동
평안북도 철산군 점면 월안동
평안북도 용천군 양광면 용유동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배천김씨는 512가구 총 1,572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