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은 백두산(2,759m)에서 시작되어 남쪽으로 뻗어 내려오면서 고두산, 마대산, 두류산(2,309m)으로 이어지다가 추가령에서 동쪽 해안선을 끼고 금강산(1,638m), 설악산(1,708m), 오대산으로 흐르다가 태백산 부근에 이르러 서쪽으로 기울면서 속리산을 따라 오다가 남쪽 내륙의 덕유산을 지나 지리산 천왕봉(1,915m)까지 이어진 거대한 산줄기이며, 우리나라 땅을 동과 서로 크게 갈라 놓은 산줄기의 이름이다. 이 산줄기의 길이만도 약1,600km에 이르고, 남한에서 종주할 수 있는 구간은 지리산 천왕봉에서 진부령까지 도상거리로 약734km에 이른다
🚩백두대간7기 북진 33구간코스
백복령~생계령~고병이재~헬기장~석병산~일월문~일월봉~두리봉~삽당령
🏃♂️총거리17,6km
⏰️총소요시간8시간
🗓2023년 7월 23 일 ⛅️
백복령 단체사진촬영후 출발3시 30분
백복령780m은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과 정성군 임계면 사이에 위치한 고개
백복령 명칭은 복령이라는 약초가 있는데, 이 중에서도 흰 복령이 많이 자생한다하여 붙여진 이름
자병산으로 알바 ㅋㅋ ㅋ
원래 백두대간은 백복령을 거쳐 자병산으로 가야하지만, 현재는 석회석광산 개발로 자병산이 훼손되면서 백두대간이 단절되었다.
자병산 광산 개발 차량용 도로를 가로질러 숲으로 대간길
생계령 05시 23분
생계령(640m)은 정선군 임계면 직원리와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를 잇는 고개
생계령에서 지나온 백복령 5.4km, 진행할 헬기장 5.5km
태형봉 986m 6시41분
여기서 우측으로 진행 수목원 방향
백두대간 수목원(5.9km) 갈림길에서 지나온 백복령 10.2km, 생계령 5.7km, 진행할 석병산 0.6km
석병산(60m)으로 갔다가 되돌아와서 두리봉(1.6km), 삽당령(6.0km)으로 진행
석병산09시 15분
석병산은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과 강릉시 옥계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높이는 1,055m
산 전체가 돌로 싸여 있어 바위(石)가 마치 병풍(屛)을 두른 것과 같다하여 석병산
일월문사이로 보이는 촛대봉
두리봉10시10분
두리봉은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강릉시 옥계면과 왕산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높이는 1,033m
두리봉에서 지나온 석병산 1.6km, 진행할 삽당령 4.4km
삽당령 11시40분
삽당령(721m)은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목계리와 송현리 사이에 있는 고개로, 강릉과 정선을 잇는 35번 국도가 지남
삽당령은 산 정상의 생김새가 삼지창처럼 세 가락으로 생겨서 붙여진 이름
감자전 전병은 삽당령 정상주막으로
수고하셨습니다.